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앙사뚠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앙사뚠군은 태국 사뚠 주의 행정 구역으로, 사뚠 주의 주도이다. 1833년 샴 왕국에 대한 보복으로 끄다(Kedah)가 분할되면서 므앙 사툰이 나콘시탐마랏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 1897년 몬톤 사이부리 아래 재통합되었고, 1909년 영국-시암 조약으로 사툰만 시암에 남았다. 므앙사뚠 군은 12개의 땀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지리적으로는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탈레반 해양 국립공원과 타루타오 국립 해양 공원 등 국립공원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므앙사뚠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므앙사뚠 |
현지 명칭 | เมืองสตูล |
현지 명칭 (언어) | th |
유형 | 군 |
![]() | |
위치 | 사뚠 주 내 위치 |
행정 | |
국가 | 태국 |
주 | 사뚠 |
군청 소재지 | 끌롱 쿳 |
통계 | |
인구 (2005년) | 101557 |
면적 (km²) | 880.2 |
인구 밀도 (km²) | 115.4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91000 |
지역 코드 | 9101 |
시간대 | ICT |
UTC 오프셋 | +7 |
2. 역사
1833년 라마 3세는 샴 왕국에 대한 보복으로 사이부리(끄다)를 쿠방 파수, 사이부리, 팔리스, 사툰의 4개 ''므앙''으로 분할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므앙 사툰을 나콘시탐마랏 왕국에 두었고, 이 왕국은 세툴 맘방 세가라로 알려졌다.[1]
1897년 출라롱콘 왕(라마 5세)은 새로 설립된 몬톤 사이부리 아래 이 네 도시를 재통합했다. 1909년 영국-시암 조약 체결 당시 사툰만이 시암에 남았고, 1910년 푸껫 몬톤에 배치되어 1933년까지 유지되었다.[1]
원래 사툰 주는 2개의 구와 1개의 소구로 나뉘었다. 맘방(맘방/มำบังth)은 이 2개의 원래 구 중 하나였으며, 1938년 모든 수도 구가 해당 주 이름에 따라 명명되면서 "므앙 사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사툰(Satun)은 말레이어 "세툴(setul)"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사톤"을 의미한다. 이전 명칭은 맘방군(암프 맘방/อำเภอมำบังth)이었는데, 이는 말레이어로 "정령"을 의미한다.[2] 또한 사툰은 말레이어로 '''누가리사토이맘방상가라''' (나크리 사토이 맘방 상카라/นครีสะโตยมำบังสังคาราth)라는 뜻의 별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다 정령의 사톤의 도시"라는 의미이다.[3]
2. 1. 세툴 맘방 세가라 왕국
1833년 라마 3세는 샴 왕국에 대한 보복으로 사이부리 (끄다)를 쿠방 파수 구, 사이부리, 팔리스, 사툰의 4개 ''므앙''으로 분할하라고 명령했다. 그는 므앙 사툰을 나콘시탐마랏 왕국에 두었고, 이 왕국은 세툴 맘방 세가라로 알려졌다.1897년 출라롱콘 왕(라마 5세)은 새로 설립된 몬톤 사이부리 아래 이 네 도시를 재통합했다. 1909년 영국-시암 조약 체결 당시 사툰만이 시암에 남았고, 1910년 푸껫 몬톤에 배치되어 1933년까지 유지되었다.
