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 국제 대회에 처음 등장하여, 1980년대 세계 배구 강호로 부상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2연패를 달성했으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6년 우승, 1994년과 2018년에 동메달을 획득했고, 월드컵에서는 1985년, 2015년, 2023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월드 리그에서 2번, 네이션스 리그에서 1번 우승하는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가대표팀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4회 우승, 올림픽 5회 금메달 획득 등 세계 최강의 여자 축구팀으로, 임금 형평성 문제와 같은 법적 분쟁을 겪었으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미국의 국가대표팀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와 CONCACAF 회원국으로서 월드컵 3위, 골드컵 7회 우승, 네이션스리그 3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최근 유럽 리그에서 활약하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올림픽 배구 메달리스트 -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
    일본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7년 창설된 일본 배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올림픽 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1회를 획득했으며,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올림픽 배구 메달리스트 -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배구계의 강자로 군림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배구 연맹으로부터 대회 참가 금지 조치를 받았다.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국 국기
국기
연맹미국 배구 협회
대륙 연맹NORCECA (북중미카리브 배구 연맹)
매니저안드레아 베커
감독존 스페로
웹사이트미국 배구 협회 웹사이트
올림픽
출전 횟수13
첫 출전1964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svg|16px]] 1984, [[파일:Gold medal.svg|16px]] 1988, [[파일:Gold medal.svg|16px]] 2008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15
첫 출전1956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2.svg|16px]] 1986 (금메달)
월드컵
출전 횟수12
첫 출전1977
최고 성적[[파일:Simple gold cup.svg|16px]] 1985, [[파일:Simple gold cup.svg|16px]] 2015 (금메달)
FIVB 랭킹
순위2위 (2024년 3월 기준)
올림픽 메달
1984 로스앤젤레스금메달
1988 서울금메달
2008 베이징금메달
1992 바르셀로나동메달
2016 리우데자네이루동메달
2024 파리동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1986 프랑스금메달
1994 그리스동메달
2018 이탈리아/불가리아동메달
월드컵 메달
1985 일본금메달
2015 일본금메달
1991 일본동메달
2019 일본동메달
2023 일본금메달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메달
2005 일본은메달
FIVB 월드 리그 메달
2008 리우데자네이루금메달
2014 피렌체금메달
2012 소피아은메달
1992 제노바동메달
2007 카토비체동메달
2015 리우데자네이루동메달
FIVB 네이션스 리그 메달
2019 시카고은메달
2022 볼로냐은메달
2023 그단스크은메달
2018 릴동메달
NORCECA 챔피언십 메달
1973 티후아나금메달
1983 인디애나폴리스금메달
1985 산티아고데로스카바예로스금메달
1999 몬테레이금메달
2003 쿨리아칸금메달
2005 위니펙금메달
2007 애너하임금메달
2013 랭리금메달
2017 콜로라도스프링스금메달
2023 찰스턴금메달
1971 아바나은메달
1981 멕시코시티은메달
1987 아바나은메달
1991 리자이나은메달
1993 뉴올리언스은메달
1995 에드먼턴은메달
1997 카과스 / 산후안은메달
2001 브리지타운은메달
2009 바야몬은메달
2011 마야궤스은메달
2019 위니펙은메달
1969 멕시코시티동메달
1975 로스앤젤레스동메달
1977 산토도밍고동메달
1989 산후안동메달
팬 아메리칸 게임 메달
1955 멕시코금메달
1959 시카고금메달
1967 위니펙금메달
1987 인디애나폴리스금메달
1963 상파울루은메달
1971 칼리은메달
1995 마르델플라타은메달
2007 리우데자네이루은메달
1999 위니펙동메달
팬 아메리칸 컵 메달
2006 멕시칼리금메달
2008 위니펙금메달
2009 치아파스금메달
2010 산후안금메달
2012 산토도밍고금메달
2011 가티노은메달
2014 티후아나은메달
2024 산토도밍고은메달
2021 산토도밍고동메달
2022 가티노동메달
아메리카 컵 메달
2005 상레오폴두금메달
2007 마나우스금메달
1999 탬파은메달
2000 상베르나르두동메달
굿윌 게임 메달
1986 모스크바은메달

2. 역사

미국 배구 대표팀은 1955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게임 배구 종목에서 우승하며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등장했다.[1] 1956년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6위를 기록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배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올림픽에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고, 당시 대표팀 감독은 해리 윌슨이었다.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짐 콜먼 감독의 지휘 아래, 강력한 우승 후보이자 디펜딩 챔피언인 소련을 3-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 소련이 최종 우승했고, 미국은 브라질, 멕시코, 벨기에를 꺾고 7위로 마감했다.

