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은 1057년 계부 맥베스가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된 후 케네스 3세의 증손자라는 명분으로 스코틀랜드 왕위에 올랐으나, 이듬해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생애는 모레이 백작 길레 코엠간과 케네스 3세의 손녀 그루오흐 사이에서 태어났고, 아버지의 사망 후 어머니가 맥베스와 재혼하면서 맥베스의 의붓아들이 되었다. 룰라크는 소설, 희곡,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픽션 작품에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3년 출생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033년 출생 - 정이 (학자)
북송 시대 유학자이자 성리학의 선구자인 정이는 호원에게 성리학을 배워 이기이원론, 성즉리, 격물치지 등의 사상을 주창하여 주희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과부의 재혼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여 비판받기도 한다. - 머리가 - 막 베하드 막 핀들라크
막 베하드 막 핀들라크는 11세기 스코틀랜드 왕으로, 모레이의 모르메르였으며 덩컨 1세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으나, 노섬브리아 백작의 침공과 맬컴 3세에게 패배하며 최후를 맞이했고 셰익스피어 희곡 맥베스의 모티브가 되었다. - 머리가 - 그루오크 잉겐 베터
그루오크 잉겐 베터는 11세기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으로, 룰라흐 막 질레 코엠가인의 어머니이자 맥베스 왕의 아내였으며, 켈트족 귀족 가문 출신으로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었고, 셰익스피어 희곡 《맥베스》의 레이디 맥베스 모델로 추정된다. - 1058년 사망 - 교황 스테파노 9세
스테파노 9세는 1057년부터 1058년까지 재임하며 그레고리오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성직자 독신주의 강조, 몬테카시노 수도원 개혁 시도, 동서 교회 분열 심화, 남이탈리아 노르만족 축출 계획 등 논쟁적인 행보를 보였다. - 1058년 사망 - 카지미에시 1세 오드노비치엘
카지미에시 1세 오드노비치엘은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의 아들로, 폴란드 혼란기에 왕위 계승의 어려움을 겪었으나 독일과 키예프 루스의 지원으로 폴란드를 재건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수도 이전 및 봉건제 도입 등 폴란드 중세 사회의 기틀을 다져 "복원자"라는 칭호를 얻은 폴란드의 공작이다.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스코틀랜드 국왕 |
통치 기간 | 1057년 8월 15일 – 1058년 3월 17일 |
대관식 | 1057년 9월 8일, 스코네 |
이전 통치자 | 맥베스 |
다음 통치자 | 말 콜룸 3세 |
출생 | 기원전 1032년 |
출생지 | 머레이,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058년 3월 17일 (25/26세) |
사망 장소 | 스트라스보기의 에시 |
자녀 | 말 스네크타이 이름 없는 딸 |
왕가 | 머레이 가 |
아버지 | 머레이의 길레 코엠간 |
어머니 | 스코틀랜드의 그루오크 |
매장지 | 아이오나 |
별칭 | 불운왕 바보 |
2. 생애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은 맥베스의 의붓아들로, 복잡한 스코틀랜드의 왕위 계승 과정 속에서 짧은 기간 왕위에 올랐다. 그의 친아버지는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되었고, 어머니 그루오흐는 맥베스와 재혼했다.[7] 1057년 계부 맥베스가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된 후 왕위를 계승했으나,[8] 이듬해인 1058년 3월 17일에 애버딘셔 스트라스보기에서 자신 역시 맬컴에게 살해당하며 불과 몇 달간의 짧은 통치를 마감했다.[8][9]
2. 1. 출생과 가계
룰라크는 길레 코엠간과 그루오흐 잉겐 베터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그루오흐는 스코틀랜드 왕 케네스 3세의 손녀였다.룰라크의 아버지 길레 코엠간은 맥베스의 아버지인 말 영주 핀레크를 살해하고 말 영주의 지위를 차지했다.[7] 그러나 룰라크가 태어난 직후, 길레 코엠간은 훗날 맬컴 3세가 되는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당했다.[7] 이후 어머니 그루오흐는 핀레크의 아들인 맥베스와 재혼하였고, 이에 따라 룰라크는 맥베스의 의붓아들이 되었다.[7]
2. 2. 즉위와 죽음
