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은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쥐 은하는 머리털자리 방향으로 약 3억 광년 떨어져 있는 두 나선은하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 특이은하이다. NGC 4676, IC 820, IC 819 등의 천체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생쥐 은하는 두 은하의 긴 꼬리가 마치 생쥐의 꼬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꼬리는 두 은하 사이의 조석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별, 가스, 먼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은하는 현재 충돌 및 병합 과정을 겪고 있으며, 결국 하나의 거대한 타원은하로 합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2002년에 생쥐 은하의 모습을 상세히 촬영하여 공개했다. 이 사진은 은하 충돌과 상호작용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생쥐 은하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생쥐 은하 |
다른 이름 | NGC 4676A / 4676B IC 819 / 820 UGC 7938 / 7939 PGC 43062 / 43065 Arp 242 |
별자리 | 머리털자리 |
상호작용 | 상호작용 은하 |
위치 정보 | |
적경 | NGC 4676A: NGC 4676B: |
적위 | NGC 4676A: NGC 4676B: |
거리 | 2억 9천만 광년 (89 Mpc) |
적색 편이 | NGC 4676A: 6613 ± 8 km/s NGC 4676B: 6607 ± 7 km/s |
물리적 특징 | |
겉보기 등급 | NGC 4676A: 14.7 NGC 4676B: 14.4 |
크기 | NGC 4676A: 2′.3 × 0′.7 NGC 4676B: 2′.2 × 0′.8 |
추정 크기 | 233 kpc (76만 광년) |
형태 | NGC 4676A: Irr NGC 4676B: SB(s)0/a pec |
참조
[1]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1-21
[2]
논문
Multiobject Spectroscopy of Young Star Clusters in NGC 4676
2007-05
[3]
논문
NGC 4676, a Peculiar System in the Coma Cluster of Galaxies.
1961-03
[4]
뉴스
Hubble's New Camera Delivers Breathtaking Views of the Universe
http://hubblesite.or[...]
2009-05-07
[5]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s://ned.ipac.cal[...]
2019-10-05
[6]
웹사이트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s://ned.ipac.cal[...]
2019-10-05
[7]
논문
Multiobject Spectroscopy of Young Star Clusters in NGC 4676
2007-05
[8]
뉴스
Hubble's New Camera Delivers Breathtaking Views of the Universe
https://web.archive.[...]
2009-05-07
[9]
웹인용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1-21
[10]
저널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