1968년 올림픽 이후 미국은 3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1970년대에는 다른 국제 대회에서도 낮은 순위에 머물렀다. 1975년에는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처음으로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고, 1977년과 1979년 북중앙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쳤다.

미국 배구 협회(USA Volleyball)는 1927년에 설립되었으며,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창립 멤버였다.[1]

2. 1. 초기 역사 (1955년 ~ 1970년대)

미국 배구 대표팀은 1955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팬아메리칸 게임 배구 종목에서 우승하며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등장했다.[1] 1956년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6위를 기록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배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첫 올림픽에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고, 당시 대표팀 감독은 해리 윌슨이었다.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짐 콜먼 감독의 지휘 아래, 강력한 우승 후보이자 디펜딩 챔피언인 소련을 3-2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 소련이 최종 우승했고, 미국은 브라질, 멕시코, 벨기에를 꺾고 7위로 마감했다.

1968년 올림픽 이후 미국은 3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1970년대에는 다른 국제 대회에서도 낮은 순위에 머물렀다. 1975년에는 팬아메리칸 게임에서 처음으로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고, 1977년과 1979년 북중앙아메리카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에 그쳤다.

미국 배구 협회(USA Volleyball)는 1927년에 설립되었으며, 1947년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창립 멤버였다.[1]

2. 2. 전성기 (1980년대)

미국 배구 대표팀은 1980년대에 세계 배구 강호로 떠올랐다.[11]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 대표팀은 조별 리그에서 브라질에게 패했지만 결승에서 3세트 모두 승리하며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당시 미국 대표팀 감독은 1977년부터 대표팀에 합류한 더그 빌이었다. 소련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참가를 거부했기 때문에, 소련이 출전하지 않은 덕분에 미국이 우승할 수 있었다는 평가도 있었다.[11]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머브 던피가 미국 대표팀의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그가 감독으로 있던 시기는 미국 대표팀은 세계 정점에 올라섰다. 1985년 배구 월드컵에서 미국은 소련을 2-1로 꺾고 전승 우승을 차지했다.[5] 이후 서울에서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 결승전에서 미국은 소련을 꺾고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11] 1980년대 후반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눈부신 성적을 거두었다.[11]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프레드 스트럼이 대표팀을 이끌었고, 미국 대표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2. 3. 1990년대 ~ 2000년대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프레드 스트럼이 이끈 미국 대표팀은 동메달을 획득했다.[2] 이후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1] 4년 전 이탈리아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었다. 미국은 이 대회에 14번 진출하여 8번 10위 안에 들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11] 1990년대에도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2. 4. 2010년대 이후

미국 배구 대표팀은 1980년대 세계 배구 강호로 떠올랐으며, 머브 던피 감독 시기(1985-1988)에 세계 정점에 올랐다. 1985년 배구 월드컵에서 전승 우승을 차지했고, 서울 올림픽 결승에서 소련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1]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2015년 월드 리그의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


2000년대 후반, 미국은 다시 한번 세계 배구 강국으로 부상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결승에서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며 20년 만에 올림픽 정상에 복귀했다.[11] 그러나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8강에서 이탈리아에 패하며 5위에 그쳤다.

2015년, 미국은 월드컵에서 11경기 중 10승을 거두며 우승을 차지, 2016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3][4] 이는 1985년 이후 두 번째 월드컵 우승이었다.[5] 2018년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브라질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6]

3. 국제 대회 기록

3. 1. 올림픽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2연속 금메달을 차지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다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다음은 역대 올림픽 성적을 나타낸 표이다.

