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쪽왕관자리 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쪽왕관자리 T(T CrB)는 적색 거성과 백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반복 신성으로 분류된다. 평상시에는 M3 거성처럼 보이지만, 백색 왜성으로의 물질 유입이 증가하면 광도가 증가하여 폭발한다. 1866년과 1946년에 폭발이 관측되었으며, 2015년부터 밝기가 증가하여 2024년 12월 현재 폭발이 임박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체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 천체 - 심원천체
    심원천체는 태양계와 개별 별을 제외한 성단, 성운, 은하 등 모든 천체를 포괄하는 용어로,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관측 활동의 대상이 된다.
북쪽왕관자리 T
관측 정보
기원J2000
겉보기 등급2.0–10.8
별자리북쪽왕관자리
특징
종류적색 거성 + 백색 왜성
분광형M3III+p
변광성반복 신성
측정
시선 속도−27.79
시차1.0920
시차 오차0.0275
궤도 특성
이심률0.0
경사67
세부 정보
구성 요소 1 (적색 거성)적색 거성
질량1.12
반지름75
광도655
표면 온도3,600
표면 중력2.0
금속 함량알 수 없음
자전알 수 없음
나이알 수 없음
구성 요소 2 (백색 왜성)백색 왜성
질량1.37
광도~100
식별 정보
AAVSO1555+26
2MASSJ15593015+2555126
HD143454
HR5958
BD+26° 2765
HIP78322
SAO84129
기타 명칭T Cor Bor
위치
T Coronae Borealis의 위치 (빨간색 원으로 표시)
T Coronae Borealis의 위치 (빨간색 원으로 표시)

2. 설명

북쪽왕관자리 T(T CrB)는 반복 신성으로 분류되는 쌍성계이다. 이 시스템은 크고 차가운 적색 거성과 작고 뜨거운 백색 왜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색 거성에서 백색 왜성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평상시에는 겉보기 등급이 약 10등급으로 어두운 편이지만, 주기적으로 물질 전달이 급증하면서 밝기가 크게 증가하는 폭발 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극적인 밝기 변화 때문에 때때로 '불꽃별'이라고도 불린다.[8] 과거 1866년과 1946년에 밝은 폭발이 관측된 기록이 있다.

2. 1. 물리적 특징



1946년 폭발 전후 T 북쪽왕관자리의 광도 곡선. AAVSO 데이터를 기반으로 함.


반복 신성 T CrB의 AAVSO 광도 곡선(2008년 1월 1일부터 2010년 11월 17일까지). 회전 타원체 변광성의 변동성을 보여준다. 위쪽은 더 밝고 아래쪽은 더 어둡다. 날짜 번호는 율리우스일이다.


T CrB는 크고 차가운 별과 작고 뜨거운 별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차가운 별은 적색 거성이며, 뜨거운 별인 백색 왜성으로 물질을 계속해서 보내고 있다. 백색 왜성은 주변에 강착 원반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전체 시스템은 적색 거성에서 나온 물질로 이루어진 밀집된 구름 속에 가려져 있다.

시스템이 평상시 상태일 때는 적색 거성이 내는 빛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겉보기에는 M3형 거성처럼 보인다. 백색 왜성은 일부 빛을 내지만 주로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한다. 반면, 신성 폭발이 일어날 때는 백색 왜성으로 흘러 들어가는 물질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백색 왜성 자체가 팽창하면서 시스템 전체의 밝기가 크게 증가한다.

평상시 T CrB의 겉보기 등급은 약 10등급으로, 일반적인 쌍안경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하지만 과거 두 차례 큰 폭발이 기록되었는데, 1866년 5월 12일에는 2.0등급, 1946년 2월 9일에는 3.0등급까지 밝아졌다. 다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1866년 폭발의 최대 밝기는 2.5 ± 0.5등급 범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대 밝기인 2.5등급이라 하더라도, 이 반복 신성은 밤하늘에서 약 120개의 다른 별들보다 어둡다.[7] 때때로 '불꽃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8]

이 두 별은 약 228일을 주기로 서로의 주위를 공전한다. 궤도는 거의 원형에 가까우며, 지구에서 보았을 때 약 67° 기울어져 있다. 두 별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0.54 AU이다.