원래 사툰 주는 2개의 구와 1개의 소구로 나뉘었다. 맘방(มำบัง)은 이 2개의 원래 구 중 하나였으며, 1938년 모든 수도 구가 해당 주 이름에 따라 명명되면서 "므앙 사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사툰(Satun)은 말레이어 "세툴(setul)"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사톤"을 의미한다. 이전 명칭은 맘방군(암프 맘방/อำเภอมำบังth)이었는데, 이는 말레이어로 "정령"을 의미한다.[2] 또한 사툰은 말레이어로 '''누가리사토이맘방상가라''' (나크리 사토이 맘방 상카라/นครีสะโตยมำบังสังคาราth)라는 뜻의 별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다 정령의 사톤의 도시"라는 의미이다.[3]
2. 2. 몬톤 사이부리, 푸껫
라마 3세는 샴 왕국에 대한 보복으로 사이부리 (끄다)를 4개의 별도 ''므앙''으로 분할하라고 명령했는데, 1833년에 쿠방 파수, 사이부리, 팔리스, 사툰이 그것이다.[1] 그는 므앙 사툰을 나콘시탐마랏 왕국에 두었고, 이 왕국은 세툴 맘방 세가라로 알려졌다.[1]1897년, 출라롱콘 왕(라마 5세)은 새로 설립된 몬톤 사이부리 아래 이 네 도시를 재통합했다.[1] 1909년 영국-시암 조약 체결 당시, 사툰만이 시암에 남았고, 1910년 푸껫 몬톤에 배치되어 1933년까지 유지되었다.[1]
2. 3. 므앙사뚠 군
1909년 영국-시암 조약을 체결했을 때, 사툰 주는 샴 왕국에 남았고, 1910년 푸껫 (มณฑลภูเก็ต) 몬톤에 배치되어 1933년까지 유지되었다.[1]원래 사툰 주는 2개의 구와 1개의 소구로 나뉘었다. 맘방(มำบัง)은 이 2개의 원래 구 중 하나였으며, 1938년 모든 수도 구가 해당 주 이름에 따라 명명되면서 "므앙 사툰"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사툰(Satun)은 말레이어 "세툴(setul)"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사톤"을 의미한다. 이전 명칭은 맘방군(อำเภอมำบังth, Mambang)이었는데, 이는 말레이어로 "정령"을 의미한다.[2] 또한 사툰은 말레이어로 '''누가리사토이맘방상가라''' (นครีสะโตยมำบังสังคาราth)라는 뜻의 별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바다 정령의 사톤의 도시"라는 의미이다.[3]
라마 3세는 샴 왕국에 대한 보복으로 사이부리 (끄다)를 4개의 별도 ''므앙''으로 분할하라고 명령했고 므앙 사툰을 나콘시탐마랏 왕국에 두었다. 이 왕국은 세툴 맘방 세가라로 알려졌다.
1897년, 출라롱콘 왕(라마 5세)은 새로 설립된 몬톤 (มณฑล) 사이부리 아래 이 네 도시를 재통합했다.
3. 지리
인접 지역은 북서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사툰 주의 타패군, 쿠안돈군, 말레이시아의 페를리스 주, 그리고 안다만 해이다. 므앙사뚠 군은 마무반 강이 형성한 평야에 위치해 있다. 군의 동부는 산악 지형이며, 탈레반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산맥은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을 형성한다. 동쪽으로는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타루타오 섬과 그 동쪽의 아당 섬, 라위 섬 또한 므앙사뚠 군의 영역이다. 이 섬들은 타루타오 제도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사뚠은 태국의 광섬유 해저 통신 케이블의 착륙 지점, 즉 28,000km 길이의 FLAG(Fiber-Optic Link Around the Globe)의 FEA(FLAG 유럽 아시아) 세그먼트와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동 및 서유럽과 연결하는 49,000km 길이의 SEA-ME-WE 3을 유치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교통은 사뚠 공항이 있으며, 랑카위 섬으로 가는 항구와 체빌란 항이 있다. 랑카위 섬으로는 2008년 6월 현재 하루 세 편의 배가 운행되고 있다. 또한, 국도 416호선이 북서쪽으로 뻗어 트랑 방면으로, 국도 406호선이 북쪽으로 뻗어 랏타품 방면으로 이어진다.
