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음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음공주는 남조 송나라 효무제의 딸로, 전폐제 유자업의 누이동생이다. 그녀는 동생인 전폐제에게 후궁의 남자 수에 불만을 제기하여 30명의 미남을 애인으로 얻었으며, '면수'라는 단어가 여성의 남성 애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명제가 즉위하자 부도덕함을 이유로 자살 명령을 받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6년 출생 - 클로도베쿠스 1세
    클로도베쿠스 1세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 프랑크 왕국을 건설한 메로빙거 왕조의 초대 국왕으로, 프랑크족을 통일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왕조의 안정을 꾀했다.
  • 465년 사망 - 리비우스 세베루스
    리비우스 세베루스는 리키메르에 의해 옹립되어 서로마 제국 황제로 재위했으나, 동로마 제국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반달족의 습격과 속주 반란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으며 독살설과 자연사설이 있는 인물이다.
  • 465년 사망 - 북위 문성제
    북위 문성제는 남북조시대 북위의 황제로, 종애의 난으로 12세에 옹립되어 재위 기간 동안 농업 장려와 불교 부흥을 통해 경제 회복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초기에는 정치적 불안정을 겪었다.
산음공주
기본 정보
18세기 묘사
이름유초옥(劉楚玉)
봉호회계장공주(會稽長公主)
아버지효무제
어머니왕황후
배우자하급(何戢)
사망일경화(景和) 원년 11월 30일 (음력) (466년 1월 2일)
상세 정보
신분공주 → 장공주

2. 생애

유송 효무제와 왕헌원 황후의 장녀로 태어난 유초유는[4] 아버지 효무제의 총애를 받았다. 하언의 아들 하집과 혼인하여 산음공주에 봉해졌다.

유자업(전폐제)은 유초유의 요구에 따라[5] 30명의 미남을 애인으로 하사하고 '면수'(面首)라 칭했다. 또한 유초유를 회계공주로 승격시켰다. 유초유는 전폐제의 관료 저연을 애인으로 원했으나[6], 저연은 10일간 시중을 들면서도 관계를 거부했다.

465년, 유우가 명제로 즉위하며 유초유에게 부도덕함을 이유로 자살을 명했다.[6]

2. 1. 초기 생애 및 혼인

유송 효무제와 왕헌원 황후 사이의 장녀로 태어났다. 황족 여성 중 가장 아름다운 미모를 지녀 아버지 효무제의 총애를 받았다고 전해진다.[4] 아버지가 황제가 되기 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의 재위 기간 동안 산음공주로 봉해졌으며, 관료 하언의 아들 하집과 결혼했다.[4] 하집은 또한 나중에 남제 황후가 되는 하경영의 아버지이기도 했다.

2. 2. 전폐제 치세

유자업이 황제(전폐제)가 된 후, 유초유는 그가 궁궐 밖을 방문할 때 종종 그를 따랐다. 한번은 유초유가 유자업에게 "우리의 성별은 다르지만, 우리는 같은 아버지에게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궁궐에 1만 명이 넘는 여자를 두고 있는데, 저는 남편이 한 명뿐이니 불공평합니다."라고 말하였다.[5]

이에 전폐제는 유초유를 위해 30명의 젊고 잘생긴 남자를 골라 그녀의 애인으로 삼게 하였는데, 그들을 '면수'(面首, 문자 그대로 "뛰어난 얼굴")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중국 역사에서 '면수'는 여성의 남자 애인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으며, 종종 지위가 높은 여성의 애인을 지칭했다. 전폐제는 또한 그녀를 회계공주라는 더 높은 칭호로 승진시켰다.

그러나 유초유는 만족하지 못했고, 전폐제의 중급 관료 저연이 젊고 잘생긴 것을 보고, 전폐제에게 저연을 애인으로 달라고 요청했다.[6] 전폐제는 동의했다. 저연은 10일 이상 유초유를 시중들도록 명령받았고, 유초유는 그 기간 동안 그를 유혹했다. 결국, 저연은 그녀와 성관계를 거부했고, 유초유는 그를 풀어주었다.

465년 11월, 전폐제가 그의 시종 수적지(壽寂之)에게 암살된 후, 그의 삼촌 유유인 상동왕이 황제(명제)가 되었다.

2. 3. 명제 즉위와 죽음

유자업(전폐제)이 황제가 된 후, 유초유는 그가 궁궐 밖을 방문할 때 종종 그를 따랐다. 한번은 유초유가 유자업에게 자신은 남편이 한 명뿐인데 유자업은 만 명이 넘는 여자를 거느리고 있으니 불공평하다고 말했다.[5] 이에 전폐제는 유초유에게 30명의 젊고 잘생긴 남자를 애인으로 삼게 하였는데, 그들을 '면수'(面首, 문자 그대로 "뛰어난 얼굴")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중국 역사에서 '면수'는 여성의 남자 애인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었다. 전폐제는 또한 유초유를 회계공주라는 더 높은 칭호로 승진시켰다.[5]

그러나 유초유는 만족하지 못했고, 전폐제의 중급 관료 저연이 젊고 잘생긴 것을 보고 전폐제에게 저연을 애인으로 달라고 요청했다.[6] 전폐제는 동의하여 저연에게 10일 이상 유초유를 시중들도록 명령했고, 유초유는 그 기간 동안 그를 유혹했다. 결국 저연은 유초유와 성관계를 거부했고, 유초유는 그를 풀어주었다.

465년 11월, 전폐제가 그의 시종 수적지(壽寂之)에게 암살된 후, 그의 삼촌 유우인 상동왕이 황제(명제)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왕위에 오르기 전에, 유우는 유초유의 할머니인 태황태후 노휴난의 이름으로 칙령을 내려 유초유의 부도덕함과 그녀의 다른 남동생인 예장왕 유자상의 폭력성을 비난하고, 그들 모두에게 자살을 명령했다.[6]

3.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2018년 드라마 봉수황 (관샤오퉁 주연)[7]

3. 1. 드라마

2018년 드라마 봉수황에서 관샤오퉁[7]은 류추위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문서
[2] 서적 Book of Song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 https://books.google[...]
[4] 서적 Book of Song
[5] 서적 中國古代房内考: A Preliminary Survey of Chinese Sex and Society from Ca ... https://books.google[...]
[6] 서적 Book of the Southern Qi
[7] Citation Feng Qiu Huang https://www.imdb.com[...] 202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