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리스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리스상과는 곡비원아목에 속하는 영장목의 상과로, 로리스과와 갈라고과로 분류된다. 로리스과는 5속 11종, 갈라고과는 3속 19종으로 구성된다. 안경원숭이과를 포함시키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서는 지지되지 않는다. Groves (2005)의 분류에 따르면, 로리스상과는 갈라고과와 로리스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1년 기재된 분류군 - 여우원숭이과
여우원숭이과는 영장목 곡비원아목에 속하며 마다가스카르와 코모로에 분포하는 5개의 속과 21종의 현존하는 종을 포함하는 동물 분류군이다. - 1821년 기재된 분류군 - 긴꼬리원숭이아과
긴꼬리원숭이아과는 꼬리의 길이와 체형, 식성 등에서 종별 특징을 보이며, 주행성이며 사회적 집단을 이루어 잡식성으로 생활하고,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 여우원숭이 - 잔털귀난쟁이여우원숭이
- 여우원숭이 -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
베칠레오족제비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중동부 판드리안나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회색 또는 붉은 갈색 몸과 검은 꼬리를 가진 여우원숭이의 일종으로, 농업과 사냥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로 위협받고 있으며 베모사리 분류 숲이 유일한 보호 구역이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로리스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로리스형하목 | |
학명 | Lorisiformes |
명명자 | Gray, 1821 |
상위 분류 | 곡비원아목 |
하위 분류군 | 갈라고과 로리스과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곡비원아목 |
하목 | 여우원숭이하목 |
형태 및 특징 | |
화석 기록 | #TODO: 템플릿 처리 필요 |
![]() |
2. 분류
로리스상과는 영장목 곡비원아목에 속하는 상과이다. 로리스과와 갈라고과로 나뉜다.[1]
과 | 하위 분류 |
---|---|
로리스과 (Lorisidae) | 로리스, 포토, 앙완티보 |
갈라고과 (Galagidae) | 갈라고 |
상행 인두 동맥 형태가 유사한 안경원숭이과를 로리스상과에 포함시키기도 하지만,[2]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일 계통성이 지지되지 않는다.[5]
2. 1. 로리스과 (Lorisidae)

로리스과는 로리스상과에 속하는 영장목의 한 분류군으로, 로리스, 포토, 앙완티보 등이 있다.[2] 상행 인두 동맥 형태가 유사한 안경원숭이과를 로리스과에 포함시키기도 하지만,[2]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일 계통성이 지지되지 않는다.[5] 아시아의 로리스아과와 아프리카의 Perodicticinae아과의 분기 연대가 오래되어, 이들 아과가 각각 독립된 과가 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6]
2. 1. 1. 하위 분류
- 로리스과 - 5속 11종
- 갈라고과 - 3속 19종
2. 2. 갈라고과 (Galagidae)
영장목 곡비원아목에 속하는 상과이다. 로리스과와 갈라고과로 나뉜다.[1]- 로리스과: 로리스, 포토, 앙완티보
- 갈라고과: 갈라고
참조
[1]
서적
Order Primates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2]
논문
サルの分類名(その8:原猿)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1989
[3]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4]
웹사이트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18年11月版
http://www.j-monkey.[...]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霊長類和名編纂ワーキンググループ
2018-12-16
[5]
논문
キツネザル類はどのように分類されてきたか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2006
[6]
논문
Remarkable ancient divergences amongst neglected lorisiform primates
https://doi.org/10.1[...]
Linnean Society of London
2015
[7]
서적
Primates in Perspectiv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