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커스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역사
로커스상은 1971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이 상은 휴고상 투표 용지가 배부되기 전에 독자들에게 추천작을 알리고, 어떤 작품과 작가가 후보에 올랐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 또한, 휴고상보다 더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1]
초기 로커스상은 장편 부문만 시상했지만, 점차 단편, 중편, 관련 도서, 앤솔로지, 작가, 편집자, 잡지, 출판사 등 다양한 부문을 추가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1]
3. 시상 부문
로커스상은 소설, 중·단편, 앤솔로지, 단편집, 잡지, 출판사, 편집자, 아티스트 등 다양한 부문에 걸쳐 시상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부문별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로커스상은 현재는 시상하지 않지만, 과거에 존재했던 부문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폐지된 부문을 참고하라.
3. 1. 소설 부문
현재 부문명 | 실시 연도 | 대상, 비고 |
---|
로커스상 SF 장편 부문 (Science Fiction Novel) | 1980- | 40,000 단어 이상. 1980년에 장편 부문을 분할하여 시작 |
로커스상 판타지 장편 부문 (Fantasy Novel) | 1978, 1980- | 40,000 단어 이상. 1980년에 장편 부문을 분할하여 시작 |
로커스상 호러 장편 부문 (Horror Novel) | 1989-1997, 1999, 2017- | 40,000 단어 이상. "다크 판타지/호러 장편 부문"(Dark Fantasy/Horror Novel)이라는 명칭이었던 해도 있음[22] |
로커스상 데뷔 장편 부문 (First Novel) | 1981- | 저자의 첫 장편 (40,000 단어 이상) |
로커스상 영 어덜트 부문 (Young Adult Book) | 2003- | |
3. 2. 중/단편 부문
부문명 | 실시 연도 | 대상, 비고 |
---|
로커스상 중·단편 부문 (Novella) | 1973- | 17,500~39,999 단어 (노벨라) |
로커스상 중편 부문 (Novelette) | 1975- | 7,500~17,499 단어 (노벨레트) |
로커스상 단편 부문 (Short Story/Short Fiction) | 1971- | 7,500 단어 미만 |
3. 3. 기타 부문
현재 부문명 | 실시 연도 | 대상, 비고 |
---|
잡지 부문 | 1971- | |
출판자 부문 | 1972- | |
앤솔로지 부문 | 1976- | |
단편집 부문 | 1975- | |
편집자 부문 | 1989- | |
아티스트 부문 | 1974- | |
논픽션 부문 | 1976- | |
아트북 부문 | 1979- | |
[4]
3. 4. 폐지된 부문
로커스상은 더 이상 수여되지 않는 여러 부문이 있다.
- 최우수 오리지널 앤솔로지 로커스상 (1972–1975)
연도 | 작품명 | 편집자 |
---|
1972 | 유니버스 1 | 테리 카 |
1973 | Again, Dangerous Visions | 할란 엘리슨 |
1974 | Astounding: John W. Campbell Memorial Anthology | 해리 해리슨 |
1975 | 유니버스 4 | 테리 카 |
- 최우수 재출판 앤솔로지/선집 로커스상 (1972–1975)
연도 | 작품명 | 편집자 |
---|
1972 | 'Worlds Best Science Fiction: 1971'' | 도널드 A. 월하임 및 테리 카 |
1973 | The Best Science Fiction of the Year #2 | 테리 카 |
1974 | The Best Science Fiction of the Year #2 | 테리 카 |
