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활비 벌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활비 벌기》는 1914년 개봉한 찰리 채플린 주연의 단편 영화로, 채플린의 영화 데뷔작이다. 영화는 사기꾼(채플린)이 신문 기자가 되기 위해 벌이는 소동을 슬랩스틱 코미디로 그린다.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콧수염과 모노클을 착용한 세련된 사기꾼 캐릭터를 연기했으며, 영화는 자동차 사고 장면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연출로 주목받았다. 비록 채플린은 이 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언론과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2014년에는 한국어 더빙판이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편 영화 -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는 1914년 찰리 채플린의 '방랑자'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편 코미디 영화로, 로스앤젤레스 베니스에서 열린 어린이 자동차 경주 촬영장에서 채플린이 촬영을 방해하는 해프닝을 코믹하게 담았다.
  • 단편 영화 - 안달루시아의 개
    안달루시아의 개는 루이스 부뉴엘과 살바도르 달리의 초현실주의 단편 영화로, 꿈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억압된 감정을 주제로 비합리적인 이미지들을 통해 시각적 충격을 선사한다.
  • 무성 영화 - 전함 포템킨
    《전함 포템킨》은 1905년 러시아 전함 포템킨호의 반란을 배경으로 혁명의 정당성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1925년 무성 선전 영화이며, 특히 오데사 계단 시퀀스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 무성 영화 -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는 1914년 찰리 채플린의 '방랑자' 캐릭터가 등장하는 단편 코미디 영화로, 로스앤젤레스 베니스에서 열린 어린이 자동차 경주 촬영장에서 채플린이 촬영을 방해하는 해프닝을 코믹하게 담았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봉급날
    건설 노동자 찰리가 봉급을 받은 후 술을 마시고 귀가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찰리 채플린의 1922년 코미디 영화 봉급날은 채플린의 마지막 2릴 코미디로, 몬타 벨 감독의 도움으로 빠르게 제작되었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즐거운 하루
    찰리 채플린이 제작한 1919년 단편 코미디 영화 "즐거운 하루"는 채플린 가족의 나들이에서 벌어지는 배멀미, 싸움, 소동 등의 슬랩스틱 해프닝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작품으로, 개봉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채플린의 퍼스트 내셔널 시기 대표작 중 하나이다.
생활비 벌기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찰리 채플린 (왼쪽)과 헨리 레먼의 장면
찰리 채플린 (왼쪽)과 헨리 레먼의 장면
원제Making a Living
다른 제목A Busted Johnny
Doing His Best
Take My Picture
Troubles
장르무성 영화
제작
감독헨리 레먼
제작자맥 세넷
각본리드 휴스티스
헨리 레먼
촬영엔리케 후안 바예호
프랭크 D. 윌리엄스
편집(정보 없음)
스튜디오키스톤 스튜디오
배급사뮤추얼 필름 코퍼레이션
출연
주연찰리 채플린
헨리 레먼
체스터 콘클린
민타 더피
버지니아 커틀리
개봉
개봉일1914년 2월 2일
기타
상영 시간12.5분
국가미국
언어무성 영화
영어 (원본 자막)
예산(정보 없음)
흥행 수익(정보 없음)

2. 줄거리

영화의 오프닝 장면에서 찰리 채플린이 연기하는 "사기꾼"은 행인(헨리 레먼)에게 돈을 달라고 설득하려 한다. 다음 장면에서 채플린은 젊은 여성과 데이트를 하고 청혼을 하는데, 여성은 승낙한다. 뉴스 기자 역을 맡은 레먼은 그 여성에게 꽃다발과 반지를 건네지만, 그녀는 이미 약혼했다며 거절한다. 레먼은 채플린을 보고, 두 사람 사이에 곧바로 슬랩스틱 싸움이 벌어진다.[5]

나중에 뉴스거리를 찾던 중 레먼은 자동차 사고를 목격하고 사진을 찍는데, 가파른 언덕 아래로 차가 굴러 떨어지는 극적인 장면을 포착한다. 그와 구경꾼들이 부서진 차 아래 깔린 불운한 운전자를 돕고 있을 때, 채플린이 지나가면서 그 센세이셔널한 사진이 담긴 카메라를 훔친다. 그는 그 사진을 가지고 지역 신문사로 달려가 자동차 사고를 자신이 보도했다고 주장한다. 키스톤 경찰과의 짧은 추격전이 벌어진 후, 격분한 레먼이 채플린을 따라잡고 시내 거리에서 다시 주먹다짐을 한다. 다가오는 전차가 그들을 앞 스노플라우에 쓸어 담고 거리를 따라 화면 밖으로 사라진다.[5]

