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은 1950년대 핵무기 지상 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 우려로 핵실험 금지를 추진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지진 감지 시스템이다. 미국은 핵실험 감지를 위해 버크너 위원회를 소집하고,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자금 지원을 받아 벨라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을 구축했다. 1961년 앨버커키에 최초의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고, 1967년까지 총 121개의 관측소가 설치되었으나, 1967년에 DARPA의 자금 지원이 중단되고 1973년 미국 지질조사국(USGS)으로 이관된 후, 1996년에 운영이 완전히 중단되었다. 소련은 이와 유사한 "통일 지진관측망체계"(ESSN)를 구축하여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진학 - 진앙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지진파 분석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지진 규모 및 피해 예측에 활용한다.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
개요
이름세계 표준 지진관측망
로마자 표기Segye Pyojun Jijingwancheungmang
영어 이름World-Wide Standardized Seismograph Network (WWSSN)
목적전 세계 지진 활동의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 및 연구
역사
설립1960년대 초
설립 주체미국 카네기 재단
초기 목표핵무기 실험 감지 및 지구물리학 연구
발전1963년까지 120개 이상의 표준화된 관측소 설치
데이터 접근데이터는 누구나 접근 가능
특징
표준화전 세계 관측소에 동일한 장비 및 절차 적용
데이터 공유수집된 데이터는 연구 목적으로 공개
장비단주기 지진계
장주기 지진계
기록 방식헬리코더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기록
중요성
지진 연구 기여지구 내부 구조 및 지진 발생 메커니즘 연구에 기여
핵실험 감시핵실험 감시에 중요한 역할 수행
데이터의 가치현재까지도 귀중한 지진 데이터 제공
현대적 변화
디지털화현대적인 디지털 지진 관측망으로 발전
데이터 접근성 향상실시간 데이터 접근 및 분석 가능
참고 자료
관련 연구

























2. 역사

1950년대 핵무기의 지상 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 우려[42]로 미국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 영국의 해럴드 맥밀런 총리 등 3개 주요 핵국가의 지도부는 핵무기의 추가적인 실험을 금지하도록 촉구하였다.[43]

하지만 미국은 협정 위반 사안을 탐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실험 금지에 동의하지 않았고, 당시 지진학은 소규모 지하 핵실험을 감지할 만큼 충분히 발전되지 못했다.[44] 따라서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미국의 지진 감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크너 위원회를 소집하였다.[45] 1959년 발간된 버크너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자금을 지원받아 벨라 프로젝트로 알려진 포괄적인 핵실험 감지 연구 개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46]

이후 DARPA는 버크너 보고서의 권고사항 중 하나를 구현하기 위해 미국 해안 및 측지조사부(C&GS)에 자금을 지원하여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을 설계하고 구축하였다.[47] 1960년 11월 성능 사양과 요청 초안이 발표되었고, 1961년 초에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1961년 10월 C&GS 앨버커키(뉴멕시코주) 지진연구소(ASL)에 최초의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다.[48] 1963년 말까지 89개 관측소가 추가로 설치되었으며 1967년 말까지 필수관측소 117개를 설치하는 데 성공하였고 총 121개 지진관측소를 설치하였다.[49] 지진관측소는 대부분 미국 본토 밖에 있었으나[50] 캐나다(자체 지진관측망 보유), 소련의 동구권 지역, 중국과 프랑스, 프랑스어권 국가에서는 당사국의 거부로 설치되지 않았다.[51]

1966년 7월부터 1967년 6월 사이인 1967년 회계년도에 DARPA의 자금 지원이 중단되었고, 미국 상무부로 자금 조달원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의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52] 다른 기관들이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하였으나 영구적인 자금 지원은 얻지 못했고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훈련도 중단되었다. 1973년에는 지진연구소와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이 미국 지질조사국(USGS)으로 넘어갔고 1996년 완전히 운용을 중단할 때까지 관측망 운영의 지원 수준은 점진적으로 내려갔다.[53]

2. 1. 탄생 배경

2. 2. 버크너 위원회와 벨라 프로젝트

2. 3.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 구축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은 1950년대 핵무기 지상 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 우려에서 비롯되었다.[42]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서기장,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 등 3개 주요 핵보유국 지도자들은 핵실험 추가 금지를 촉구하였다.[43]

