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에 위치한 문화재로, 1687년에 건립된 묵계서원과 안동 김씨 종택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묵계서원은 응계 옥고와 보백당 김계행을 제향하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사당이 훼철되었으나 최근 복원되었다. 1980년 6월 17일 서원주사, 서원사당지, 종택정침, 보백당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교육 및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경상북도에서 지정한 민속문화재 101호부터 200호까지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 안동 태고정
  • 안동 김씨 - 김승희 (1954년)
    김승희는 약학 및 화학 전문가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요 보직과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에 지명되었으나 임명되지는 못했고 현재는 법무법인 고문으로 활동 중이다.
  • 안동 김씨 - 김소연 (1980년)
    1994년 드라마 《공룡선생》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연(1980년)은 다수의 드라마 출연과 10대 스타로서 인기를 얻었으며, 《아이리스》와 《펜트하우스》 시리즈를 통해 재기에 성공,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과 SBS 연기대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경상북도의 서원 - 매림서원
    곽수강과 오선기를 배향하고 고령 매림재소장판목을 보관하는 매림서원은 서원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중요한 서원이다.
  • 경상북도의 서원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안향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묵계서원
묵계서원
개요
종류서원
지정 종류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지정 번호19
지정일1980년 6월 17일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충효로 1736-5, 735-1 (묵계리)
수량3동 1식
상세 정보

2. 역사

묵계서원은 응계 옥고(1382∼1436) 선생과 보백당 김계행(1431∼1517) 선생을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이다.[1] 숙종 13년에 지어졌으나, 고종 6년(1869)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사당은 없어지고 강당만 남아 있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묵계종택은 서원에서 멀지 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으며, 종택 안에는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제청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백당이 있다.

2. 1. 건립과 훼철

묵계서원은 응계 옥고(1382∼1436)와 보백당 김계행(1431∼1517)을 추모하기 위해 숙종 13년에 건립된 서원이다.[1] 고종 6년(1869),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은 훼철되었으나 강당은 존치되었다가 최근에 서원이 복원되었다.[1]

강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가운데는 마루를 깔고 양 옆에는 온돌을 설치한 일반적인 형태이다.[1] 서원 왼쪽에는 서원을 관리하는 ㅁ자형 주사가 있다.[1]

2. 2. 복원과 현재

1980년 6월 17일 묵계서원 주사, 서원사당지, 종택정침, 보백당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종 6년(1869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은 없어지고 강당만 남아 있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현재 묵계서원은 교육 및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며,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개방되고 있다.

3. 건축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의 건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이다.

3. 1. 강당

강당은 정면 5칸·측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중앙에 마루를 배치하고 양쪽에 온돌방을 둔 전형적인 서원 강당 건축 양식을 보인다.[1] 서원 왼쪽에는 이 서원을 관리하는 ㅁ자형 주사가 있다.[1]

3. 2. 서원주사

묵계서원 왼쪽에 이 서원을 관리하는 ㅁ자형 주사가 있다.

3. 3. 서원사당지

훼철된 묵계서원 사당 터의 모습이다.

3. 4. 묵계종택

묵계종택은 묵계서원에서 멀지 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종택 안에는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제청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백당이 있다.[1]

3. 5. 보백당

안동 김씨 묵계종택 안에는 조상의 제사를 모시는 제청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백당이 있다.[4]

4. 주요 인물

묵계서원 및 안동 김씨 묵계종택과 관련된 주요 인물로는 응계 옥고와 보백당 김계행이 있다. 응계 옥고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묵계서원에 배향되었다. 보백당 김계행 역시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며, 안동 김씨로 묵계서원에 배향되었다.

4. 1. 응계 옥고 (1382∼1436)

'''응계 옥고'''(玉沽중국어, 1382∼1436)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묵계서원에 배향되었다.[1]

4. 2. 보백당 김계행 (1431∼1517)

보백당 김계행(1431∼1517)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안동 김씨이며, 묵계서원에 배향되었다.[1]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햇볕정책)은 김계행과 같은 선현들의 화합과 포용 정신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5. 문화재 지정 현황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19-1호서원주사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1980년 6월 17일
19-2호서원사당지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1980년 6월 17일
19-3호종택정침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1980년 6월 17일
19-4호보백당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1980년 6월 17일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김계행 金係行 http://100.nate.com/[...] 2011-06-10
[2] 웹사이트 옥고 玉沽 http://100.nate.com/[...] 2011-06-10
[3] 웹사이트 묵계서원 默溪書院 http://100.nate.com/[...] 2011-06-10
[4] 웹사이트 Andong Mukgye Jongtaek http://eng.cultureko[...] 2011-07-25
[5] 서적 Floral lattices, columns and pavilions: a study of Korea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