1975 | Before the Golden Age | 아이작 아시모프 |
연도 | 팬진명 |
---|
1971 | 로커스 |
1972 | 로커스 |
1973 | 로커스 |
1974 | 로커스 |
1975 | Outworlds |
1976 | 로커스 |
1977 | 로커스 |
연도 | 평론가 |
---|
1974 | 리처드 가이스 |
1975 | P. 스카일러 밀러 |
1976 | 리처드 가이스 |
1977 | 스파이더 로빈슨 |
- 최우수 팬 작가 로커스상 (1971–1973)
연도 | 작가 |
---|
1971 | 해리 워너 주니어 |
1972 | 찰리 브라운 |
1973 | 테리 카 |
- 최우수 출판사 - 하드커버 로커스상 (1975–1976)
연도 | 출판사 |
---|
1975 | SF 북 클럽 |
1976 | SF 북 클럽 |
- 최우수 출판사 - 페이퍼백 로커스상 (1975–1976)
- 최우수 페이퍼백 표지 아티스트 로커스상 (1971–1973)
연도 | 아티스트 |
---|
1971 | 레오 & 다이앤 딜론 |
1972 | 진 사프란 |
1973 | 프랭크 켈리 프리즈 |
- 최우수 잡지 아티스트 로커스상 (1972–1973)
연도 | 아티스트 |
---|
1972 | 프랭크 켈리 프리즈 |
1973 | 프랭크 켈리 프리즈 |
- 최우수 팬 아티스트 로커스상 (1971–1975)
연도 | 아티스트 |
---|
1971 | 앨리시아 오스틴 |
1972 | 빌 로츠러 |
1973 | 빌 로츠러 |
1974 | 팀 커크 |
1975 | 팀 커크 |
부문명 | 실시 년도 | 대상, 비고 |
---|
로커스상 장편 부문 | 1971-1979 | 1980년부터 SF 장편 소설 부문과 판타지 장편 소설 부문으로 분할 |
로커스상 신작 앤솔로지 부문 | 1971-1975 | 1976년부터 앤솔로지 부문으로 |
로커스상 재수록 앤솔로지/단편집 부문 | 1971-1975 | |
로커스상 팬진 부문 | 1971-1977 | 동인지 |
로커스상 팬진 단행본 부문 | 1971 | 동인지 |
로커스상 평론가 부문 | 1974-1977 | |
로커스상 팬 작가 부문 | 1971-1973 | |
로커스상 팬 평론가 부문 | 1971 | |
로커스상 하드커버 출판사 부문 | 1975-1976 | |
로커스상 페이퍼백 출판사 부문 | 1975-1976 | |
로커스상 페이퍼백 표지 아티스트 부문 | 1971-1973 | |
로커스상 잡지 아티스트 부문 | 1972-1973 | |
로커스상 팬 만화가 부문 | 1971 | |
로커스상 컨벤션 부문 | 1971 | |
로커스상 웹사이트 부문 | 2002 | |
4. 최다 후보 지명자
2021년 시상식 기준으로, 가장 많은 후보로 지명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3]
인물 | 후보 지명 | 후보 지명 (소설) | 수상 | 로버트 실버버그 | 158 | 88 | 9 |
가드너 도조이스 | 133 | 21 | 43 |
엘렌 데이틀로 | 104 | 0 | 16 |
마이클 스완윅 | 84 | 74 | 3 |
어슐러 K. 르 귄 | 80 | 56 | 24 |
마틴 H. 그린버그 | 80 | 0 | 0 |
진 울프 | 74 | 67 | 6 |
스티븐 백스터 | 73 | 67 | 1 |
데이비드 G. 하트웰 | 73 | 0 | 1 |
로버트 리드 | 71 | 67 | 0 |
루시우스 셰퍼드 | 70 | 60 | 8 |
그레고리 벤포드 | 69 | 54 | 0 |
테리 윈들링 | 66 | 1 | 0 |
프레데릭 폴 | 65 | 46 | 3 |
낸시 크레스 | 64 | 57 | 2 |
조지 R. R. 마틴 | 63 | 42 | 16 |
5. 한국과의 관계
로커스상은 한국 SF 및 판타지 문학계에서도 주목받는 상이다. 2020년대 들어 한국계 작가들의 작품이 로커스상 최종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윤하, 김초엽 등이 그 예시이다. 이는 한국 장르 문학의 성장과 국제적 위상 강화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3. 13. 오후 8:39:00
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