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가곡 '비목'은 한명희가 작사하고 장일남이 작곡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가곡입니다. 1960년대 중반, 한명희는 강원도 화천 백암산 부근 비무장지대에서 군 복무 중 이름 없는 무명용사의 돌무덤을 보고 큰 감명을 받아 시를 썼습니다. 1969년에 발표되었습니다.
비목 가사:(1절)
초연(硝煙)이 쓸고 간 깊은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바람 긴 세월로 이름 모를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 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2절)
궁노루 산울림 달빛 타고 달빛 타고 흐르는 밤
홀로 선 적막감에 울어 지친 울어 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달퍼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곡 정보:
- 작사: 한명희 (1939~)
- 작곡: 장일남 (1932~2006)
- 발표: 1969년
- 형식: 두도막 형식 (A(ab), B(cb'))
- 박자: 4/4박자
- 조성: 라장조 (D Major)와 나단조 (D minor) 음계가 번갈아 사용됨
- 특징: "Andantino lamentoso" (조금 느리고 슬픈 듯이)라는 지시어처럼, 전쟁의 여운과 자연의 아름다움, 무명용사의 희생을 쓸쓸한 느낌으로 묘사했습니다.
비목의 의미와 배경:
- 비목(碑木): 나무로 만든 비석을 의미하며, 돌로 만든 비석(碑石)의 '석(石)'을 '목(木)'으로 바꾼 단어입니다.
- 시대적 배경: 6.25 전쟁 (한국전쟁)의 비극과, 전쟁에서 희생된 무명용사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 비목공원: 강원도 화천군에는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무명용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비목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매년 현충일을 전후하여 비목문화제가 열립니다.
참고 자료:
- 비목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AA%A9](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AA%A9)
- 비목 (Bimok) - 신영옥(Youngok Shin) - YouTube: [https://m.youtube.com/watch?v=zBfWBhSAIO0](https://m.youtube.com/watch?v=zBfWBhSAIO0)
- 비목 가사와 해석 ft 한국가곡 명태 냉면? - 블로그: [https://blog.naver.com/hyoijpp/223122710944](https://blog.naver.com/hyoijpp/223122710944)
- 비목(碑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5](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5)
비목(碑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5](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125)
비목 | |
---|---|
일반 정보 | |
가사 | |
시작 부분 | '초연(硝煙)이 쓸고 간 깊은계곡, 깊은 계곡 양지녘에 비바람 긴 세윌로 이름 모를 이름 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 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이하 생략)…' |
작사 | 한명희 |
관련 정보 | |
종류 | 군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