하지만 미국은 협정 위반 탐지 및 식별 능력 없이는 실험 금지에 동의할 수 없었고, 당시 지진학은 소규모 지하 핵실험 감지 능력이 부족했다.[44] 이에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지진 감지 능력 향상을 위해 버크너 위원회를 소집했다.[45] 1959년 버크너 보고서 발표 후,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아 벨라 프로젝트라는 포괄적 핵실험 감지 연구 개발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46]

DARPA는 버크너 보고서 권고에 따라 미국 해안 및 측지조사부(C&GS)에 자금을 지원하여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을 설계, 구축했다.[47] 1960년 11월 성능 사양과 요청 초안이 발표되었고, 1961년 초 계약 체결 후, 1961년 10월 C&GS 앨버커키(뉴멕시코주) 지진연구소(ASL)에 최초의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다.[48] 1963년 말까지 89개, 1967년 말까지 필수 관측소 117개를 포함, 총 121개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다.[49] 대부분 미국 본토 밖에 설치되었으나,[50] 캐나다(자체 지진관측망 보유), 소련 동구권, 중국, 프랑스 등은 자국 거부로 설치되지 않았다.[51]

1967 회계년도(1966년 7월-1967년 6월)에 DARPA 자금 지원이 중단되었고, 미국 상무부로의 자금 조달원 이전 계획은 의회 반대로 무산되었다.[52] 다른 기관들이 부분 지원했으나 영구 자금 지원은 없었고, 정기 유지보수 및 훈련도 중단되었다. 1973년 미국 지질조사국(USGS)으로 이관된 후, 1996년 완전 운용 중단 시까지 지원 수준은 점진적으로 감소했다.[53]

2. 4. 운영 중단

1950년대 핵무기의 지상 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낙진 우려로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서기장,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 등 3개 주요 핵보유국 지도부는 핵실험 금지를 촉구하였다.[42][43] 그러나 미국은 협정 위반 탐지 및 식별 능력 없이는 실험 금지에 동의할 수 없었고, 소규모 지하 핵실험의 경우 당시 지진학 발전 미비로 감지 능력이 부족했다.[44] 이에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지진 감지 능력 향상을 위한 버크너 위원회를 소집했고,[45] 1959년 버크너 보고서를 통해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자금 지원 하에 벨라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46]

DARPA는 버크너 보고서 권고사항 구현을 위해 미국 해안 및 측지조사부(C&GS)에 자금을 지원하여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47] 1961년 10월 C&GS 앨버커키(뉴멕시코주) 지진연구소(ASL)에 최초의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고,[48] 1967년 말까지 총 121개 지진관측소가 설치되었다.[49] 대부분 미국 본토 밖에 설치되었으나,[50] 캐나다(자체 지진관측망 보유), 소련의 동구권 지역, 중국,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 국가에서는 설치가 거부되었다.[51]

1967 회계년도(1966년 7월-1967년 6월)에 DARPA의 자금 지원이 중단되었고, 미국 상무부로의 자금 조달원 이전 계획은 의회 반대로 무산되었다.[52] 다른 기관들이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나 영구적인 자금 지원은 얻지 못했고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훈련도 중단되었다. 1973년에는 지진연구소와 세계 표준 지진관측망이 미국 지질조사국(USGS)으로 이관되었고, 1996년 완전히 운영을 중단할 때까지 지원 수준은 점진적으로 감소했다.[53]

3. 유사 체계

소련은 비슷한 용도로 168개 지진관측소로 구성된 "통일 지진관측망체계"(ESSN)을 구축하고 운용하였다.[54]

3. 1. 소련의 통일 지진관측망체계(ESSN)

소련은 168개 지진관측소로 구성된 "통일 지진관측망체계"(ESSN)을 구축하고 운용하였다.[54]

4. 한국에 미친 영향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간행물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기타
[14] 기타
[15] 논문
[16] 논문
[17] 기타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간행물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간행물
[35] 논문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Harvtxt
[42] Harv
[43] Harvnb
[44] Harvnb
[45] Harv
[46] Harvnb
[46] Harvnb
[46] Harvnb
[47] Harvnb
[48] Harvnb
[49] Harvnb
[49] Harvtxt
[50] Harvnb
[51] Harvnb
[52] Harvnb
[53] Harvnb
[54] Harvn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