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 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디오 게임 봇은 비디오 게임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대신하거나, 플레이어 수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서버 봇은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 수를 채우거나 오프라인에서 인간 플레이어처럼 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클라이언트 봇은 플레이어의 사격, 공격, 회복 등의 조작을 대신하여 경험치 획득과 같은 반복 작업을 수행한다. 봇은 게임 밸런스를 해치고 다른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며, 현금 거래(RMT)에 악용되거나 트로이 목마를 심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봇은 정적 봇, 동적 봇, 정적/동적 기능 결합 봇으로 분류되며, 특히 한국 온라인 게임에서 봇 문제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봇 - Lsjbot
Lsjbot은 Lars Sverker Johansson이 개발한 위키백과 문서 자동 생성 봇으로, 세부아노어 위키백과와 스웨덴어 위키백과에 기여했으며, 문서 내용 부족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의 성차별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 인터넷 봇 - IRC 봇
IRC 봇은 IRC 채널에서 자동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채널 관리, 정보 제공, 콘텐츠 관리, 엔터테인먼트 제공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봇 사용 제한, 오작동, 보안 취약점 등의 문제점도 고려해야 한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데스매치
데스매치는 FPS 게임의 한 종류로, 여러 플레이어가 가상 공간에서 서로를 죽여 점수를 얻는 게임 모드이며, 1993년 게임 《둠》을 통해 대중화되어 FPS 게임의 주요 모드로 자리 잡았다. - 비디오 게임 개발 - 게임 서버
게임 서버는 온라인 게임에서 게임 로직 실행과 플레이어 간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운영 주체와 방식에 따라 게임 회사 직접 운영 방식과 사용자 직접 운영 방식으로 나뉘며, 성능, 안정성, 비용 면에서 장단점을 가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 비디오 게임 개발 - 디지털 배급
디지털 배급은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유통하는 방식으로, 음악, 비디오, 도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전통적인 소매업에 영향을 미치며, 신인 아티스트에게 기회를 제공하지만, 호환성 문제와 검열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비디오 게임 봇 |
---|
2. 서버 봇 (Server Bot)
서버 봇은 온라인 게임 등 여러 플레이어가 함께 즐기는 게임에서 플레이어 수를 보충하거나, 오프라인에서 마치 인간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것처럼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1]
2. 1. 초기 FPS 게임에서의 활용
여러 플레이어가 함께 즐기는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 수를 보충하거나, 오프라인에서 마치 인간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것처럼 플레이하기 위한 서버 측 봇은 1990년대 말 즈음에 융성했으며, 퀘이크 III, 언리얼 토너먼트와 같은 FPS 게임에서는 제조사가 제작한 공식 봇이 패키지에 탑재되었다.[1] 또한, 제조사가 봇 개발 환경을 공개하여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다양한 고성능 봇 개발 경쟁이 벌어졌다.[1] 미국에서는 잡지사 주최의 봇 콘테스트가 개최되는 등, PC 게임 Mod 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는 건전한 오락 중 하나였다.[1]3. 클라이언트 봇 (Client Bot)
클라이언트 측 봇은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수행하는 조작(사격, 공격, 회복 등)을 대신 수행한다.[1] 대부분 경험치 획득을 위한 사냥과 같은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여 편리하게 이득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게임 밸런스를 파괴할 수 있어 비난받기도 한다.[1]
단순히 마우스나 키보드 조작을 반복하는 매크로는 봇이 아닌 자동 사냥 매크로라고 불리며, 봇을 사용하는 사람을 봇터(BOTTER)라고 칭하기도 한다.[1]
3. 1. 부정적 측면
클라이언트 측 봇은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를 대신하여 사냥, 아이템 획득 등 단순 반복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봇은 게임 밸런스를 해치고 다른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비판을 받는다.[1]RMT 업자들은 봇을 이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얻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및 신용 훼손죄·업무 방해죄에 해당될 수 있다. 봇 프로그램에 트로이 목마를 심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1]
봇 사용은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을 파괴하고, 일반 사용자들의 플레이 의욕을 저하시킨다. 봇의 횡행으로 게임 밸런스가 무너지고, 게임 자체가 사실상 붕괴되는 경우도 있다.[1]
일부 온라인 게임에서는 봇을 이용하여 상대 진영에 피해를 주거나, 자신의 진영에 이익을 가져다주는 행위도 발생하는데, 이는 게임 자체를 존립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1]
