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롭 파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롭 파이크는 컴퓨터 과학자이자 작가로, 벨 연구소와 구글에서 경력을 쌓았다. 벨 연구소에서는 유닉스 관련 개발, 인페르노 운영 체제, 림보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참여했으며, 텍스트 편집기 샘과 애크미를 제작했다. 2002년부터 구글에서 근무하며 소잘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참여했다. 또한, 코미디 듀오 펜 앤 텔러의 기술 보조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그래머 - 소프트웨어 개발자
  • 프로그래머 - 사이먼 윌리슨
    사이먼 윌리슨은 장고 개발 참여, Lanyrd 공동 창업 및 Eventbrite 엔지니어링 책임자를 역임한 영국의 웹 개발자이며, 2023년에는 AI 생성 콘텐츠 품질 문제를 비판하는 용어인 "슬롭"을 만들었다.
  • 유닉스 관계자 - 켄 톰프슨
    켄 톰프슨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로, 데니스 리치와 함께 유닉스 운영 체제를 개발하고 B 및 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참여했으며, 정규 표현식 구현과 톰프슨 구성 알고리즘 발명에 기여하여 1983년 튜링상을 수상했다.
  • 유닉스 관계자 - 브라이언 커니핸
    브라이언 커니핸은 프린스턴 대학교 컴퓨터 과학과 교수이자 벨 연구소에서 유닉스 철학을 대중화하고 "유닉스" 용어를 만든 컴퓨터 과학자로, "Hello, World!"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에 기여했으며 AWK 개발 및 C 프로그래밍 언어 저술에도 참여했다.
  •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 - 요슈아 벤지오
    프랑스 태생 캐나다 컴퓨터 과학자 요슈아 벤지오는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튜링상을 수상하고 몬트리올 학습 알고리즘 연구소 책임자로 활동하며 인공 신경망, 기계 번역, AI 안전 및 윤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 - 제프리 힌턴
    제프리 힌턴은 심층 신경망 연구의 선구자로서, 역전파 알고리즘 개선 및 효과적인 학습 방법 개발에 기여하여 튜링상을 수상하고 볼츠만 머신 공동 발명, t-SNE 시각화 기법 개발 등 다양한 신경망 연구에 기여했으며, AI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을 퇴사하고 존 호프필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지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이다.
롭 파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ob Pike at O'Reilly Open Source Convention 2010
Rob Pike, 2010년 O'Reilly Open Source Convention에서
이름로브 파이크 (Robert "Rob" C. Pike)
국적캐나다
직업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배우자르네 프렌치 (Renée French)
웹사이트개인 웹사이트
학력
학사토론토 대학교 (University of Toronto)
대학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경력
소속벨 연구소, 구글 (Google)
주요 업적
기여Plan 9, UTF-8, Go, Sawzall

2. 벨 연구소 경력

벨 연구소에서 파이크는 인페르노 운영 체제와 림보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참여했다.[1]

2. 1. 기타 시스템

벨 연구소에서 파이크는 유닉스용 그래픽 터미널인 블릿, 동시성 프로그래밍 언어 뉴스퀴크[6], 이메일 작성자의 얼굴을 표시하는 비스몬 프로그램과 같은 작은 시스템들을 개발했다.[7]

2. 2. 텍스트 편집기

파이크는 수년에 걸쳐 많은 텍스트 편집기를 작성했으며, 그중 샘[8]과 애크미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3. 구글 경력

파이크는 2002년에 구글에 합류하여[1] 소잘 개발에 참여했다.[9]

3. 1. 소잘

파이크는 2002년에 구글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1] 그곳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소잘 개발에도 참여했다.[9]

4. 기타 경력

벨 연구소에서 파이크는 유닉스용 그래픽 터미널인 블릿과 인페르노 운영 체제, 림보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에 참여했다.[1] 또한 뉴스퀴크 동시성 프로그래밍 언어[6] 및 이메일 작성자의 얼굴을 표시하는 비스몬 프로그램과 같은 작은 시스템도 개발했다.[7]

수년에 걸쳐 파이크는 많은 텍스트 편집기를 작성했으며, 샘[8]과 애크미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파이크는 구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 그곳에서 그는 프로그래밍 언어 소잘 개발에도 참여했다.[9]

파이크는 코미디 듀오 펜 앤 텔러의 기술 보조로 ''데이비드 레터맨 쇼''에 출연했다.[3]

5. 개인사

파이크는 작가이자 삽화가인 르네 프렌치와 결혼했으며, 부부는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거주한다.[10]

6. 어록


  • "유닉스는 죽었을 뿐만 아니라, 정말 지독한 냄새를 풍기기 시작했다." - 1991년경
  • "객체 지향 설계는 컴퓨팅에서의 로마 숫자다."[11]
  • "단순한 캐시 버그 같은 것은 없다."
  • "캐시는 아키텍처가 아니다. 단순한 최적화다."
  • "소켓은 I/O 인터페이스의 X Window이다."
  • "진공을 채우려고 해도, 언제까지나 빨려 들어갈 수 있다." - X Window System에 관하여
  • "Unix는 please라고 절대로 말하지 않는다."
  • "그런 날들은 지나갔고, 찬사는 Perl에 돌아갔다." - 단일 기능 툴에 관하여
  • "나는 고민을 나열하기 시작했지만, 너무 길어서 싫증이 나서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기로 했다. 우리는 1970년대의 유통기한이 지난 운영 체제를 자주 사용한다. 그래서 많은 것을 했고 즐겼지만, 현실을 직시하자. Unix의 기본 설계는 Slashdot 독자 대다수보다 오래되었고, 이 30년 동안 컴퓨팅과 네트워킹에 관한 훌륭한 아이디어가 다수 생겨났다. Unix를 사용한다는 것은, 데이비드 캐시디의 음악만 듣는 것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est Programming Advice I Ever Got" with Rob Pike https://www.informit[...] Pearson Education 2012-08-15
[2] 학술지 The Go programming language and environment 2022-04-01
[3] 웹사이트 Rob Pike https://9p.io/who/ro[...] Alcatel-Lucent
[4] 웹사이트 Dynamic generation and overlaying of graphic windows for multiple active program storage areas https://patents.goog[...] 2020-04-01
[5] 학술지 The UNIX System : The Blit: A Multiplexed Graphics Terminal https://doc.cat-v.or[...] 1984-10
[6] 학술지 The Implementation of Newsqueak http://www.cs.tufts.[...]
[7] 컨퍼런스 Face the Nation 1985-06
[8] 기술보고서 A Research Unix reader: annotated excerpts from the Programmer's Manual, 1971–1986 http://www.cs.dartmo[...]
[9] 학술지 Interpreting the Data: Parallel Analysis with Sawzall http://research.goog[...] 2005-01-01
[10] 웹사이트 Renee French – A River Runs Through It – Artist Interview https://wowxwow.com/[...] 2015-07-27
[11] 문서 로마数字は計算用途には向かないように、ここではオブジェクト指向設計の実用性に疑問を呈している。
[12] 웹인용 Command Center http://commandcenter[...] Commandcenter.blogspot.com 2006-06-11
[13] 기술보고서 A Research Unix reader: annotated excerpts from the Programmer's Manual, 1971–1986 http://www.cs.dartmo[...]
[14] 저널 인용 Interpreting the Data: Parallel Analysis with Sawzall http://research.goog[...]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