연도순위선수단
1964 도쿄9위브라이트, 브라운, 에릭슨, 머레이, 힐, 그리브노우, 해머, 하이랜드, 랭, 넬슨, 오하라, 수와라, 테일러 및 벨라스코.
감독: 윌슨
1968 멕시코7위알스트롬, 브라이트, 데븐포트, 듀크, 헤인, 헨, 메이, 패터슨, 런들, 스탠리, 수와라 및 벨라스코.
감독: 콜먼
1984 로스앤젤레스 금메달베르진스, 벅, 듀웰리어스, 드보락, 키라이, 말로우, 파워스, 샐먼스, 손더스, 선더랜드, 티먼스 및 월디.
감독: 빌
1988 서울 금메달벅, 크브르틀릭, 포춘, 키라이, 루티스, 파티, 루트, 사토, 손더스, 스토크, 태너 및 티먼스.
감독: 던피
1992 바르셀로나
16px
동메달
베커, 브리세노, 크브르틀릭, 포춘, 그린바움, 힐리어드, 이비, 파티, 사무엘슨, 사토, 스토크 및 티먼스.
감독: 스텀
1996 애틀랜타9위, 크브르틀릭, 포춘, 하이든, 이비, 램버트, 랜드리, 니가드, 소렌슨, 스토크, 와츠 및 윈슬로.
감독: 스텀
2000 시드니11위, 바넷, 호프, 하이든, 램버트, 랜드리, 맥코, 밀러, 니가드, 루메인, 설리번 및 위트.
감독: 빌
2004 아테네4위 (), 바넷, 빌링스, 이서턴, 가드너, 호프, 밀러, 프리디, 샐먼, 스탠리, 설리번 및 수크소.
감독: 빌
2008 베이징
16px
금메달
, 가드너, 한센, 호프 (), 램번, 리, 밀러, 프리디, 루니, 샐먼, 스탠리 및 투진스키.
감독: 맥커천
2012 런던5위앤더슨, 홈스, 램번, 리, 로트먼, 맥킨지, 프리디, 루니, 스미스, 스탠리 (), 수크소 및 손턴.
감독: 나이프
2016 리우데자네이루 동메달앤더슨, 러셀, 샌더, 리 (), K. 쇼지, 프리디, 트로이, 자에쉬케, 크리스텐슨, 홀트, 스미스 및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2020 도쿄10위앤더슨, 샌더, 엔싱, 스탈, K. 쇼지 (), 데팔코, 크리스텐슨, 홀트, 자에쉬케, 무아구투티아, 스미스,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2024 파리 동메달앤더슨, 러셀, 젠드릭, 데팔코, 크리스텐슨, 홀트, 마아, 자에쉬케, 무아구투티아, 에이버릴, 스미스,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합계3개의 우승


3. 2. 세계 선수권 대회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프랑스 대회에서 6위를, 1960년 브라질 대회에서 7위를 기록했다. 1966년 체코슬로바키아 대회에서는 11위, 1970년 불가리아 대회에서는 18위를 기록하며 순위가 하락했다. 이후 1974년 멕시코 대회에서 14위, 1978년 이탈리아 대회에서 19위, 1982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 13위를 기록했다.

1986년 프랑스 대회에서는 드보락, 손더스, 샐몬스 등이 활약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감독은 던피였다.

1990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13위를 기록했으나, 1994년 그리스 대회에서는
|16px]]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8년 일본 대회와 2002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는 각각 9위를 기록했다.

2006년 일본 대회에서는 10위를 기록했으며, 폴스터, 램본, 이더튼 등이 참가했다. 감독은 맥커천이었다. 2010년 이탈리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14년 폴란드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으며, 앤더슨, 샌더, 리 등이 참가했다. 감독은 스페로우였다. 2018년 이탈리아/불가리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폴란드/슬로베니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25년 필리핀 대회에는 진출한 상태다.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총 1회 우승을 기록했다.

