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순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순옹주는 고려 우왕의 후궁으로, 기생 출신이다. 1388년 우왕에게 책봉되어 옹주가 되었으며, 우왕 폐위 후 강화도로 유배를 따라갔다. 이후 행적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명순옹주
기본 정보
작위옹주
배우자우왕
자녀없음
연쌍비 (Yeonsangbi)
왕조고려
아버지미상
어머니미상
출생일미상
사망일미상
매장지미상
국적고려

2. 생애

명순옹주는 고려 말 우왕의 총애를 받은 구비삼옹주 중 한 명이다.[1] 기생 출신으로, 이름은 연쌍비(燕雙飛)이다.[2] 충렬왕의 총애를 받던 기생 적선래[3]가 맡았던 교방의 기생으로, 우왕의 후궁이 된 소매향(훗날의 화순옹주)과 같은 교방 출신이라는 이야기도 있다.[4]

1388년(우왕 14년) 음력 2월 현비 안씨, 소매향(화순옹주)과 함께 '''명순옹주'''(明順翁主)로 책봉되었다. 이날 우왕은 동강에 가서 봉천선이라는 배에 올라타고 음악을 연주하며 그곳에서 머물렀다.[8] 연쌍비에게 말 두 필을 하사하고, 함께 데려간 기생 15명에게는 각각 말 한 필씩을 주었다.[9]

1388년(우왕 14년) 음력 6월 이성계 일파에 의해 우왕이 폐위되면서, 근비 이씨 소생의 창왕이 옹립되었다. 이때 근비를 제외한 우왕의 다른 왕비들은 모두 사가로 쫓겨나고 그 아버지들은 모두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10] 우왕의 제2비인 영비 최씨와 연쌍비는 강화도로 유배를 가는 우왕을 시종하여 따라갔다.[11]

이후 명순옹주의 생애, 생몰년, 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다. 우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2. 1. 출신

고려 말 우왕의 총애를 받은 구비삼옹주 중 한 명이다.[1] 원래 기생 출신으로, 이름은 연쌍비(燕雙飛)이다.[2] 충렬왕의 총애를 받던 기생 적선래[3]가 맡았던 교방의 기생으로, 우왕의 후궁이 된 소매향(훗날의 화순옹주)과 같은 교방 출신이라는 이야기도 있다.[4]

2. 2. 후궁 시절

1388년(우왕 14년) 음력 2월 현비 안씨, 소매향(화순옹주)과 함께 책봉되어 '''명순옹주'''(明順翁主)로 불렸다. 이날 우왕은 동강에 가서 봉천선이라는 배에 올라타고 음악을 연주하며 그곳에서 머물렀다.[8] 연쌍비에게 말 두 필을 하사하고, 함께 데려간 기생 15명에게는 각각 말 한 필씩을 주었다.[9]

2. 3. 우왕 폐위 후

1388년(우왕 14년) 음력 6월 이성계 일파에 의해 우왕이 폐위되면서, 근비 이씨 소생의 창왕이 옹립되었다. 이때 근비를 제외한 우왕의 다른 왕비들은 모두 사가로 쫓겨나고 그 아버지들은 모두 유배를 가게 되었는데,[10] 우왕의 제2비인 영비 최씨와 연쌍비는 강화도로 유배를 가는 우왕을 시종하여 따라갔다.[11]

이후 명순옹주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알 수 없으며, 생몰년이나 능지에 대한 기록 역시 남아있는 것이 없다. 우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3. 기타

《사가시집》 제7권에 연쌍비가 등장하는 시가 1편 전한다.[12]

4. 가족 관계


  • 남편 : 제32대 우왕 (1365~1389, 재위: 1374~1388)

참조

[1]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구비삼옹주〉항목 http://100.naver.com[...]
[2]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명순옹주〉항목 https://web.archive.[...] 2012-06-30
[3] 문서 《동국통감》권40 고려기 1296년 가을 7월 https://terms.naver.[...]
[4] 서적 야사로 보는 고려의 역사 2 가람기획 2005-03-25
[5]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명순옹주〉항목 http://100.naver.com[...]
[6] 웹인용 《오주연문장전산고》경사편 5 - 논사류 1 https://web.archive.[...] 2018-11-22
[7] 문서 《고려사》권136〈열전〉권49 - 우왕 13년 2월 - 왕이 기생과 함께 귀경하다
[8] 문서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우왕 14년 2월 - 안숙로의 딸을 현비로 책봉하고 소매향과 연쌍비를 옹주로 삼다
[9] 웹인용 《고려사절요》제33권 - 1388년 https://web.archive.[...] 2018-11-22
[10] 문서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창왕 즉위년 6월 - 왕의 어머니 근비를 왕대비로 높여 책봉하고 전 왕의 왕비와 옹주를 모두 쫓아내다
[11] 문서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우왕 14년 6월 - 왕이 영비와 함께 강화로 떠나다
[12] 웹인용 《사가시집》제7권 -〈호관(壺串)〉 https://web.archive.[...] 2018-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