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조수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보조수용체(co-receptor)는 세포 표면 수용체의 일종으로, 다음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1. 리간드 인식: 1차 수용체 외에 신호전달 분자와 결합하여 리간드 인식을 용이하게 합니다.

2. 신호 전달: 1차 수용체와 함께 작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을 개시하거나 증폭시켜 생물학적 과정을 시작합니다.

보조수용체는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면역 반응:
  • T 세포 활성화: CD4 또는 CD8 보조수용체는 T 세포 수용체(TCR)와 함께 항원제시세포(APC)의 MHC-펩티드 복합체를 인식하여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 B 세포 활성화: CD21 (CR2)은 B 세포에서 보조수용체로 작용하여 B 세포 활성화를 돕습니다.
  • 보체 수용체: 보체 수용체는 보체계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면역 복합체 제거, 식세포 작용, 염증 반응 등에 기여합니다.
  • 병원체 감염: 일부 바이러스는 세포에 침입하기 위해 특정 보조수용체를 이용합니다. 예를 들어, HIV는 CD4와 케모카인 수용체(CCR5 또는 CXCR4)를 보조수용체로 사용하여 T 세포에 감염됩니다.
  • 세포 성장 및 발달: 식물 세포의 피토술포카인 수용체는 보조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를 전달합니다.

보조수용체의 예시:

  • CD4: 보조 T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 면역세포 표면에 발현되며, MHC class II 분자와 결합하여 T 세포 활성화를 돕습니다. HIV의 주요 표적이기도 합니다.
  • CD8: 세포독성 T 세포 표면에 발현되며, MHC class I 분자와 결합하여 세포독성 T 세포 활성화를 돕습니다.
  • CD21 (CR2): B 세포와 소포수지상세포(follicular dendritic cell, FDCs)에서 주로 발현되며, 보체 조각 C3d와 결합하여 B 세포 활성화를 증강시킵니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의 수용체로도 작용합니다.
  • CD19: B 세포 표면에 발현되며, CD21, CD81 등과 함께 B 세포 수용체(BCR)의 신호 전달을 조절합니다.
  • 케모카인 수용체(CCR5, CXCR4): HIV 감염 시 CD4와 함께 보조수용체 역할을 합니다.


보조수용체는 면역 반응, 병원체 감염, 세포 성장 등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하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보조수용체
기본 정보
화학식C₉H₁₃NO₃
분자량183.203g/mol
PubChem CID8285
특성
녹는점170°C (443K)
약리학
ATC 코드A01AD05 (WHO)
C01CA01 (WHO)
R01AA03 (WHO)
생체이용률코의 경우 30~70%
대사간 (주로)
배설소변
화학 데이터
SMILESC[C@H](O)c1ccc(cc1O)NC(C)=O
ChEMBLChEMBL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