2. 2. 광도 변화



북쪽왕관자리 T는 평소 약 10등급의 겉보기 등급을 가지는데, 이는 일반적인 쌍안경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밝기이다. 역사적으로 두 차례의 큰 폭발(분출)이 기록되었다. 1866년 5월 12일에는 2.0등급까지 밝아졌고, 1946년 2월 9일에는 3.0등급에 도달했다. 다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1866년 폭발의 최대 밝기는 2.5 ± 0.5등급 범위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대 밝기인 2.5등급에 도달하더라도, 이 반복 신성은 밤하늘에서 약 120개의 별보다 어둡다.[7] 때때로 '불꽃별'이라고도 불린다.[8]

이 별은 쌍성계로, 차가운 적색 거성이 뜨거운 백색 왜성으로 물질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평소에는 적색 거성의 빛이 강해 M3형 거성처럼 보이지만, 폭발 시에는 백색 왜성으로의 물질 전달이 급증하며 전체 밝기가 크게 증가한다. 두 별은 약 228일 주기로 서로 공전하며, 별 사이의 거리는 약 0.54 AU이다. AAVSO의 광도 곡선 데이터는 회전 타원체 변광성의 특징적인 밝기 변화를 보여준다.

2015년 2월부터 북쪽왕관자리 T의 밝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5등급에서 약 9.2등급까지 밝아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9] 이는 1946년 폭발이 있기 전인 1938년에 보고된 현상과 유사하다. 2018년 6월에는 밝기가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이례적으로 높은 활동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2023년 중반에는 약 0.35등급 더 어두워져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밝기를 기록했는데,[10] 이 역시 1946년 폭발 직전 해에 관측된 현상과 비슷하다.[11] 이러한 전조 현상 때문에 다음 폭발이 임박했다는 예측이 나왔다.[12] 2024년 12월 기준으로 아직 폭발은 관측되지 않았지만, 곧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13]

여러 연구자들이 예측한 다음 신성 폭발 시기는 다음과 같다.

예측 시기예측 발표 시점출처
2026년 ~ 2027년1946년 (N.F.H. 나이트 또는 W.M. 린들리)[14]
2024년 2월 중순 ~ 2026년 9월 말2023년 3월[15]
2024년 1월 초 ~ 2024년 8월 중순2023년 6월[16]
2024년 1월2023년 8월[17]
2024년 10월 말2024년 6월[18]
2025년 3월 27일경, 2025년 11월 10일경, 2026년 6월 25일경 또는 2027년 2월 8일경2024년 10월[19]


3. 관측 역사

1866년[20]1946년[20]에 증광이 관측되었다. 다음 증광은 2024년 3월부터 9월 사이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20][21], 2024년 10월 현재 아직 큰 증광은 관측되지 않았다.왕관자리 T별 최신 정보

4. 2016년 이후 활동 및 폭발 예측

2016년 4월 20일, ''스카이 앤 텔레스코프''는 2015년 2월부터 북쪽왕관자리 T의 밝기가 10.5등급에서 약 9.2등급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1946년 폭발이 있기 전인 1938년에 관측된 현상과 유사했다.[9] 2018년 6월까지 별의 밝기는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이례적으로 높은 활동 수준을 보였다. 2023년 중반에는 밝기가 0.35등급 더 어두워져 201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10] 1946년 폭발 직전 해에도 비슷한 밝기 감소 현상이 있었기 때문에,[11] 다음 폭발이 임박했다는 예측이 나왔다.[12] 2024년 12월 현재까지 신성 폭발은 관측되지 않았으나, 여전히 임박한 것으로 여겨진다.[13]

과거 1866년[20]1946년[20]에 큰 폭발(증광)이 관측된 바 있으며, 여러 천문학자 및 기관에서 다음 신성 폭발 시기를 아래와 같이 예측했다:

