맨위로가기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은 1987년부터 1988년까지 라오스와 태국 사이에 벌어진 영토 분쟁이다. 분쟁은 태국군이 반롬클라오 마을을 점령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라오스는 해당 마을이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반발했다. 전투 과정에서 양측은 치열한 교전을 벌였으며, 태국 공군의 공습과 포격전도 있었다. 1988년 2월 19일 휴전이 선언되었고, 양측은 군대를 철수하고 공동 조사단을 구성하여 국경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1996년 태국-라오스 공동 국경선 위원회가 발족되어 국경을 확정하고 분쟁 지역의 소유권을 명확히 했으며, 현재까지 이 합의가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오스-태국 국경 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เนิน 1428 (Hill 1428), the battlefield of Thai–Lao Border War of 1988, view from Phu Soidao National Park, Chat Trakan, Phitsanulok.
เนิน 1428 (1428고지), 1988년 태국-라오스 국경 전쟁의 전장, 푸소이다오 국립공원, 찻트라칸, 피사눌록에서 바라본 모습.
분쟁 명칭태국-라오스 국경 전쟁
다른 이름반롬클라오 전투 (태국어: สมรภูมิบ้านร่มเกล้า 또는 ยุทธการบ้านร่มเกล้า)
일부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냉전
시기1987년 12월 15일 – 1988년 2월 19일
장소태국, 피사눌록 주, 찻트라칸 군
라오스, 사이냐불리 주, 보텐 군
결과태국군은 1428고지 주변 지역의 70%를 확보했다고 주장했으나, 라오스군은 여전히 고지를 점령. 현상 유지로 복귀.
영토전쟁 이전 상태로 복귀
교전 세력
교전국 1
지원 세력
지휘관
교전국 1품미 봉비치트
쯔엉찐
교전국 2차왈릿 용차이유트
병력 규모
교전국 1알 수 없음
교전국 2알 수 없음
사상자 및 피해
교전국 1라오스: 286명 사망, 200-300명 부상
베트남: 157명 사망
소련: 2명 사망
쿠바: 2명 사망
교전국 2태국: 147명 사망, 400명 부상, 항공기 2대 손실 (2월)
추가 정보
관련 전쟁인도차이나 전쟁

2. 전투 과정

1984년, 태국군과 라오스군 사이에 여러 차례 작은 총격 사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1987년 12월, 태국군은 분쟁 지역인 반롬클라오 마을을 점령하고 태국 국기를 게양했다.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정부는 이 마을이 사이냐부리 주 보텐 구에 속한다고 강력하게 항의했다. 태국은 이 마을이 핏사눌룩 주의 챗 트라칸 구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라오 인민군은 야간 공격으로 태국군 수비대를 몰아내고 태국 국기 대신 라오스 국기를 게양했다. 이후 1988년 2월 19일 휴전이 선언될 때까지 몇 주 동안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다.[2]

1987년 12월 15일, 태국의 F-5 전투기가 이 지역의 라오스군 진지를 폭격했고, 라오스 측은 태국이 사이냐부리 주 10km 지점까지 포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라오스군을 향해 지속적인 공중 공격과 포격전이 이어졌다. 1988년 1월 중순까지 태국군은 1428고지 주변의 70%를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2월에도 전투는 계속되었고, 라오스는 전략적 요충지를 계속 점령했으며, 태국은 항공기 2대를 잃었다. 16~17일에 회담이 열렸고, 19일 휴전으로 양측은 접촉선에서 3km 후퇴했다.[2]

롬클라오 전장 전투에서 태국 군인 150~200명이 사망하고 400~770명이 부상을 입었다. 태국은 롬클라오 전장에 약 30억태국 밧를 지출했다. 라오스 군인 약 200~300명이 사망하고, 약 100~200명이 부상을 입었다. 태국은 소련, 베트남, 쿠바에서 온 외국 군인들도 있다고 믿었지만, 라오스 정부는 이를 부인했다. 소련, 베트남, 쿠바 군인 약 100~15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3. 분쟁 이후

1996년 태국-라오스 공동 국경선 위원회(JBC)가 발족되어 1,810km에 달하는 국경 및 논쟁의 소지가 있는 지역의 소유권을 명확히 하였다.[8] 이 국경선은 메콩 강(955km)과 후앙 강(153km)이 대부분을 형성하며, 나머지 702km의 육상 국경이 논의 대상이었다.[5] 2022년 기준으로 육상 국경의 96%가 확정되었으며,[5] 이 국경선은 현재까지 효력이 지속되고 있다.[8]

참조

[1]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4th e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7
[2] 웹사이트 Major World Events - February 1988 https://web.stanford[...]
[3] 웹사이트 The History Guy: Thailand-Laos Border War 1987-1988 http://www.historygu[...]
[4] 웹사이트 Lao border talks progressing http://www.nationmul[...] 2011-02-08
[5] 웹사이트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Lao PDR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border area https://www.mfa.go.t[...] 2024-12-08
[6] URL http://www.historygu[...]
[7] URL New Tension Point http://www.jstor.org[...]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nationmul[...] 201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