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지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지나이(李继耐)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42년 산둥성 텅저우에서 태어났다. 하얼빈 공업대학교에서 공학 역학을 전공하고, 중국 인민해방군에 입대하여 제2포병 부대에서 복무했다. 1985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 정치부로 승진하여 요직을 거쳤으며, 2000년 상장으로 진급했다. 2004년 총 정치부 부장을 역임했고,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과 중앙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2012년 총 정치부 주임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훙쉐즈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홍군,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후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 1942년 출생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1942년 출생 - 우근민
우근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총무처 공무원 요직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역임하며 민자당,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 활동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희롱 소송 패소, 새누리당 입당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리지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진아이 |
원어 이름 | 李继耐 |
로마자 표기 | Li Jinai |
출생 연도 | 1942년 |
출생 월 | 7월 |
출생지 | 산둥성 텅현 |
사망일 | 알려지지 않음 |
사망지 | 알려지지 않음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출신 학교 | 하얼빈 공업대학교 |
별칭 | 알려지지 않음 |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군 복무 | 중국 인민해방군 |
복무 기간 | 1967년–2012년 |
계급 | [[파일:PLAGeneral r.png|48px]] 상장 |
주요 지휘 | 알려지지 않음 |
참전 | 알려지지 않음 |
수상 | 알려지지 않음 |
주요 직책 | |
중국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 | 시작: 2004년 9월 종료: 2012년 10월 이전: 쉬차이허우 이후: 장양 |
중국인민해방군 총장비부 부장 | 시작: 2002년 11월 종료: 2004년 9월 이전: 차오강촨 이후: 천빙더 |
중국인민해방군 총장비부 정치위원 | 시작: 1998년 4월 종료: 2002년 11월 이전: 다이쉐장 이후: 츠완춘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알려지지 않음 |
자녀 | 알려지지 않음 |
부모 | 알려지지 않음 |
친척 | 알려지지 않음 |
2. 생애
리지나이는 1942년 7월 중국 산둥성 텅저우에서 태어났다.[3] 1966년 하얼빈 공업대학교에서 공학 역학을 전공하고 졸업했으며,[3][1][2] 1965년 5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1967년 12월 중국 인민해방군에 입대했다.[3]
군 복무 중 주요 경력을 쌓아 1985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로 자리를 옮겨 1990년 부부장이 되었다.[3] 이후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에서 부 정치위원과 정치위원을 역임했고,[3][1][2] 1998년부터 2002년까지는 총장비부의 정치위원 겸 부 당 서기를 지냈다.[3][1][2] 2002년에는 총장비부 부장과 당 중앙군사위원회(CMC)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듬해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3][1][2] 2004년 9월에는 당 및 국가 CMC 위원직을 유지하면서 총정치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3]
정치적으로는 중국 공산당 제14기 중앙위원회의 후보 위원을 거쳐,[3][1][2] 제15기, 제16기, 제17기 중앙위원회의 정식 위원으로 활동했다.[3][1][2]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리 지나이는 1942년 7월 중국 산둥성 텅저우에서 태어났다.[3] 1966년 하얼빈 공업대학교에서 공학 역학을 전공하고 졸업했으며,[3][1][2] 1965년 5월 중국 공산당(CCP)에 입당했다.[3] 1967년 12월 중국 인민해방군(PLA)에 입대하여[3] 제2포병 부대에서 소대장, 연대 선전계 부계장, 연대 부정치 위원 등을 역임했다.1977년에는 제2포병 정치부 조직부 청년과장 및 부부장을 지냈고, 1983년에는 제2포병 기지 부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85년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로 자리를 옮겨[3] 1988년 9월 소장 계급으로 진급했다.
1990년 4월 총정치부 부주임(부부장)이 되었고,[3] 같은 해 11월에는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 부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92년에는 제14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3][1][2]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 부 정치위원을 맡았다.[3][1][2] 1993년 7월 중장으로 승진했고, 1995년 7월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97년 9월, 제1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3][1][2] 1998년 4월에는 총장비부 정치위원 겸 부 당 서기로 임명되었다.[3][1][2] 2000년 6월에는 상장으로 진급했다.
2002년 11월, 제1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재선출되었고, 당 중앙군사위원회(CMC) 위원 및 총장비부 부장으로 선출되었다.[3][1][2] 이듬해인 2003년에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3][1][2] 2004년 9월, 당 및 국가 CMC 위원직을 유지하면서 총정치부 주임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제17기 중앙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3][1][2]
2012년 10월 총정치부 주임직에서 물러났으며, 같은 해 11월 제18차 당대회를 끝으로 당 중앙위원 및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에서도 퇴임했다.
2. 2. 정치 경력
1965년 5월 중국 공산당(CCP)에 입당했으며, 1966년(또는 1967년) 하얼빈 공업대학교에서 공학 역학을 전공하여 졸업한 후 1967년 12월 중국 인민해방군(PLA)에 입대했다.[3][1][2] 입대 후에는 제2포병 부대에서 소대장, 연대 선전계 부계장, 연대 부정치 위원 등을 역임했다.1977년에는 제2포병 정치부 조직부 청년과장과 조직부 부부장을 거쳐 1983년 제2포병 기지 부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85년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로 자리를 옮겼고,[3] 1988년 9월 소장 계급으로 승진했다.
1990년 4월 총정치부 부주임(부부장)이 되었고,[3][1][2] 같은 해 11월에는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 부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92년 중국 공산당 제14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3][1][2]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에서 부 정치위원과 정치위원(1995년 7월 임명)을 역임했다.[3][1][2] 1993년 7월에는 중장으로 승진했다.
1997년 9월 중국 공산당 제15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3][1][2] 1998년 4월 총장비부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어 2002년까지 정치위원 겸 부 당 서기를 지냈다.[3][1][2] 2000년 6월에는 상장 계급으로 진급했다.
2002년 11월, 당 중앙군사위원회(CMC) 위원과 총장비부 부장으로 임명되었으며,[3][1][2] 이듬해인 2003년에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3][1][2] 2004년 9월에는 당 및 국가 CMC 위원직을 유지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주임(부장)으로 임명되었다.[3]
그는 중국 공산당 제14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을 거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15기, 16기, 17기에 연속으로 선출되었다.[3][1][2] 2012년 10월 총정치부 주임에서 물러났고, 같은 해 11월 제18차 당대회를 끝으로 당 중앙위원 및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직에서도 퇴임했다.
3. 가족
참조
[1]
뉴스
Who's Who: Li Jinai
http://chinatoday.co[...]
China Today
2014-07-05
[2]
뉴스
Li Jinai
http://english.peopl[...]
2014-07-05
[3]
뉴스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09-12-30
[4]
뉴스
https://www.epochtim[...]
epochtimes
2017-04-06
[5]
뉴스
리지나이 방북…"중조친선관계 代이어 발전"(종합)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