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바바위왈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바바위왈라비는 페트로갈레속에 속하는 바위왈라비의 일종이다. 1992년에 별도의 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의 마리바 지역 주변에 분포한다. 희귀종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근접종으로 분류되지만, 퀸즐랜드 주 법률에 따라 "관심 필요 없음"으로 분류된다. 2019년 산불 이후에도 개체수가 번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리바바위왈라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etrogale mareeba |
명명자 | Eldridge & Close, 1992 |
상태 | 멸종위기근접 |
상태 기준 | IUCN3.1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캥거루목 |
아목 | 캥거루아목 |
과 | 캥거루과 |
속 | 바위왈라비속 |
2. 분류
마리바바위왈라비는 페트로갈레속 (''Petrogale'') 내에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7종의 종 그룹의 일원이며, 여기에는 케이프요크바위왈라비 (''P. coenensis''), 장식없는바위왈라비 (''P. inornata'') 및 동족바위왈라비 (''P. assimilis'')가 포함된다. 이 종은 1992년에 별도의 종으로 처음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이름과 라틴어 종명 모두 이 종의 마리바 (Mareeba) 정착지 주변 분포를 반영한다.
마리바바위왈라비는 희귀종으로, 케언스 서쪽 고지대에서 마운트 가넷 주변부터 미첼강과 마운트 카바인까지, 내륙으로는 뭉가나까지 발견된다.[3] 몇몇 산맥 정상에서만 서식한다. 이 동물들은 케언스에서 내륙으로 약 60km 떨어진 그래나이트 협곡 자연 공원의 자연 서식지에서 관찰될 수 있다.[4]
마리바바위왈라비는 희귀종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근접종(Near Threatened)으로 분류된다.[2] 그러나 퀸즐랜드주의 ''1992년 자연 보전법''(Nature Conservation Act 1992)에서는 "관심 필요 없음"(Least Concern) 종으로 지정되어 있다.[5]
3. 분포 및 서식지
4. 보전
2019년~2020년 오스트레일리아 산불 당시 서식지 피해로 개체수 감소가 우려되었으나, 이후 모션 감지 카메라 관찰 결과 새로운 새끼들이 발견되는 등 개체수가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 이는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가 운영하는 보호구역의 지속적인 냉각 소각 등 서식지 관리 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6]
4. 1. 분류
마리바바위왈라비는 페트로갈레속(Petrogale)에 속하며, 이 속 내에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는 7종의 그룹에 포함된다. 이 그룹에는 케이프요크바위왈라비(P. coenensis), 장식없는바위왈라비(P. inornata), 동족바위왈라비(P. assimilis) 등이 있다. 마리바바위왈라비는 1992년에 처음으로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았다. 일반적인 이름과 라틴어 종명 모두 이 종이 주로 서식하는 퀸즐랜드주 마리바(Mareeba) 지역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종은 희귀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분류에 따르면 취약근접종(Near Threatened)으로 평가받는다.[2] 하지만 퀸즐랜드주의 ''1992년 자연 보전법''(Nature Conservation Act 1992)에서는 "관심 필요 없음"(Least Concern)으로 분류하고 있다.[5]
4. 2. 산불 이후의 생존
2019년~2020년 오스트레일리아 산불의 일부로, 2019년 12월 부시 헤리티지 오스트레일리아(Bush Heritage Australia)가 운영하는 에이나슬리 근처 요르카 보호구역(Yourka Reserve)에 대형 산불이 발생한 후, 바위왈라비 개체수가 생존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모션 감지 카메라를 사용하여 어미의 육아낭에서 여러 새로운 새끼들이 발견되면서, 개체수가 번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호구역 관리자인 폴 헤일스(Paul Hales)는 수년 동안 냉각 소각을 실시하여 빽빽한 나무 잎을 줄여왔으며, 이는 코카투 풀과 캥거루 풀과 같은 토종 풀의 성장을 막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월의 화재는 나무를 더욱 솎아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25년 만에 처음으로 햇빛이 땅에 닿게 되었다". 새롭게 성장한 풀은 땅에 사는 토종 동물들의 생존을 돕는 데 기여할 것이다.[6]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Petrogale mareeba
2016
[3]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Granite Gorge Nature Park: How to Make the Most of Your Visit
https://travelnq.com[...]
2024-06-30
[5]
웹사이트
Species profile -Petrogale mareeba (Mareeba rock-wallaby)
https://apps.des.qld[...]
2020-06-26
[6]
웹사이트
Mareeba rock-wallabies bounce back after bushfire - and now there's been a baby boom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0-06-26
[7]
간행물
[8]
간행물
Petrogale mareeba
[9]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