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에 4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49는 1771년 2월 19일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처녀자리 은하단의 은하이다. 국부 은하군 밖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은하이며, 5cm 망원경으로는 겨우 보일 정도이다. 30cm 이상의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주변의 작은 타원은하들을 볼 수 있으며, 천체 사진에서는 다수의 은하가 모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62
메시에 62는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전갈자리의 구상 성단으로, 은하수 중심부와 가까워 조석력의 영향으로 편평률이 높고 별의 밀집도가 높아 중심핵 붕괴 가능성이 제기되며, 중심부에서 다수의 X선 쌍성이 발견되고 쌍안경으로 혜성처럼 보이는 특징이 있다. - 1771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48
메시에 48은 샤를 메시에가 1771년에 발견하여 메시에 목록에 등재한 바다뱀자리에 위치한 산개성단이다.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91
메시에 91은 샤를 메시에가 발견한 막대나선은하로,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하며 약 5200만 ~ 5800만 광년 거리에 있고, 우리 은하를 향해 접근하며 빈혈 은하라는 특징을 갖는다. - 처녀자리 은하단 - 메시에 85
메시에 85는 머리털자리에 있는 렌즈형 은하로, 특이한 구조와 은하 병합 흔적을 지니며, 다른 은하들과 상호작용하고 초신성 및 밝은 적색 신성이 관측되었다. - 타원은하 - 스테빈스-휫퍼드 효과
- 타원은하 - 메시에 105
사자자리에 위치한 메시에 105는 렌즈형 은하와 유사한 막대 나선 은하로, 사자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이며 초대질량 블랙홀과 특이한 가스 원반, 늙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메시에 49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처녀자리 |
겉보기 크기 | 10.2 × 8.3 moa |
겉보기 등급 | 8.4 |
형태 | E2, LINER |
거리 | (5,590만 광년) |
크기 | (지름; 25.0 mag/arcsec2 B-밴드 등광도선) |
다른 이름 | NGC 4472, UGC 7629, PGC 41220, Arp 134 |
발견 정보 | |
발견일 | 1771년 2월 19일 |
발견자 | 샤를 메시에 |
발견 방법 | 망원경을 통한 관측 |
물리적 특성 | |
질량 | 5.65 × 108 태양 질량 |
크기 (추정치) | 6 × 30 kpc |
식별 | |
NGC | 4472 |
기타 정보 | |
초신성 | Circular No. 2153 에 따르면 1969년 초신성 SN1969Q가 발견됨. SN 1969Q |
2. 관측 역사
1771년 2월 19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다. 처녀자리 은하단의 은하 중 처음 발견되었으며, 국부 은하군 밖의 은하로서는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발견한 M83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은하이다. 1779년에는 오리아니가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매우 청백색이며, 혜성의 머리 부분과 같다"라고 기록했다. 윌리엄 헨리 스미스는 자신의 저서 베드퍼드 카탈로그에서 오리아니와 메시에의 발견을 혼동하여 "1771년에 오리아니가 발견했다"라고 기재했다. 이 오류는 존 허셜의 일반 목록에도 이어졌으며, 존 루이스 에밀 드레이어의 신일반 목록에서 비로소 수정되었다.
구경 5cm의 망원경으로는 겨우 보일까 말까 하는 천체이다. 6cm에서는 희미하게 보인다. 8cm에서는 빛이 확산되는 모습을 알 수 있다. 10cm에서는 혜성의 머리처럼 흐릿한 모습이 뚜렷해진다. 20cm에서는 중심부 2곳이 잘 빛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밝은 항성이 핵 부분에 인접하여 보이기 때문이다. 구경 30cm 이상으로 보면 근처에 더 작은 은하 (NGC 4464, NGC 4470, NGC 4492)가 보인다. 이들은 모두 타원 은하이다. 구경 50cm 망원경으로는 NGC 4465, NGC 4467이 더 보인다. 천체 사진에서는 근처에 다수의 은하가 모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웹사이트
Messier 49
https://messier.seds[...]
2022-04-29
3. 상세
참조
[2]
웹사이트
Circular No. 2153
http://www.cbat.eps.[...]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2024-12-02
[3]
웹사이트
SN 1969Q
https://www.wis-tns.[...]
IAU
2024-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