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런드 H. 하트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런드 H. 하트웰은 미국의 생물학자이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워싱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출아 효모를 이용한 세포 주기 연구를 통해 cdc28 유전자를 발견하고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개념을 제시한 공로로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또한, 암 조기 진단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힘쓰는 카나리아 재단의 과학 자문 위원회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교수 - 에드워드 프레스콧
에드워드 프레스콧은 미국의 경제학자로서, 동태적 거시경제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경기 변동 이론, 일반 균형 이론 등을 연구하고 호드릭-프레스콧 필터를 개발했다. -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교수 - 도널드 조핸슨
도널드 조핸슨은 1974년 '루시' 화석 발견으로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미국의 인류학자로,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부교수와 인류 기원 연구소 설립을 거쳐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에서 연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이름이 명명되기도 했다. - 워싱턴 대학교 교수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워싱턴 대학교 교수 - 노먼 라이스
노먼 라이스는 시애틀 최초의 흑인 시장으로서, 시애틀 시의회 의원과 시장을 역임하며 1990년대 닷컴 버블 시대 시애틀 도심 재개발을 주도하고,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상을 수상한 미국의 정치인이자 시민 운동가이다.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수상자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수상자 - 엘리자베스 블랙번
엘리자베스 블랙번은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아제의 기능, 노화 및 암과의 관계를 밝혀낸 분자생물학자로, 캐롤 W. 그라이더, 잭 쇼스택과 함께 텔로머라아제 발견 공로로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텔로미어 연구를 통해 세포 노화와 암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생명윤리 문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릴런드 H. 하트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39년 10월 30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분야 | 생물학 |
소속 기관 |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 센터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바이오디자인 연구소 암리타 비슈와 비디야피탐 |
모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Bacillus subtilis에서 히스티다제 유도에 대한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URL | Bacillus subtilis에서 히스티다제 유도에 대한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64년 |
박사 과정 지도 교수 | 보리스 마가사닉 |
주요 업적 | 세포 주기 조절 |
수상 | |
수상 내역 | 로젠스틸 상 (1992년) 유전학회 미국 메달 (1994년) 코멘 브링커 상 (1998년) 참조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1998년) 매스리 상 (200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2001년) 멘델 메달 (유전학) (2001년) 워싱턴 공로 훈장 (2003년) |
2. 학력 및 경력
하트웰은 글렌데일 고등학교를 졸업하고,[3] 1961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1968년 워싱턴 대학교로 옮겨 교수로 재직했다. 1997년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 센터 소장을 역임하였다.
연도 | 내용 |
---|---|
1939년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출생 |
1961년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졸업 |
1964년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과정 수료 |
1965년 |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교수 |
1968년 | 워싱턴 대학교 교수 |
1997년 |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 센터 소장 |
1970년부터 1971년까지 빵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세포 분열 주기(CDC)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이 중 cdc28 유전자가 세포 주기의 중심적인 제어 인자임을 밝혀냈다.[10] 1980년대에는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개념을 제시하여 암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포 손상이 발생했을 때 세포 분열을 지연시키는 세포 주기 "검문소" 개념을 도입하였고, 짝짓기 신호 전달 경로의 식별 및 특성 규명에도 기여했다.
3. 주요 연구 업적
3. 1. 연구의 의의
하트웰의 초기 연구는 DNA, RNA, 단백질 합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생물학적 과정에 장애가 있는 온도 감수성 효모 돌연변이체를 분리하는 데 집중했다.[10] 이를 통해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CDC(Cell Division Cycle, 세포 분열 주기) 유전자, 특히 효모 Cdk 키나아제를 암호화하는 CDC28을 발견했다. 또한 세포 손상 발생 시 세포 분열을 지연시키는 세포 주기 "검문소" 개념을 도입하고, 짝짓기 신호 전달 경로를 식별 및 규명했다.
