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림 (해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해부학에서 벌림(Abduction, 외전)은 신체 구조물이 정중면(median plane)에서 멀어지는 운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중면을 향해 움직이는 모음(Adduction, 내전)의 반대 운동입니다.
벌림의 예시:


  • 팔: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 (어깨관절 벌림)
  • 다리: 다리를 옆으로 벌리는 동작 (고관절 벌림)
  • 손가락/발가락: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서로 벌리는 동작 (손가락/발가락 벌림). 이 경우, 손가락은 가운뎃손가락, 발가락은 둘째 발가락을 기준으로 벌림과 모음을 정의합니다.
  • 어깨뼈(Scapula): 어깨뼈를 척추에서 멀리 움직이는 동작 (어깨뼈 벌림)
  • 성대(Vocal folds): 성대가 벌어져 소리가 나지 않게 하는 동작
  • 턱, 눈 등에도 벌림 운동이 존재합니다.

벌림에 관여하는 근육:벌림 운동은 여러 근육의 협력으로 이루어집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어깨관절: 어깨세모근(삼각근, Deltoid), 가시위근(Supraspinatus) 등
  • 고관절: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작은볼기근(Gluteus minimus),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e latae) 등
  • 손가락: 등쪽뼈사이근(Dorsal interossei) 등

추가 정보:

  • 벌림과 모음, 굽힘(Flexion)과 폄(Extension), 안쪽돌림(Medial rotation)과 가쪽돌림(Lateral rotation)이 조합된 움직임을 휘돌림(Circumduction)이라고 합니다.
  • 해부학적 자세는 운동면을 설명하기 위한 기준 자세로, 똑바로 선 자세에서 머리, 발가락,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고 손가락을 편 자세입니다.
  • 분자 생물학 (Molecular Biology)에서도 Abduc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해부학적 움직임과 비슷한 맥락으로 사용됩니다.


벌림 (해부학)
개요
라틴어Apertura
영어Aperture
설명몸의 구멍이나 공간의 크기를 의미하며, 특히 눈의 조리개나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이 빛의 양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임.
눈의 벌림
홍채 조절홍채가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
동공 크기밝은 곳에서는 동공이 작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이 커짐.
카메라의 벌림
조리개 조절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
심도조리개 값에 따라 사진의 심도가 달라짐. 조리개를 넓게 열면 심도가 얕아지고, 조리개를 조이면 심도가 깊어짐.
기타
관련 용어조리개
동공
심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