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태기나무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태기나무아과는 콩과의 아과로, 난초나무족과 박태기나무족을 포함한다. 박태기나무속, 아데놀로부스속, 그리포니아속, 필리오스티그마속, 브레니에레아속, 바우히니아속, 기가시폰속, 틸로세마속, 슈넬라속, 바클리아속, 리시필룸속, 체니엘라속, 라시오베마속, 파네라속 등이 박태기나무아과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박태기나무아과 - 난초나무
  • 박태기나무아과 - 난초나무속
    난초나무속은 쌍둥이 잎이 특징이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덩굴, 관목, 교목 형태의 식물 속으로, 식용, 약용, 관상용 등으로 활용되지만 생태계 교란의 논란도 있다.
  • 2017년 기재된 식물 - 붉은용과
    붉은용과는 니카라과에서 페루 북부까지 자생하며 붉은색 열매와 자주색 과육을 가진 덩굴성 식물로, 식용으로 재배가 용이하며 분류학적 위치가 재정립되었으나 종 내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2017년 기재된 식물 - 흰용과
    흰용과는 덩굴성 선인장으로, 붉은색 껍질에 흰색 과육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어 피타야, 드래곤 푸르트 등으로 불린다.
박태기나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Cercis siliquastrum
Cercis siliquastrum
Phanera variegata
Phanera variegata
학명Cercidoideae
명명자Legume Phylogeny Working Group
모식속박태기나무속 (Cercis L.)
하위 분류본문 참조
이명Bauhiniaceae Martynov 1820
Cerceae Bronn 1822
Cercideae Bronn 1822
화석 범위후기 팔레오세 - 현재
학문적 분류
식물계 (Plantae)
문 (계통 분류군)속씨식물군 (angiosperms)
강 (계통 분류군)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콩목 (Fabales)
콩과 (Fabaceae)

2. 하위 분류

다음 속들이 박태기나무아과에 속한다.[22]


  • 자귀나무속(자귀나무) Cercis|la - 자귀나무, 서양자귀나무
  • Adenolobus|la
  • Griffonia|la
  • Bauhinia Clade
  • Piliostigma|la
  • Brenierea|la
  • 소시카속(소시카) Bauhinia|la - 바우히니아
  • Phanera Clade
  • Gigasiphon|la
  • Tournaya|la
  • Tylosema|la
  • Barklya|la
  • Schnella|la
  • Lysiphyllum|la
  • Phanera|la (Cheniella|la, Lasiobema|la 속을 포함) - 하카마카즈라

2. 1. 난초나무족 (Bauhinieae)

Benth.이 명명한 난초나무족은 다음과 같은 속을 포함한다.[24]

속명(屬名)학명(學名)
난초나무속Bauhinia Plum. ex L.
Barklya F.Muell.
Brenierea Humbert
Cheniella R.Clark & Mackinder
Gigasiphon Drake
Lysiphyllum (Benth.) de Wit
Phanera Lour.
Piliostigma Hochst.
Schnella Raddi
Tylosema (Schweinf.) Torre & Hillc.



''Lysiphyllum hookeri''


''Bauhinia divaricata''

2. 2. 박태기나무족 (Cercideae)


  • 박태기나무속(''Cercis'' L.)[25]
  • ''Adenolobus'' (Harv. ex Benth.) Torre & Hillc.[25]
  • ''Griffonia'' Baill.[25]
  • 자귀나무속(''Cercis'' L.) - 자귀나무, 서양자귀나무
  • 아데노로부스속(''Adenolobus'' (Harv. ex Benth. & Hook.f.) Torre & Hillc.)
  • 그리포니아속(''Griffonia'' Baill.)

3. 계통 분류

콩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26]

분자 계통 발생학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제시한다:[13][15][16][19]

'''박태기나무아과''' (외부군)


  • 박태기나무속
  • 아데놀로부스속
  • 그리포니아속
  • 바우히니아(Bauhinia) Clade
  • Piliostigmala
  • Breniereala
  • 소시카속(소시카) (Bauhiniala) - 바우히니아
  • 파네라(Phanera) Clade
  • Gigasiphonla
  • Tournayala
  • Tylosemala
  • Barklyala
  • Schnellala
  • Lysiphyllumla
  • Phanerala (Cheniellala, Lasiobemala 속을 포함) - 하카마카즈라


다음 속들이 속한다.[22]

4. 멸종된 속

† 바우키스 칼비요-카나델과 세발로스-페리즈[18]

참조

[1] 웹사이트 Fabales https://mobot.org/MO[...] 2023-06-16
[2] 논문 The oldest fossil record of Bauhinia s.s. (Fabaceae) from the Tibetan Plateau sheds light on its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https://www.tandfonl[...] 2023
[3]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4]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9 Royal Botanic Gardens 2014-05-04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Caesalpinioideae (Leguminosae) as Inferred from Chloroplast ''trnL'' Intron Sequences http://www.bioone.or[...]
[6]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Cercis (Fabaceae): Evidence from Nuclear Ribosomal ITS and Chloroplast ''ndhF'' Sequence Data http://www.bioone.or[...]
[7] 논문 A phylogeny of legumes (Leguminosae) based on analysis of the plastid ''matK'' gene resolves many well-supported subclades within the family
[8] 논문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fication in the caesalpinioid legumes
[9] 논문 Legume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in the 21st century: progres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species-rich clades https://www.zora.uzh[...]
[10] 논문 Toward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legumes: Progress report from the 6th International Legume Conference
[11] 논문 Palynological contribution to the systematics and taxonomy of ''Bauhinia s.l.'' (Leguminosae: Cercideae)
[12] 논문 Evolution and diversity of pollen morphology in tribe Cercideae (Leguminosae)
[13] 논문 The genus ''Bauhinia s.l.'' (Leguminosae): A phylogeny based on the plastid ''trnL''–''trnF'' region
[14] 논문 Reorganization of the Cercideae (Fabaceae: Caesalpinioideae) http://www.phytoneur[...]
[15] 논문 Reorganization of the Cercideae (Fabaceae: Caesalpinioideae) http://www.phytoneur[...]
[16] 논문 ''Cheniella'' gen. nov. (Leguminosae: Cercidoideae) from southern China, Indochina and Malesia
[17] 논문 New Combinations in the Genus Phanera (Fabaceae: Cercidoideae) of China 2020
[18] 논문 ''Bauhcis moranii'' gen. et sp. nov. (Cercideae, Caesalpinieae), an Oligocene plant from Tepexi de Rodríguez, Puebla, Mex., with leaf architecture similar to ''Bauhinia'' and ''Cercis''
[19] 논문 Plastid Genome Evolution in the Early-Diverging Legume Subfamily Cercidoideae (Fabaceae)
[20] 웹사이트 Fabaceae マメ科の系統樹 (FabPP, Japanese) https://www.research[...] 2023-04-07
[21]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22] 논문 Testing generic limits in Cercidoideae (Leguminosae): Insights from plastid and duplicated nuclear gene sequences
[23] 문서 Legume Phylogeny Working Group. Taxon 66(1): 68. 2017.
[24] 문서 Bentham, George. In: Hooker, William Jackson. Journal of Botany, being a second series of the Botanical Miscellany 2: 74. 1840.
[25] 문서 Bronn, Heinrich Georg. De Formis Plantarum Leguminosarum 127, 131. 1822.
[26] 저널 인용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