연도순위
1956 프랑스6위
1960 브라질7위
1966 체코슬로바키아11위
1970 불가리아18위
1974 멕시코14위
1978 이탈리아19위
1982 아르헨티나13위
1986 프랑스 금메달
1990 브라질13위
1994 그리스|16px]] 동메달
1998 일본9위
2002 아르헨티나9위
2006 일본10위
2010 이탈리아6위
2014 폴란드7위
2018 이탈리아/불가리아 동메달
2022 폴란드/슬로베니아6위
2025 필리핀진출
합계1회 우승


3. 3. 월드컵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7년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했다. 1985년 대회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1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여러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다가, 2015년 대회에서 다시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9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3년 일본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연도순위선수 명단
197710위
1985 금메달
19894위
1991
16px
동메달
19954위
19994위
20034위, 설리번, 삭소, 프레디, 밀러, 살몬, 빌링스, 호프, 스탠리, 가드너, 폴스터, 네이브.
감독: 빌
20074위, 루니, 폴스터, 리, 람본, 프레디, 밀러, 살몬, 호프, 스탠리, 핸슨, 가드너.
감독: 맥커천
20116위앤더슨, 루니, 파탁, 리, 로트먼, 프레디, 살몬, 홈즈, 핸슨, 손턴, 홀트.
감독: 나이프
2015 금메달앤더슨, 러셀, 샌더, 리(), 로트먼, K. 쇼지, 트로이, 크리스텐슨, 홈즈, 자블론스키, 홀트, 스미스, 와튼,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2019 동메달앤더슨, 러셀, 젠드릭, 스탈, 드팔코, 사에타, 크리스텐슨 (), 홀트, 패치, 마아, 투아니가, 무아구투티아, 스미스,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2023
일본 월드컵
금메달앤더슨, 러셀, 젠드릭, 엔싱, 드팔코, 다고스티노, 크리스텐슨 (), 홀트, 마아, 재쉬케, 무아구투티아, 에이버릴, 스미스, E. 쇼지.
감독: 스페로우
총계2회 우승


3. 4. 기타 국제 대회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에서는 2005년에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1993년과 2013년에는 5위, 2017년에는 4위를 기록했다. 2005년 대회에서는 맥커천 감독의 지휘 아래 이더튼, 폴스터, 램본, 호프 등의 선수들이 활약했다.
FIVB 월드 리그에서는 2008년과 2014년에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2년, 2007년, 2015년에
'''동메달''', 2012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대회에서는 맥커천 감독과 , 루니, 스탠리 등의 선수들이, 2014년 대회에서는 스페로우 감독과 앤더슨, 루니, 리 등의 선수들이 우승을 이끌었다.
FIVB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2019년, 2022, 2023년에 '''은메달''', 2018년 '''동메달'''을 획득했다.
NORCECA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 10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북중미 지역의 강호임을 입증했다. 특히 2005년 대회에서는 맥커천 감독의 지휘 아래 올리, 폴스터 등의 선수들이, 2013년 대회에서는 스페로우 감독과 앤더슨, 루니 등의 선수들이, 2017년 대회에서는 스페로우 감독과 앤더슨, 러셀 등의 선수들이 활약했다.
팬아메리칸 게임에서는 총 4번 우승했으며, 팬아메리카 컵에서는 총 5번 우승했다. 배구 아메리카스컵에서는 2번 우승했고, 굿윌 게임에서는 1986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NORCECA 선수권 대회의 역대 메달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969년 - 3위
  • 1971년 - 준우승
  • 1973년 - 우승
  • 1975년 - 3위
  • 1977년 - 5위
  • 1979년 - 5위
  • 1981년 - 준우승
  • 1983년 - 우승
  • 1985년 - 우승
  • 1987년 - 준우승
  • 1989년 - 3위
  • 1991년 - 준우승
  • 1993년 - 준우승
  • 1995년 - 준우승
  • 1997년 - 준우승
  • 1999년 - 우승
  • 2001년 - 준우승
  • 2003년 - 우승
  • 2005년 - 우승
  • 2007년 - 우승
  • 2009년 - 준우승
  • 2011년 - 준우승
  • 2013년 - 우승
  • 2015년 - 불참
  • 2017년 - 우승
  • 2019년 - 준우승
  • 2021년 - 5위
  • 2023년 - 우승

4. 팀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5월 10일, 2024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는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의 명단이 발표되었다.[7] 감독은 존 스페로우이다.

