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빈 천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천문대는 14세기 빈 대학교에서 천문학이 가르쳐진 것을 시작으로, 1756년 마리아 테레지아의 재가로 대학교 건물에 건설되어 운영되었다. 초대 천문대장 막시밀리안 헬의 지도 아래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금성의 태양면 통과 관측을 통해 태양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19세기에는 천문대 위치의 문제로 새로운 천문대 건설이 추진되어 1879년 터크스 힐에 새로운 시설이 완공되었으며, 요한 팔리사는 122개의 소행성과 70개의 성운을 발견했다. 20세기에는 천체물리학 연구가 주류가 되었고 빛 공해로 인해 레오폴트 피글 관측소가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대학교 -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혈 의학 발전과 폴리오 바이러스 분리, M, N, P 혈액형 및 Rh 인자 발견 등 면역학 및 바이러스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여 '수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빈 천문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빈 천문대
로마자 표기Wiena Cheonmundae
원어 이름Universitätssternwarte Wien
원어 표기 (독일어)Universitäts-Sternwarte Wien
이미지
빈 천문대
빈 천문대
위치 정보
위치오스트리아 빈
좌표미제공 (Google Map 참조)
조직 정보
소속빈 대학교
역사
건설 시작1874년
개관1883년
기타 정보
웹사이트빈 대학교 천문대 웹사이트

2. 역사

빈 천문대에서 천문학이 가르쳐진 것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에트문트 바이스, 요한 팔리사, 루돌프 슈피텔러 등이 천문대장 및 주요 연구자로 활동했다. 이후 카시미르 그라프 (1928–1938, 1945–1949), 브루노 튀링 (1940–1945), 요제프 호프만 (1951–1962), 요제프 메우어스 (1962–1979) 등이 천문대장을 역임했다.[1]

2. 1. 초기 (14세기 ~ 18세기 중반)

빈 대학교 설립 직후인 1391년부터 1882년까지 하늘과 지상에 관한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15세기에는 군데의 요하네스, 게오르크 푸어바흐, 레기오몬타누스 등의 천문학자가 있었다. 18세기 초 오스트리아의 회계 장관을 지낸 요한 야콥 마리노니가 빈 자택에 관측탑을 세운 것에 영향을 받아 1733년 예수회가 관측소 지붕에 탑을 세웠다.

2. 2. 설립과 발전 (18세기 중반 ~ 19세기)

마리아 테레지아의 재가를 얻어 대학교에 천문대가 건설되었고, 현재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본부가 있는 대학교 건물 위층에 설치되어 1756년에 사용이 시작되었다. 초대 천문대장에는 35세의 예수회 신부 막시밀리안 헬이 임명되었다. 헬의 지도 아래 빈 천문대는 국제적으로 평가를 높였다. 그는 37권에 달하는 저서 "Ephemerides astronomicae ad meridianum Vindobonensem"을 출판했다. 금성의 태양면 통과를 1761년 빈 천문대에서, 1769년 노르웨이 베르도에서 관측하여 태양까지의 거리를 1.496억km로 계산했다. 천문 관측 외에 위도 기준점이 되었고, 정확한 시각을 측정했으며, 기상 관측도 수행했다.

1800년경 빈 중심지에 위치하여 관측에 부적합한 천문대의 위치 때문에, 소장을 지낸 요한 폰 리트로에 의해 새로운 천문대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승인되지 않았고, 1825년에 기존 시설의 개수가 이루어졌다. 1825년부터 사용되던 망원경은 프라운호퍼가 제작한 15cm 구경의 것이었다.

2. 3. 새로운 천문대 건설과 확장 (19세기 ~ 20세기 초)

카를 폰 리트로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천문대장이 된 후, 빈 중심지에 위치하여 관측에 부적합했던 기존 천문대를 대신할 새로운 천문대 건립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1874년부터 1879년에 걸쳐 터크스 힐의 5.5헥타르 토지에 새로운 천문대가 건설되었다.[1] 이 천문대는 101m와 74m의 십자형 건물로, 중앙에는 14m 관측 돔이, 십자 끝에는 더 작은 돔들이 설치되었다.[1] 그러나 폰 리트로는 1877년에 사망하여 신 천문대의 완성을 보지 못했다.[1]

1869년부터 빈 대학교 교수 에트문트 바이스가 천문대장으로 임명되었고, 요한 팔리사를 고용했다.[1] 팔리사는 1881년부터 1923년 사이에 122개의 소행성을 발견했으며, 70개의 성운을 발견했는데, 이 성운의 대부분은 은하로 확인되었다.[1] 팔리사의 작업은 1890년부터 1892년까지 루돌프 슈피텔러에 의해 더 큰 망원경으로 이어졌고, 1992년 슈피텔러는 주기 혜성 113P/Spitaler를 발견했다.[1]

2. 4. 현대 (20세기 이후)

20세기에 들어 천문학의 주류는 망원경 관측에서 천체물리학으로 바뀌었고, 빈의 빛 공해로 인해 1969년 레오폴트 피글 관측소가 설치되었다.

3. 역대 대장

이름재임 기간주요 업적
막시밀리안 헬1756년–1792년37권 분량의 "Ephemerides astronomicae ad meridianum Vindobonensem" 출판, 금성태양면 통과 관측 (1761년, 1769년), 태양까지의 거리 계산 (1억 4960만 km)
프란츠 데 파울라 트리네커1792년–1817년
요한 요제프 폰 리트로1819년–1840년새로운 천문대 건설 제안
카를 루트비히 폰 리트로1842년–1877년새로운 천문대 건립 계획 추진
에드문트 바이스1877년–1908년요한 팔리사 고용, 팔리사는 1881년부터 1923년 사이에 122개의 소행성과 70개의 성운(대부분 은하) 발견
카시미르 그라프1928년–1938년, 1945년–1949년
브루노 튀링1940년–1945년
요제프 호프만1951년–1962년
요제프 메우어스1962년–1979년
카를 라코스1979년–1981년
베르너 차르누터1981년–1984년
미셸 브레거1984년–1986년, 1994년–2005년
폴 잭슨1986년–1994년
게르하르트 헨슬러2006년–2009년
프란츠 케르슈바움2009년–2011년
마누엘 귈델2011년–2012년, 2018년–2022년
조아오 알베스2012년–2013년
보도 지글러2013년–2018년
글렌 반 데 벤2022년–현재


참조

[1] 서적 The Builder https://books.google[...] 1881-01-01
[2] 서적 Nature https://books.google[...] Macmillan Journals Limited 191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