최근에는 봇 제작 도구가 널리 퍼지면서 봇 사용이 더욱 만연해지고 있다. 심지어 봇을 제거하기 위해 봇을 사용하는 악순환마저 나타나고 있다.[1]
라그나로크 온라인, 리니지, 리니지 II, 테일즈위버 등 한국산 MMORPG에서 봇 문제는 특히 심각하게 나타났다. 많은 게임 회사들이 봇 대응에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봇 제작에 게임 개발 관계자가 연루되었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1]
3. 2. 봇 사용의 문제점
봇 사용은 온라인 게임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RMT 업자들은 불법 서버를 통해 게임 서버에 과도한 패킷을 보내 신용 훼손죄·업무 방해죄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며 부당한 이익을 얻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에서 봇 프로그램이 공공연하게 거래되기도 한다.[1]봇의 만연은 서버 과부하 및 데이터 문제를 일으키고, 일반 유저, 특히 라이트 유저들이 게임을 떠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게임 내 경제와 물가도 파탄날 수 있다. 게임 운영 회사와 제작 회사는 봇 때문에 플레이 스타일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고, 게임 밸런스와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1]
일부 악의적인 사용자들은 봇을 이용하여 경쟁 진영 플레이어의 성장을 방해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도 한다. 이는 게임 자체를 망가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
라그나로크 온라인, 리니지, 리니지 II, 테일즈위버 등 주로 한국산 MMORPG에서 봇 문제로 심각한 상황이 발생한 사례가 많다. 많은 게임들이 봇 대책에 많은 인적 자원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1]
봇 프로그램 제작에 게임 운영 관계자가 연루되었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1]
3. 3. 봇 대응의 어려움
'고스트 리플레이'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일반 사용자도 쉽게 봇을 제작, 운용할 수 있게 되면서 봇 문제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심지어 '정의 봇'과 같이 봇에 대항하기 위해 봇을 사용하는 악순환마저 나타나고 있다.게임 개발 및 운영 인력의 잦은 교체와 내부 정보 유출 의혹 등도 봇 대응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온라인 게임 대국인 한국에서 제작되는 게임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 한국 온라인 게임과 봇 문제
라그나로크 온라인, 리니지, 리니지 II, 테일즈위버 등 주로 한국산 MMORPG에서 봇의 범람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사례가 많다. 이러한 게임들은 봇으로 인해 서버에 과도한 부담이 발생하고, 정상적인 유저들의 플레이가 방해받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많은 유저들이 게임을 떠나고,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이 붕괴되는 등의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
게임 운영 회사들은 봇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봇의 만연을 막지 못하거나 봇을 방치하여 게임 밸런스와 게임성 자체가 상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봇 문제의 심각성은 한국 온라인 게임 업계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 잦은 인력 이동, 노사 갈등, 내부 정보 유출 의혹 등으로 인해 봇 문제 해결이 더욱 어려워졌다. 온라인 게임 운영의 핵심 기술 인력이나 개발에 참여했던 전 관계자 등이 봇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
5. 봇의 종류
봇은 작동 방식에 따라 정적 봇과 동적 봇으로 나눌 수 있으며,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가진 봇도 있다. 정적 봇은 미리 만들어진 웨이포인트를 따라 움직이며, 동적 봇은 게임을 하면서 스스로 학습한다. ''퀘이크 III 아레나'' 봇은 맵 주변을 이동하기 위해 지역 인식 시스템 파일을 사용한다.[3]
5. 1. 정적 봇 (Static Bot)
정적 봇은 각 레벨 또는 맵에 대해 미리 만들어진 웨이포인트를 따르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봇은 각 맵에 대해 고유한 웨이포인트 파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카운터-스트라이크'' 봇은 웨이포인트 파일을 사용한다.[3]5. 2. 동적 봇 (Dynamic Bot)
동적 봇은 카운터-스트라이크의 RealBot처럼 게임을 하면서 레벨과 맵을 학습한다.[3] 몇몇 봇은 정적 기능과 동적 기능을 모두 사용하여 설계되기도 한다.5. 3. 정적/동적 기능 결합 봇
봇은 정적이거나 동적일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일 수도 있다. 일부 봇은 정적 기능과 동적 기능을 모두 사용하여 설계된다.[3]참조
[1]
논문
GameBots: A Flexible Test Bed for Multiagent Team Research
http://www.cs.biu.ac[...]
2002-01-01
[2]
웹사이트
Runescape bot nuking event bans 1.5 million bots in one day
http://www.pcgamer.c[...]
2011-11-03
[3]
논문
Quake III Arena Bot thesis paper
http://www.kbs.twi.t[...]
University of Technology Delft Faculty ITS
2001-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