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獐本)은 조선시대 15세기 중엽에 상감 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 장군입니다. 2004년 3월 3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00호로 지정되었으며,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장군의 양측 면은 깔끔하게 마무리되었고, 조선 세종, 세조 시기에 사용되던 인화기법(印花技法)으로 승렴문(繩簾文)이 빽빽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 문양대에는 선상감(線象嵌)으로 커다란 당초문이 율동감 있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 측면은 완전한 직사각형에 가깝고, 양쪽 옆면은 직선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어 양감이 크고 듬직하며 무게감이 느껴집니다.
- 몸통의 듬직함과 같이 입술도 넓고 굵으며, 굽다리도 완전한 직사각형으로 넓게 만들어 붙여 전체적으로 크고 당당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문양:
- 전면에는 윤곽선이 굵은 모란당초문과 조밀하게 찍은 인화문(印花文)을 중심으로 가는 상감선을 사용하였는데, 굵은 면은 더욱 굵고 듬직하게, 가는 선은 섬세하고 유려하게 새겨 넣어 강약의 조화를 꾀하였습니다.
- 넓은 몸통을 수직으로 나누고, 다시 구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나누었습니다. 중심부에는 가는 선상감의 당초문대를 내리고, 좌우편에 간결한 선으로 윤곽을 두른 넓은 잎과 모란꽃을 좌우 대칭으로 면상감 한 후, 옆면 둥근 마구리면은 인화상감을 조밀하게 찍어 넣었습니다.
유약 및 태토:
- 태토는 밝은 회청색이며, 좁쌀만한 크기의 철분이 유층으로 튀어나온 상태입니다.
- 유약(釉藥)은 얇고 투명하여 기포가 거의 없고, 부분적으로 두껍게 뭉친 곳은 약간의 녹색을 띠며 불투명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전체에 결손 부분이 없는 완전한 작품으로, 전면에 망상의 균열이 있고 백토분장은 순수하게 밝은 흰색입니다.
가치:
- 면(面)과 선(線)의 상감기법으로 모란문과 당초문, 그리고 인화문이 몸체 전면에 화려하게 시문(施文)된 분청사기로, 유약이 굽 안바닥에 이르기까지 전면에 시유(施釉)되어 기형, 장식과 더불어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안정감 있는 당당한 기형에 활달하고 대담한 문양, 섬세한 인화기법의 표현 등에서 15세기 분청사기 장군을 대표하는 예이며, 도자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귀중한 자료입니다.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 |
| 지정 번호 | 1400 |
| 지정 연월일 | 2004년 3월 3일 |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
| 소유자 | 박영숙 |
| 수량 | 1점 |
| 제작 시기 | 조선시대 |
| 종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분청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