예측 시점예측된 폭발 시기
1946년 (N.F.H. 나이트 또는 W.M. 린들리)2026년 ~ 2027년[14]
2023년 3월2024년 2월 중순 ~ 2026년 9월 말[15]
2023년 6월2024년 1월 초 ~ 2024년 8월 중순[16]
2023년 8월2024년 1월[17]
2024년 6월2024년 10월 말[18]
2024년 10월2025년 3월 27일경, 2025년 11월 10일경, 2026년 6월 25일경 또는 2027년 2월 8일경[19]



일부 예측에서는 2024년 3월에서 9월 사이[20][21] 폭발을 예상했으나, 2024년 10월 기준으로 아직 큰 폭발은 관측되지 않았다.왕관자리 T별 최신 정보

5. 참고 문헌


  • Wallerstein, George; Harrison, Tanya; Munari, Ulisse; Vanture, Andrew (2008년 5월 11일). “The Metallicity and Lithium Abundances of the Recurring Novae T CrB and RS Oph”. 《:en: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20 (867): 492–497. doi:10.1086/587965. Bibcode:2008PASP..120..492W.
  • R과 T 북쪽왕관자리: 두 개의 별 반대 - Sky & Telescope

참조

[1] 논문 The evolution leading to a thermonuclear runaway 2024-06-01
[2] 뉴스 The Night Sky Will Soon Get 'a New Star.' Here's How to See It. - A nova named T Coronae Borealis lit up the night about 80 years ago, and astronomers say it's expected to put on another show in the coming months. https://www.nytimes.[...] 2024-03-08
[3] 논문 The Light-Curves of T Coronae Borealis
[4] 논문 Nova T Coronae of 1866
[5] 논문 The recurrent nova T CrB had prior eruptions observed near December 1787 and October 1217 AD 2023-09-01
[6] 웹사이트 Evidence of mysterious 'recurring nova' that could reappear in 2024 found in medieval manuscript from 1217 https://www.livescie[...] Live Science 2024-03-21
[7] 웹사이트 Vmag<2.5 http://simbad.u-stra[...]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0-06-25
[8] 논문 Heavens for June https://ui.adsabs.ha[...] 2024-07-02
[9] 웹사이트 Is T CrB About to Blow its Top? http://www.skyandtel[...] Sky & Telescope website 2017-08-06
[10] 웹사이트 Announcing T CrB pre-eruption dip https://www.aavso.or[...]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24-01-18
[11] 웹사이트 T Coronae Borealis nova event guide and how to prepare https://www.skyatnig[...] BBC 2024-03-18
[12] 웹사이트 NASA, Global Astronomers Await Rare Nova Explosion - NASA https://www.nasa.gov[...] 2024-07-23
[13] 간행물 T Coronae Borealis nova could become a 'new star' in the sky any day now, and will be as bright as the North Star https://www.skyatnig[...] Our Media 2024-09-03
[14] 논문 An Independent Discovery of the 1946 Eruption of the Recurrent Nova T Coronae Borealis and an Early Prediction of a Future Outburst 2024-06-01
[15] 논문 The B & V light curves for recurrent nova T CrB from 1842-2022, the unique pre- and post-eruption high-states, the complex period changes, and the upcoming eruption in 2025.5 ± 1.3 2023-09-01
[16] 논문 Recurrent nova T CrB has just started its Pre-eruption Dip in March/April 2023, so the eruption should occur around 2024.4 +- 0.3 https://ui.adsabs.ha[...] 2023-06-01
[17] 논문 Recurrent Symbiotic Nova T Coronae Borealis before Outburst https://ui.adsabs.ha[...] 2023-10-01
[18] 논문 The X-ray rise and fall of the symbiotic recurrent nova system T CrB 2024-08-01
[19] 논문 When will the Next T CrB Eruption Occur? 2024-10-01
[20] 웹사이트 いよいよ近づいてきた、かんむり座Tの80年ぶりの新星爆発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24-05-26
[21] 웹사이트 かんむり座で9月までに新星爆発か 約80年ぶり、明るさは北極星並み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