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명선 (187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석명선(石明瑄, 1870년 음력 3월 ~ ?)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도 지냈습니다. 일본식 이름은 이시카와 메이센(石川明瑄)입니다.

다음은 석명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입니다.


  • 생애 및 활동:
  • 1900년(광무 4년) 내부주사(內部主事)로 관직을 시작했습니다.
  • 1904년(광무 8년) 내부기사(內部技師)로 근무했습니다.
  • 1906년(광무 10년) 강원도 이천군수(伊川郡守)로 승진했습니다.
  • 1909년(융희 3년) 강원도 강릉군수(江陵郡守)로 전임했습니다.
  • 1910년(융희 4년) 공립강릉보통학교(公立江陵普通學校) 교장을 겸임했습니다.
  • 한일병합 이후 조선총독부의 강원도 강릉군수로 유임되었습니다.
  • 1915년부터 1926년까지 강원도 인제(麟蹄), 영월(寧越), 평창(平昌), 횡성(橫城)군수를 역임했습니다.
  • 강원도지방토지조사위원회(江原道地方土地調査委員會) 임시위원을 겸임했습니다.
  • 1926년 조선총독부 강원도 참여관에 임명되어 1928년까지 재직했습니다.
  • 1930년대 이후 국민협회(國民協會)와 동민회(同民會)에서 활동했습니다. (국민협회 평의원(1930), 국민협회 총무(1932), 동민회 이사(1940))
  • 조선총독부 중추원참의(中樞院參議)에 임명되었습니다.
  • 중일전쟁 이후 조선총독부에서 주관하는 시국강연대(時局講演隊) 강사로 활동했습니다.

  • 친일 행적:
  • 1923년 『개벽』 제42호에서 지방관으로 일선융화(日鮮融和)에 열성적인 사람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조선의 독립불가론을 주장하고 내지연장주의(內地延長主義)와 신일본주의 달성을 위해 추진하였던 중의원의원(衆議院議員) 선거법의 조선시행을 청원하는 참정권 청원운동에 참여했습니다.
  • 일본인과 조선인의 통혼(通婚)정책 장려와 조선인에 대한 지원병 허가를 요청하는 내선융화(內鮮融和)를 위한 대책을 주장했습니다.
  • 1919년 4월 21일, 주천지역의 독립만세운동을 저지하려다가 도리어 금마리에서 주민들에게 붙잡혀 억지로 독립만세를 외쳤습니다.

  • 수상:
  •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 1915년 다이쇼[大正]대례기념장
  • 1928년 쇼와[昭和]대례기념장

습니다.

  • 수상:
  •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 1915년 다이쇼[大正]대례기념장
  • 1928년 쇼와[昭和]대례기념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