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른나무흰개미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른나무흰개미과는 흰개미목에 속하는 과이다. 이 과에는 여러 속이 있으며, Allotermes, Bicornitermes, Bifiditermes, Calcaritermes, Ceratokalotermes, Comatermes, Cryptotermes, Epicalotermes, Eucryptotermes, Glyptotermes, Incisitermes, Kalotermes, Marginitermes, Neotermes, Paraneotermes, Postelectrotermes, Procryptotermes, Proneotermes, Pterotermes, Rugitermes, Tauritermes 등이 포함된다. 또한 마른나무흰개미속(Kalotermes)에는 aemulus, approximatus, atratus, banksiae, brouni, capicola, cognatus, convexus, dispar, disruptus, flavicollis, fossus, gracilignathus, hilli, isaloensis, jepsoni, marianus, monticola, nigellus, nisus, oeningensis, pallidinotum, piacentinii, rhenanus, rufinotum, serrulatus, sinaicus, umtatae, 그리고 Kalotermes sp.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른나무흰개미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칼로테르메스 플라비콜리스(Kalotermes flavicollis), 날개 달린 성충
칼로테르메스 플라비콜리스(Kalotermes flavicollis), 날개 달린 성충
학명Kalotermes
명명자Hagen, 1853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바퀴목
마른나무흰개미과 (Kalotermitidae)
이명

2. 하위 속

마른나무흰개미과에는 여러 (Genus)이 있으며, 이들 속 아래에는 많은 (Species)이 분류된다.

2. 1. 마른나무흰개미과에 속하는 속 목록


  • ''Allotermes''
  • ''Bicornitermes''
  • ''Bifiditermes''
  • ''Calcaritermes''
  • ''Ceratokalotermes''
  • ''Comatermes''
  • ''Cryptotermes''
  • ''Epicalotermes''
  • ''Eucryptotermes''
  • 통짜흰개미속 (''Glyptotermes'')
  • ''Incisitermes''
  • ''Kalotermes''
  • ''Marginitermes''
  • ''Neotermes''
  • ''Paraneotermes''
  • ''Postelectrotermes''
  • ''Procryptotermes''
  • ''Proneotermes''
  • ''Pterotermes''
  • ''Rugitermes''
  • ''Tauritermes''

2. 2. 마른나무흰개미속 (''Kalotermes'')에 속하는 종 목록

다음은 ''Kalotermes'' 속에 속하는 종들이다:[1]

  • ''Kalotermes aemulus'' (Sewell & Gay, 1978)
  • ''Kalotermes approximatus'' (Snyder, 1920)
  • ''Kalotermes atratus'' (Hill, 1933)
  • ''Kalotermes banksiae'' (Hill, 1942)
  • ''Kalotermes brouni'' (Froggatt, 1897)
  • ''Kalotermes capicola'' (Coaton, 1949)
  • ''Kalotermes cognatus'' (Gay, 1976)
  • ''Kalotermes convexus'' ((Walker, 1853))
  • ''Kalotermes dispar'' (Grassé, 1938)
  • ''Kalotermes disruptus'' ((Cockerell, 1917))
  • ''Kalotermes flavicollis'' ((Fabricius, 1793))
  • ''Kalotermes fossus'' (Zhang, Sun & Zhang, 1994)
  • ''Kalotermes gracilignathus'' (Emerson, 1924)
  • ''Kalotermes hilli'' ((Emerson, 1949))
  • ''Kalotermes isaloensis'' ((Cachan, 1949))
  • ''Kalotermes jepsoni'' (Kemner, 1932)
  • ''Kalotermes marianus'' (Hagen, 1853)
  • ''Kalotermes monticola'' (Sjöstedt, 1925)
  • ''Kalotermes nigellus'' (Zhang, Sun & Zhang, 1994)
  • ''Kalotermes nisus'' (Zhang, Sun & Zhang, 1994)
  • ''Kalotermes oeningensis'' (Rosen, 1913)
  • ''Kalotermes pallidinotum'' (Hill, 1942)
  • ''Kalotermes piacentinii'' ((Piton & Théobald, 1937))
  • ''Kalotermes rhenanus'' (Hagen, 1863)
  • ''Kalotermes rufinotum'' (Hill, 1925)
  • ''Kalotermes serrulatus'' (Gay, 1977)
  • ''Kalotermes sinaicus'' (Kemner, 1932)
  • ''Kalotermes umtatae'' ((Coaton, 1949))
  • BOLD:ACN5410 (''Kalotermes'' s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