1960년대 출아 효모를 이용한 세포 주기 유전학적 분석을 처음 시도하여, 다수의 유전자 중 cdc28이 세포 주기의 중심 제어 인자임을 밝혔다. 이 업적으로 티머시 헌트, 폴 너스와 함께 200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노벨상 수상 업적은 그의 광범위한 연구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가 분리한 세포 분열 주기(cell division cycle [cdc]) 변이주 분석 정보는 세포 생물학 모든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현재도 전 세계 연구실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1980년대에는 출아 효모를 사용한 유전 분석을 통해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개념을 제시하여 이후 암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수상 경력
연도 | 상 |
---|---|
1987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
1992년 | 가드너 국제상 |
1992년 | 로젠스티엘상 (브랜다이스 대학교) |
1994년 | 미국 유전학회 메달 |
1995년 | 루이자 그로스 호로비츠상 (컬럼비아 대학교)[8] |
1995년 | 딕슨상 과학 부문 (카네기 멜론 대학교) |
1996년 | 파사노상 |
1998년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
2000년 | 매슬리상 |
2000년 | 레오폴드 그리펠상 |
2001년 | 멘델 메달 |
2001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2003년 7월 9일, 워싱턴 주지사 게리 로크는 하트웰에게 주 최고 영예인 공로 훈장을 수여했다.[9] 그는 또한 코멘 브링커 과학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5. 기타 활동
하트웰은 암 조기 진단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전념하는 비영리 단체인 카나리아 재단의 과학 자문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태평양 보건 정상 회담의 창립 공동 의장이자 집행 위원회 위원이었다.[11] 2009년 9월,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의 버지니아 G. 파이퍼 맞춤 의학 석좌 교수 및 바이오디자인 연구소 지속 가능한 건강 센터의 공동 디렉터로 마이클 버트 박사와 함께 합류했다.[12][13] 인도 암리타 대학교의 객원 교수이기도 하다.[14]
6. 리 하트웰 상 (Lee Hartwell Award)
이 상은 효모 연구를 통해 생물학의 광범위한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과학자에게 수여된다. 수상자는 2년에 한 번 열리는 효모 유전학 회의에서 강연을 한다.[15]
6. 1. 역대 수상자
이 상은 효모 연구를 통해 생물학의 광범위한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과학자에게 수여된다. 수상자는 2년에 한 번 열리는 효모 유전학 회의에서 강연을 한다.[15]연도 | 수상자 | 소속 |
---|---|---|
2016 | 수잔 가서 | 프리드리히 미셔 생의학 연구소 |
2014 | 조지 처치 | 하버드 의과대학 |
2012 | 스탠 필즈 | 워싱턴 대학교 (시애틀) |
2010 | 랜디 셰크먼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2008 | 야나기다 미츠히로 | 교토 대학교 |
2006 | 킴 나스미스 | 옥스퍼드 대학교 |
2004 | 수잔 린드퀴스트 | 화이트헤드 연구소 |
2002 | 릴런드 H. 하트웰 | 프레드 허친슨 암 연구 센터 |
참조
[1]
웹사이트
Leland H. Hartwell - A Superstar of Science
http://superstarsofs[...]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01, Illustrated Lecture
https://www.nobelpri[...]
[3]
웹사이트
It's Now Dr. Hartwell, Nobel Laureate
http://www.seattlepi[...]
Seattle Post-Intelligencer
2001-10-08
[4]
논문
Genetic control of the cell-division cycle in yeast. I. Detection of mutants
1970-06
[5]
서적
"Les Prix Nobel. ''The Nobel Prizes 2001"
Nobel Foundation: Stockholm
2002
[6]
Nobelprize
2020-10-11
[7]
웹사이트
Lee Hartwell's profile, Community of Science
http://myprofile.cos[...]
[8]
웹사이트
The Official Site of Louisa Gross Horwitz Prize
http://www.cumc.colu[...]
2018-06-14
[9]
뉴스
Lee Hartwell, at 70, Tackles Personalized Medicine, Education in Latest Career Phase
http://www.xconomy.c[...]
Luke Timmerman for Xconomy
2010-09-20
[10]
논문
Macromolecule synthesis in temperature-sensitive mutants of yeast
1967
[11]
간행물
Pacific Health Summit, About the Summit, 2011
https://web.archive.[...]
2016-03-04
[12]
뉴스
Hartwell to join ASU faculty
http://asunews.asu.e[...]
ASU News
[13]
뉴스
Arizona State University and Virginia G. Piper Charitable Trust tap Nobel Prize winner Dr. Lee Hartwell to lead major health initiative
http://biodesign.asu[...]
Biodesign Institute News
2009-09-29
[14]
웹사이트
Amrita News: Nobel-prize winner is adjunct faculty at Amrita
http://www.amrita.ed[...]
2011-10-06
[15]
웹사이트
Lee Hartwell Lectures
http://www.genetics2[...]
[16]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01, Illustrated Lecture
https://www.nobelp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