'''국립공원'''
므앙사뚠 군에는 타루타오 국립 해양 공원과 탈레 반 국립 공원이 있다. 타루타오 국립 해양 공원은 타루타오와 아당 군도를 포함한다. 탈레 반 국립 공원은 말레이시아와의 경계 지역 일부를 보호한다. 므앙사뚠 군의 동부는 산악 지형이며, 탈레반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산맥은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을 형성한다. 동쪽 바다에 있는 타루타오 섬과 그 동쪽의 아당 섬, 라위 섬 또한 므앙사뚠 군의 영역이며, 타루타오 제도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3. 1. 국립공원
므앙사뚠 군에는 타루타오 국립 해양 공원과 탈레 반 국립 공원이 있다. 타루타오 국립 해양 공원은 타루타오와 아당 군도를 포함한다. 탈레 반 국립 공원은 말레이시아와의 경계 지역 일부를 보호한다. 므앙사뚠 군의 동부는 산악 지형이며, 탈레반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 산맥은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을 형성한다. 동쪽 바다에 있는 타루타오 섬과 그 동쪽의 아당 섬, 라위 섬 또한 므앙사뚠 군의 영역이며, 타루타오 제도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3. 2. 통신
4. 교통
5. 경제
군 내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다. 농업에서는 쌀, 팜유, 고무나무 등이 생산된다.
6. 행정 구역
므앙사뚠 군은 12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그 아래에 67개의 촌락(무반)이 있다. 자치체(테사반)는 다음과 같다.
- 테사반므앙 사뚠 - 땀본 피만 전체
- 테사반땀본 찰룽 - 땀본 찰룽 일부
- 테사반땀본 쩨비랑 - 땀본 쩨비랑 일부
- 테사반땀본 클롱꿷 - 땀본 클롱꿷 전체
또한, 군 내에는 10개의 땀본 행정체(옹칸보리한쑤언땀본)가 있다.
번호 | 이름 | 태국어 이름 | 마을 | 인구 |
---|---|---|---|---|
1. | 피만 | พิมานth | - | 21,498 |
2. | 클롱 쿳 | คลองขุดth | 7 | 16,790 |
3. | 쿠안 칸 | ควนขันth | 6 | 6,702 |
4. | 반 쿠안 | บ้านควนth | 7 | 9,684 |
5. | 찰룽 | ฉลุงth | 14 | 11,989 |
6. | 코 사라이 | เกาะสาหร่ายth | 7 | 4,848 |
7. | 탄용 포 | ตันหยงโปth | 3 | 2,829 |
8. | 체빌랑 | เจ๊ะบิลังth | 6 | 9,032 |
9. | 탐 말랑 | ตำมะลังth | 3 | 4,850 |
10. | 푸유 | ปูยูth | 3 | 2,869 |
11. | 쿠안 포 | ควนโพธิ์th | 6 | 5,099 |
12. | 케트리 | เกตรีth | 6 | 5,367 |
6. 1. 지방 자치 단체
므앙사뚠군은 12개의 땀본(ตำบล)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67개의 무반(หมู่บ้าน)으로 세분된다. 사뚠 타운(thesaban mueang, เทศบาลเมือง)은 피만(Phiman) 땀본을 관할한다. 3개의 읍(thesaban tambon, เทศบาลตำบล)이 있는데, 찰룽(Chalung)과 체 비 랑(Che Bi Lang)은 각각 동일한 이름의 땀본 일부를 관할하고, 클롱 쿳(Khlong Khut)은 클롱 쿳 땀본을 관할한다. 또한 10개의 땀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번호 | 이름 | 태국어 이름 | 마을 | 인구 |
---|---|---|---|---|
1. | 피만 | พิมานth | - | 21,498 |
2. | 클롱 쿳 | คลองขุดth | 7 | 16,790 |
3. | 쿠안 칸 | ควนขันth | 6 | 6,702 |
4. | 반 쿠안 | บ้านควนth | 7 | 9,684 |
5. | 찰룽 | ฉลุงth | 14 | 11,989 |