세련된 사기꾼(찰리 채플린)은 신문 기자 일자리를 얻는다. 마침 절벽에서 차가 추락하는 것을 목격한 사기꾼은 친구이자 기자인 레먼을 라이벌로 여기고 "특종"을 신문사에 가져가려고 한다. 사기꾼은 친구를 붙잡아 두기 위해 친구의 연인(버지니아 커틀리(Virginia Kirtley))과 그녀의 어머니(앨리스 데이븐포트(Alice Davenport))에게 접근한다. 그러나 사기꾼과 친구는 연인의 침실에서 마주치고, 사기꾼은 삽으로 반격하지만 친구에게 쫓기게 된다. 싸움은 노면 전차의 충돌 방지 장치 위로 이어지지만, 여전히 계속된다.[20][21][22]

3. 캐스팅

다른 장면 (왼쪽부터) 헨리 레만, 버지니아 키틀리, 앨리스 데벤포트, 그리고 찰리 채플린


배우역할
찰리 채플린사기꾼
헨리 레만기자
버지니아 키틀리
앨리스 데벤포트딸의 어머니
민타 듀히여자
체스터 콘크린경찰 / 거지
엠마 클리프턴질투하는 남편의 아내
찰스 인슬리신문 편집장 (크레딧 미등재)
빌리 길버트질투심 많은 남편
에디 놀런아파트 계단에 있는 경찰
비벌리 그리피스편집자에게 말을 거는, 앉아 있는 남자
에드거 케네디자동차 사고 현장에서 줄무늬 셔츠를 입은 구경꾼


4. 제작 배경

1913년 찰리 채플린은 맥 세넷이 설립한 키스톤 영화사(Keystone Studios)와 계약을 맺는다. 채플린을 발굴한 사람이 세넷이 아니었을 가능성도 있지만,[23] 1913년 4월 말, 키스톤 영화사를 초기부터 떠받치던 프레드 메이스가 떠나면서 그의 공백을 메워야 했다.[24] 카노 극단 단원으로 미국 순회 공연 중이던 채플린 또한 극단 일에 싫증을 느끼고 있었다. 계약은 7월에 "11월 1일부터 1년"이라는 내용으로 체결된다.[24] 12월에 로스앤젤레스에 온 채플린은 엠프레스 극장에서 세넷과 메이블 노먼드와 처음 만났고, 채플린의 젊은 외모에 불안감을 느낀 세넷에게 "늙는 것은 간단합니다"라고 대답했다.[25]

1912년 설립된 키스톤 영화사는 무능한 경찰단 "키스톤 경찰"이 벌이는 추격전을 중심으로 한 슬랩스틱 코미디를 대량 생산하고 있었다. 세넷이 직접 이끄는 제1팀과 헨리 레어먼이 이끄는 제2팀으로 나뉘어 촬영을 진행했다.[26][27] 세넷과 면담 후, 채플린은 로스앤젤레스 근교 촬영소에 들어갔으나 세넷의 생각을 잘 이해하지 못했고, 영화계를 선택한 것이 실패였다고 생각하기도 했다.[28] 반면 세넷은 채플린에게 영화를 처음부터 배우게 하기 위해, 영화 데뷔를 1914년 2월 이후로 설정하고 1월은 견학에 할애했다.[29]

공개 당시 채플린에 대한 평가는 논쟁거리이지만, 채플린은 개그를 잘라낸 레어맨과 일찍이 불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은 확실했다.[32] 이 불화는 메이블이 감독을 맡은 『메이블의 대역 운전』까지 이어진다.

키스톤 영화사의 촬영감독이었던 한스 콘캄프에 따르면, 『생활비 벌기』를 포함한 키스톤 영화사의 영화 제작에서는 회사 소속 촬영감독이 "날마다 어떤 영화에도 참여했다"고 증언하고 있으며, 프랭크 D. 윌리엄스와 엔리케 J. 발레이오 이외의 촬영감독도 키스톤 시대 채플린의 다른 작품에도 참여했을 것이라고 데이비드 로빈슨은 추정하고 있다.[33]

4. 1. 채플린의 캐릭터와 연기 스타일

찰리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큰 콧수염과 탑햇을 쓰고 지팡이를 들고 있었다. 그의 유명한 "작은 방랑자" 캐릭터는 다음 영화인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에서 처음 등장한다.[6][7] 채플린은 레어먼과 함께 ''생활비 벌기''를 작업하면서 감독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연기 중 가장 좋은 부분을 단편 영화의 최종 편집에서 삭제했다고 주장했다.[8] 채플린에 따르면 레어먼은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고, 수년 후 실제로 젊은 영국인이 거만하고 "너무 많이 안다"고 느껴 영상 편집을 잘못했다고 "고백"했다.[2][9]