1057년 8월 15일, 애버딘셔의 란판난에서 계부 맥베스가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된 후, 케네스 3세의 증손자라는 명분을 내세워 왕위에 올랐다.[8]그러나 그의 통치는 짧았다. 1058년 3월 17일에 애버딘셔의 스트라스보기에서 맬컴 캔모어에게 살해당했다.[8] 왕위에 있었던 기간은 불과 몇 달이었다.[9]
3. 픽션에서의 묘사
룰라크 막 길레 코엠간은 역사적 실존 인물이지만, 그의 삶과 죽음은 후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다양한 픽션 작품에서 등장인물로 그려졌다. 그는 여러 역사 소설, 희곡, TV 시리즈 등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며, 때로는 이야기의 중심 인물로, 때로는 중요한 조연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어, 도로시 더넷의 소설[4]이나 데이비드 그레이그의 희곡, 그리고 애니메이션 시리즈 등 다양한 매체에서 그를 찾아볼 수 있다.[5][6]
3. 1. 소설
룰라크는 도로시 더넷의 역사 소설 'King Hereafter'에서 중요한 조연으로 등장하며, 예언자로 묘사된다. 작가 더넷은 룰라크를 실제 맥베스에 대한 연구 정보를 전달하는 인물로 설정했다.[4]또한 재키 프렌치의 아동 소설 'Macbeth and Son'[5]과 수잔 프레이저 킹의 소설 'Lady MacBeth'에서는 룰라크가 주인공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발 맥더미드의 소설 'Queen Macbeth'에도 룰라크가 등장한다.
3. 2. 희곡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에서 레이디 맥베스가 1막 7장에서 "젖을 먹여본 적이 있어서 / 젖을 빠는 아기를 얼마나 사랑해야 하는지 안다"라고 말하는 대사가 있는데, 이는 룰라크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6]데이비드 그레이그의 희곡 ''던시네인''에서는 룰라크가 맬컴 3세의 스코틀랜드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로 등장하며, 잉글랜드 군인들에게 쫓기는 인물로 그려진다.
또한 그레이엄 J. 하워드의 2024년 셰익스피어 희곡 각색 작품인 ''Gruoch and Macbeth: A Screenplay''에도 등장한다.
3. 3. 기타
룰라크는 다양한 문학 및 미디어 작품에서 등장인물로 그려진다.- 도로시 더넷의 역사 소설 ''King Hereafter''에서는 중요한 조연이자 예언자로 묘사된다. 더넷은 소설 속 룰라크를 통해 실제 맥베스에 대한 연구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부여했다.[4]
- 재키 프렌치의 아동 소설 ''Macbeth and Son''[5]과 수잔 프레이저 킹의 소설 ''Lady MacBeth''에서는 주인공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 발 맥더미드의 소설 ''Queen Macbeth''에도 등장한다.
- 데이비드 그레이그의 희곡 ''던시네인''에서는 맬컴 치하 스코틀랜드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로 묘사되어 잉글랜드 군인들에게 쫓기는 인물로 나온다.
-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 1막 7장에서 레이디 맥베스가 "젖을 먹여본 적이 있어서 / 젖을 빠는 아기를 얼마나 사랑해야 하는지 안다"라고 말하는 대사가 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룰라크를 염두에 둔 언급일 수 있다는 해석이 있다.[6]
- 그레이엄 J. 하워드의 2024년 셰익스피어 희곡 각색 ''Gruoch and Macbeth: A Screenplay''에도 등장한다.
- 미국 코미디 시리즈 모던 패밀리에서는 '룰라크 맥프리체트'라는 이름의 스코틀랜드 전사이자 등장인물 제이 프리쳇의 조상으로 언급된다.
- 애니메이션 시리즈 ''가고일''에서는 '루아치'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등장하며, 맥베스와 그루오흐의 아들이자 잠시 스코틀랜드의 왕이었던 인물로 그려진다.
참조
[1]
문서
Lulach mac Gille Coemgáin
[2]
서적
Chronicles
[3]
서적
Early Sources
[4]
웹사이트
King Hereafter
http://www.dorothydu[...]
2016-09-02
[5]
서적
Shakespeare in Children's Literature: Gender and Cultural Capital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
웹사이트
Macbeth: Entire Play
https://shakespeare.[...]
2024-09-18
[7]
서적
[8]
서적
[9]
문서
[10]
서적
Chronicles
[11]
서적
Early Sour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