6. | 코 사라이 | เกาะสาหร่ายth | 7 | 4,848 |
7. | 탄용 포 | ตันหยงโปth | 3 | 2,829 |
8. | 체빌랑 | เจ๊ะบิลังth | 6 | 9,032 |
9. | 탐 말랑 | ตำมะลังth | 3 | 4,850 |
10. | 푸유 | ปูยูth | 3 | 2,869 |
11. | 쿠안 포 | ควนโพธิ์th | 6 | 5,099 |
12. | 케트리 | เกตรีth | 6 | 5,367 |
6. 2. 땀본 행정 기구
므앙사뚠 군은 12개의 땀본(tambon, ตำบล)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67개의 무반(หมู่บ้าน)으로 세분된다. 사뚠 타운(테사반므앙, เทศบาลเมือง)은 피만(Phiman) 땀본을 관할한다. 3개의 읍(테사반땀본, เทศบาลตำบล)이 있는데, 찰룽(Chalung)과 체 비 랑(Che Bi Lang)은 각각 동일한 이름의 땀본 일부를 관할하고, 클롱 쿳(Khlong Khut)은 클롱 쿳 땀본을 관할한다. 또한 10개의 땀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번호 | 이름 | 태국어 이름 | 마을 | 인구 |
---|---|---|---|---|
1. | 피만 | พิมานth | - | 21,498 |
2. | 클롱 쿳 | คลองขุดth | 7 | 16,790 |
3. | 쿠안 칸 | ควนขันth | 6 | 6,702 |
4. | 반 쿠안 | บ้านควนth | 7 | 9,684 |
5. | 찰룽 | ฉลุงth | 14 | 11,989 |
6. | 코 사라이 | เกาะสาหร่ายth | 7 | 4,848 |
7. | 탄용 포 | ตันหยงโปth | 3 | 2,829 |
8. | 체빌랑 | เจ๊ะบิลังth | 6 | 9,032 |
9. | 탐 말랑 | ตำมะลังth | 3 | 4,850 |
10. | 푸유 | ปูยูth | 3 | 2,869 |
11. | 쿠안 포 | ควนโพธิ์th | 6 | 5,099 |
12. | 케트리 | เกตรีth | 6 | 5,367 |
6. 3. 땀본 목록
므앙사뚠 군은 12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67개의 무반으로 세분된다. 사뚠 타운(테사반 므앙)은 땀본 피만 전체를 관할한다. 3개의 읍(테사반 땀본)이 있는데, 찰룽과 체 비 랑은 각각 동일한 이름의 땀본 일부를 관할하고, 클롱 쿳은 땀본 클롱 쿳 전체를 관할한다. 또한 10개의 땀본 행정 기구(TAO)가 있다.번호 | 이름 | 태국어 이름 | 마을 | 인구 |
---|---|---|---|---|
1. | 피만 | พิมานth | - | 21,498 |
2. | 클롱 쿳 | คลองขุดth | 7 | 16,790 |
3. | 쿠안 칸 | ควนขันth | 6 | 6,702 |
4. | 반 쿠안 | บ้านควนth | 7 | 9,684 |
5. | 찰룽 | ฉลุงth | 14 | 11,989 |
6. | 코 사라이 | เกาะสาหร่ายth | 7 | 4,848 |
7. | 탄용 포 | ตันหยงโปth | 3 | 2,829 |
8. | 체빌랑 | เจ๊ะบิลังth | 6 | 9,032 |
9. | 탐 말랑 | ตำมะลังth | 3 | 4,850 |
10. | 푸유 | ปูยูth | 3 | 2,869 |
11. | 쿠안 포 | ควนโพธิ์th | 6 | 5,099 |
12. | 케트리 | เกตรีth | 6 | 5,367 |
참조
[1]
간행물
http://www.ratchakit[...]
1938-11-14
[2]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กฤษฎีกาเปลี่ยนนามจังหวัด และอำเภอบางแห่ง พุทธศักราช ๒๔๘๑
http://www.ratchakit[...]
2481-11-14
[3]
문서
ประพนธ์ เรืองณรงค์: "สตูล", ''รัฐปัตตานื ใน "ศรืวิชัย"'', สุจิตต์ วงษ์เทศ, บรรณาธิการ. กรุงเทพฯ: สำนักพิมพ์มติชน, 2547, p.356 ISBN 97897432318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