영국의 영화 평론가이자 역사가인 데이비드 로빈슨은 1985년에 출판된 채플린에 관한 전기 ''채플린: 그의 삶과 예술''에서 채플린의 스크린 데뷔를 위한 의상 선택의 변천 과정, 그리고 일부 장면에서 그의 연기 스타일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

데이비드 로빈슨은 『생활비 벌기』에 대해 "줄거리는 꽤 잘 다듬어져 있으며", "키스톤 코미디 중에서도 정교한 작품 중 하나"라고 평가하고 있다.[30] 채플린의 본 작품에서의 역할은 세련된 사기꾼이자 바람둥이로, 모노클(monocle)에 미꾸라지 수염(mustache), 실크햇(silk hat)에 말끔한 외투(coat) 차림이다. 로빈슨은 『생활비 벌기』에서의 분장의 근원을 카노 극단 시절의 배역과 비슷하다고 한다.[20] "찰리" 분장이 처음 등장한 것은 다음 작품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The Floorwalker)』부터이다.

채플린은 3일간의 촬영 기간 동안, 의견을 말하고 싶어 참을 수 없어서, 생각나는 개그를 쏟아 부었다.[31] 그런데 완성품을 본 채플린은 쏟아 부은 개그가 모두 잘리고,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게 되어 있어 깜짝 놀랐다.[31]

4. 2. 촬영 및 편집

영화의 오프닝 장면에서 찰리 채플린이 연기하는 "사기꾼"은 행인(헨리 르르만)에게 돈을 달라고 설득하려 한다. 다음 장면에서 채플린은 젊은 여성과 데이트를 하고 청혼을 하는데, 여성은 승낙한다. 뉴스 기자 역을 맡은 르르만은 그 여성에게 꽃다발과 반지를 건네지만, 그녀는 이미 약혼했다며 거절한다. 르르만은 채플린을 보고, 두 사람 사이에 곧바로 슬랩스틱 싸움이 벌어진다.[5]

나중에 뉴스거리를 찾던 르르만은 자동차 사고를 목격하고 사진을 찍는데, 가파른 언덕 아래로 차가 굴러 떨어지는 극적인 장면을 포착한다. 그와 구경꾼들이 부서진 차 아래 깔린 불운한 운전자를 돕고 있을 때, 채플린이 지나가면서 그 센세이셔널한 사진이 담긴 카메라를 훔친다. 그는 그 사진을 가지고 지역 신문사로 달려가 자동차 사고를 자신이 보도했다고 주장한다. 키스톤 경찰과의 짧은 추격전이 벌어진 후, 격분한 르르만이 채플린을 따라잡고 시내 거리에서 다시 주먹다짐을 한다. 다가오는 전차가 그들을 앞 스노플라우에 쓸어 담고 거리를 따라 화면 밖으로 사라진다.[5]

찰리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큰 콧수염과 탑햇을 쓰고 지팡이를 들고 있다. 그의 유명한 "작은 방랑자" 캐릭터는 다음 영화인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에서 등장하는데, 이 영화는 키스톤이 ''생계를 위한 싸움'' 배급을 시작한 지 5일 후에 개봉되었다.[6][7] 채플린은 레어먼과 함께 ''생계를 위한 싸움''을 작업하면서 감독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연기 중 가장 좋은 부분을 단편 영화의 최종 편집에서 삭제했다고 주장했다.[8] 채플린에 따르면 레어먼은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고, 수년 후 실제로 젊은 영국인이 거만하고 "너무 많이 안다"고 느껴 영상 편집을 잘못했다고 "고백"했다.[2][9]

영국의 영화 평론가이자 역사가인 데이비드 로빈슨은 1985년에 출판된 채플린에 관한 전기 ''채플린: 그의 삶과 예술''에서 촬영 장소, 채플린의 스크린 데뷔를 위한 의상 선택, 그리고 일부 장면에서 그의 연기 스타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로빈슨에 따르면 채플린의 첫 영화 ''생계를 위한 싸움''은 비교적 잘 다듬어진 줄거리를 가진 키스톤의 정교한 작품 중 하나였다. 촬영은 부분적으로 무대, 인근 주택 정원, 그리고 글렌데일 애비뉴의 거리에서 이루어졌다. 채플린의 의상, 분장, 캐릭터는 ''와우-와우''와 ''런던 클럽의 밤''의 아치볼드 빙크스와 흡사했으며, 찰리 채플린 특유의 캐릭터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10] 그는 회색 탑햇, 체크무늬 조끼, 단단한 칼라, 얼룩덜룩한 넥타이와 모노클을 착용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무대 악당의 길고 처진 콧수염이었다. 영화 초반에 그는 지나가는 친구(레어먼이 연기)에게 돈을 빌리면서 우아한 체면을 가장하지만, 건네진 동전을 너무 적다고 경멸적으로 거절하다가 친구가 마음을 바꾸기 전에 재빨리 낚아채는 장면에서 채플린 특유의 유머가 처음으로 드러난다.[11]