No.이름생년월일포지션2023–24 클럽
1맷 앤더슨1987년 4월 18일아포짓2.08m지라아트 방크카시 앙카라/Ziraat Bankası S.K.tr
2아론 러셀1993년 6월 4일아웃사이드 히터2.05m바르타 자비에르시에/Warta Zawierciepl
4제프리 젠드릭1995년 9월 15일미들 블로커2.05mstyle="text-align:left;"|
8토레이 데팔코1997년 4월 10일아웃사이드 히터1.95mJTEKT Stings Aichi일본어
11마이카 크리스텐슨1993년 5월 8일세터1.95m제니트 카잔/VC Zenit-Kazanru
12맥스웰 홀트1987년 3월 12일미들 블로커2.08m상하이 브라이트/Shanghai Men's Volleyball Club중국어
14마이카 마아1997년 4월 16일세터1.92m할크방크 앙카라/Halkbank (men's volleyball)tr
17토마스 재스키1993년 9월 4일아웃사이드 히터1.98mPanasonic Panthers일본어
18개럿 무아구투티아1988년 2월 23일아웃사이드 히터1.95mSpor Toto
19테일러 애버릴1992년 3월 5일미들 블로커2.01m베로 볼리 밀라노/Volley Milanoit
20데이비드 스미스1985년 5월 15일미들 블로커2.00mZAKSA 켕지에진-코질레/ZAKSA Kędzierzyn-Koźlepl
22에릭 쇼지1989년 8월 24일리베로1.82mZAKSA 켕지에진-코질레/ZAKSA Kędzierzyn-Koźlepl


4. 2. 역대 감독




  • (2024년-)

4. 3. 역대 주요 선수

커치 키라이, 스티브 티몬스, 밥 스투블트릭, 크레이그 백, 제프 스토크, 더그 파티, 스콧 포춘, 로버트 사무엘슨, 에릭 사토, 아담 존슨, 로이 볼, 토마스 호프, 라이언 밀러, 가브리엘 가드너, 윌리엄 프리디, 라일리 서먼, 클레이튼 스탠리, 숀 루니, 데이비드 리, 리차드 람본, 케빈 한센, 스콧 타우진스키, 개럿 무아구투티아, 러셀 홈즈, 매튜 앤더슨, 맥스웰 홀트, 미카 크리스텐슨, 테일러 샌더, 아론 러셀, 에릭 쇼지, 벤자민 패치, 제프리 젠드릭, 카일 엔싱, 토리 데팔코는 미국 배구 국가대표팀을 거쳐간 주요 선수들이다.

5. 전술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Volleyball http://ncva.com/info[...] ncva.com 2017-06-22
[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 뉴스 USA wrap up historic World Cup as Italy join them on road to Rio http://www.fivb.org/[...] fivb.org 2015-09-23
[4] 뉴스 USA’s Anderson heads Men’s World Cup Dream Team http://www.fivb.org/[...] fivb.org 2015-09-23
[5] 뉴스 USA end 30 years of hurt with World Cup triumph http://www.fivb.org/[...] fivb.org 2015-09-23
[6] 웹사이트 http://www.volleybal[...]
[7] 웹사이트 USA Volleyball Announces Men's Team for Paris 2024 https://usavolleybal[...] 2024-05-10
[8] 웹사이트 FIVB Senior World Ranking - Men https://en.volleybal[...] FIVB 2024-03-08
[9] 서적 眞鍋政義「精密力」p.106
[10] 웹사이트 SPORTS COMMUNICATIONS - 川北元(全日本女子バレーボールチーム戦術・戦略コーチ)<前編>「既成概念破りの“ハイブリッド6”」 http://www.ninomiyas[...]
[11] 웹사이트 Norceca Volleyball Confederation (NORCECA) http://www.fivb.org/[...] FIVB 2010-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