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범망경보살계본(梵網經菩薩戒本) 및 수보살계법(受菩薩戒法)은 불교 경전 및 수계 의식과 관련된 중요한 문헌입니다.
범망경보살계본 (梵網經菩薩戒本)


  • 내용: 범망경(梵網經)은 대승불교의 보살들이 지켜야 할 계율을 설명하는 경전입니다. 특히, 보살계본은 범망경의 하권에 해당하며, 10가지 무거운 계(十重大戒)와 48가지 가벼운 계(四十八輕戒) 등 보살이 지녀야 할 몸가짐, 말씨, 마음 자세 등의 실천 덕목을 담고 있습니다.
  • 역사적 중요성: 신라시대부터 한국 불교 종단의 조직 및 유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승불교의 기본 계율서로서 널리 유통되었습니다.
  • 번역: 후진(後秦) 시대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역했습니다.

수보살계법 (受菩薩戒法)

  • 내용: 보살계를 받는 의식과 절차, 규범 등을 설명하는 문헌입니다. 보살계도량이나 수계법회 등에서 활용됩니다.
  • 구성: 북송(北宋)의 연수(延壽)가 집(集)한 수보살계법(受菩薩戒法)과 진(陳)나라 혜사(惠思)가 찬(撰)한 수보살계의(受菩薩戒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수계 의식 절차 (참고):

1. 거향찬(擧香讚)

2. 예경삼보(禮敬三寶)

3. 정청사법(正請師法)

4. 개도계법(開導戒法)

5. 명청성법(明請聖法)

6. 사불괴신(四不壞信)

7. 참회과법(慘悔過法)

8. 명발원법(明發願法)

9. 계백걸계(啓白乞戒)

10. 수계체법(授戒体法)

11. 선계상법(宣戒相法)

12. 결찬공덕(結讚功德)

13. 계백작증(啓白作證)

14. 찬서(讚瑞)

15. 원문회향(願文回向)

16. 계첩수여(戒牒授與)

17. 폐식(閉式)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같이 묶인 경우)

  • 가치: 범망경보살계본과 수보살계법이 함께 묶여 있는 경우, 경전의 내용과 수계 의식을 함께 이해할 수 있어 더욱 가치가 높습니다.
  • 특징: 고려시대 인쇄본 중에는 드물게 양면에 인쇄된 판본도 있습니다.

추가 정보

  • 범망경보살계본종요(梵網經菩薩戒本宗要): 통일신라 승려 태현(太賢)이 범망경 하권의 보살계본을 바탕으로 보살계의 요체와 대강을 밝힌 해설서입니다.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유형보물
이름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
번호1407
지정일2004년 5월 7일
해제일해당 없음
주소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청주고인쇄박물관 (운천동)
소유자공유
수량1첩
면적해당 없음
좌표해당 없음
시대고려시대
문화재청 ID12,14070000,33
문화재 정보 (충청북도)
국가KOR 충청북도
유형유형문화재
이름수보살계법·범망경보살계본합본
번호227
지정일2003년 8월 14일
해제일2004년 5월 7일
문화재청 ID21,02270000,3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