레어먼과 리드 휴스티스가 종종 이 영화의 시나리오 공동 집필로 인정받지만, 채플린은 자서전에서 제작 시작 당시 시나리오에 대해 "우리는 줄거리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몇 가지 코미디 요소를 넣은 인쇄기를 다룬 다큐멘터리가 될 예정이었다"고 덧붙였다.[2] 레어먼이 "아이디어를 찾고 있는 것 같았다"고 말하며, 키스톤의 "신입"으로서 제안을 시작했고, "이것이 바로 내가 레어먼과 대립을 일으킨 곳이다"라고 채플린은 회상했다.[2]

거리 장면은 1914년 로스앤젤레스 시내의 여러 지역을 보여준다. 사기꾼과 신문 기자의 길가 싸움 장면에서 프리몬트 호텔 간판이 잠깐 배경에 나타난다. 그 호텔은 1940년대에 문을 닫았고, 건물 전체는 1955년에 철거되었다.[12] 채플린은 3일간의 촬영 동안,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싶어 개그를 쏟아 부었으나, 완성된 영화에서는 모두 잘리고 내용 파악이 어렵게 되었다.[31]

5. 평가 및 반응

1914년 2월 7일, 뉴욕의 영화 전문 잡지 ''무빙 픽처 월드(The Moving Picture World)''는 이 영화에 대해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최고의 코미디언"이 출연하며, "신선하고 예상치 못한 재미로 가득 차 있어 거의 내내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3]

영화 개봉 후 미국 전역의 여러 신문들도 이 영화를 "웃음거리"로 평가하며 관람을 추천했다.[14] 오클라호마 주 칙카샤(Chickasha, Oklahoma)의 지역 신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정말 웃음이 터지는 영화"라고 묘사했고,[15] 미네소타 주 베미지(Bemidji, Minnesota)의 매제스틱 극장은 "최고"라고 홍보하며 "전에 웃어본 적이 없다면 이 코미디를 보면 분명 웃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16] 당시에는 영화 배우의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가 드물었지만, 텍사스 주 브라운스빌(Brownsville, Texas)의 디트만 극장은 "키스톤 코미디의 새로운 코미디언"으로 "찰스 채플(Charles Chappel)"을 언급하기도 했다.[17]

''모션 픽처 뉴스(The Motion Picture News)''는 영화 속 자동차 사고 장면에 대해 보도했는데, 헨리 레어먼이 1500USD짜리 스터디베이커(Studebaker) 자동차를 절벽 아래로 떨어뜨렸다고 전했다.[19]

5. 1. 한국어 더빙

2014년 찰리 채플린 데뷔 100주년을 기념하여 스타 채널에서 한국어 더빙판을 제작하였다.[35] 더빙판은 2014년 10월 12일에 첫 방송되었다.[34]

배우한국어 더빙
찰리 채플린고목 쇼
버지니아 쿼트리나카시 유카
앨리스 데이븐포트고미야 카즈에
헨리 레먼오치아이 히로지
(내레이터)하사마 미치오


6. 영향

이 영화는 채플린의 초기작 중 하나로, 그의 연기 경력과 영화 스타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채플린은 이 영화를 통해 자신만의 캐릭터와 연기 스타일을 만들어 나갔으며, 이는 훗날 그를 세계적인 스타로 만드는 바탕이 되었다.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큰 콧수염, 탑햇, 지팡이를 착용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의 유명한 "작은 방랑자" 캐릭터는 다음 영화인 ''베니스의 어린이 자동차 경주''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이 영화는 ''생활비 벌기''가 배급된 지 5일 후에 개봉되었다.[6][7]

채플린은 감독 헨리 레어먼이 자신의 연기 중 가장 좋은 부분을 의도적으로 삭제했다고 주장했다.[8] 채플린에 따르면 레어먼은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고, 수년 후 젊은 영국인(채플린)이 거만하고 "너무 많이 안다"고 느껴 영상 편집을 잘못했다고 "고백"했다.[2][9]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로빈슨은 자신의 저서 ''채플린: 그의 삶과 예술''에서 채플린의 의상, 분장, 캐릭터가 ''와우-와우''와 ''런던 클럽의 밤''의 아치볼드 빙크스와 흡사하며, 아직 찰리 채플린 특유의 캐릭터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10]

1914년 2월 7일, 전문 잡지인 ''무빙 픽처 월드(The Moving Picture World)''는 이 영화에 대해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최고의 코미디언"이 출연하며, "신선하고 예상치 못한 재미로 가득 차 있어 거의 내내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3]

''센티넬-레코드(The Sentinel-Record)''와 같은 많은 신문들도 이 영화를 "웃음거리"로 평가하며 관람을 권장했다.[14] 미네소타주 베미지(Bemidji, Minnesota)의 매제스틱 극장은 이 영화를 "최고의"라고 홍보하며 "전에 웃어본 적이 없다면 이 코미디를 보면 분명 웃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15][16]

1914년 당시에는 단편 영화 배우들의 이름이 거의 언급되지 않았지만, 1914년 6월 텍사스주 브라운스빌(Brownsville, Texas)의 디트만 극장은 ''생활비 벌기''에 "키스톤 코미디의 새로운 코미디언"인 "찰스 채플(Charles Chappel)"이 출연한다고 언급했다.[17]

''생활비 벌기''의 자동차 사고 장면은 당시 관객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으며, 모션 픽처 뉴스(The Motion Picture News)는 이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1500USD짜리 스터디베이커(Studebaker) 자동차를 절벽 아래로 떨어뜨렸다고 보도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Other titles of 'Making a Living'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2014-03-05
[2] 서적 My Autobiography Simon and Schuster
[3] 서적 Early Charlie Chaplin: The Artist As Apprentice at Keystone Studios Scarecrow Press
[4] 문서 Keystone Cops와 함께 출연한 몇 안 되는 영화 중 하나
[5] 문서 이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영화의 디지털 복사본을 보고 얻은 줄거리 요약
[6] 문서 그의 시그니처 캐릭터인 방랑자를 처음으로 선보인 두 편을 포함하여 처음 세 편의 영화가 단 일주일 만에 개봉되었다.
[7] 서적 Charlie Chaplin and American Culture - The Evolution of a Star Ima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Charlie Chaplin at Keystone And Essanay: Dawn of the Tramp iUniverse, Inc.
[9] 웹사이트 Chaplin: A Life https://archive.org/[...] Arcade Publishing 2021-02-22
[10] 문서 The Wow-Wows와 A Night in a London Club는 모두 Chaplin이 Fred Karno Company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동안 공연한 인기 무대 작품 또는 코믹한 "소품극"이었다.
[11] 서적 Chaplin: His Life and Art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21-02-21
[12] 서적 Historic Hotels of Los Angeles and Hollywood, (CA)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21-02-22
[13] 뉴스 Comments on the Films...'Making a Living' (Keystone), February 2. https://archive.org/[...] The Moving Picture World 2021-02-17
[14] 뉴스 Lyceum Theater https://chroniclinga[...] The Sentinel-Record 2021-02-19
[15] 뉴스 At the Play Houses https://chroniclinga[...] Chickasha Daily Express 2021-02-18
[16] 뉴스 Majestic Theatre Pictures Deluxe https://chroniclinga[...] The Bemidji Pioneer 2021-02-18
[17] 뉴스 Dittmann Theatre / Programme Tonight https://chroniclinga[...] The Brownsville Herald 2021-02-18
[18] 서적 Chaplin: His Life and Art
[19] 뉴스 Dissolving Out https://archive.org/[...] The Motion Picture News 2021-02-17
[20] 참조 로빈슨 (상)
[21] 참조 Imdb
[22] 참조 BFI
[23] 참조 로빈슨 (상)
[24] 참조 로빈슨 (상)
[25] 참조 로빈슨 (상)
[26] 참조 로빈슨 (상)
[27] 참조 오오노 (2007)
[28] 참조 로빈슨 (상)
[29] 참조 로빈슨 (상)
[30] 참조 로빈슨 (상)
[31] 참조 자전
[32] 참조 로빈슨 (상)
[33] 참조 로빈슨 (하)
[34] 웹사이트 吹替で蘇る!チャップリン笑劇場 http://www.star-ch.j[...] STAR CHANNEL 2014-08-28
[35] 웹사이트 成功争い http://www.star-ch.j[...] STAR CHANNEL 2014-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