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태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태보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문종 때 호부시랑을 시작으로 선종, 헌종, 숙종 대에 걸쳐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1095년 이자의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권판이부사, 수사도 등을 거쳐 판이부사로 특진했다. 1103년 70세에 은퇴를 요청했으나 숙종의 배려로 서경유수사를 지냈으며, 문하시중을 거쳐 수태사, 체협공신에 올랐다. 시호는 충겸이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4년 출생 - 고산조 천황
    고산조 천황은 후지와라 씨 외척 없이 즉위하여 친정을 통해 황실의 경제 기반을 강화하고 지방 통치를 강화하는 등 '엔큐의 선정'을 이끌었으며, 후지와라 섭정가의 몰락과 황실 권위 강화에 기여했다.
  • 고려의 상서좌복야 - 최충
    최충은 고려 시대 문신이자 교육자로,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구재학당을 설립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해동공자로 불리며 고려 사학 발전에 기여하여 사후 문헌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소태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책고려의 문하시중
이름소태보
원어이름邵台輔
재임 정보
군주숙종
군주 칭호국왕
개인 정보
국적고려
성별남성
출생일1034년
사망일1104년
본관평산
시호충겸(忠謙)

2. 생애

문종 때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선종, 헌종, 숙종 대까지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1095년 이자의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1103년 은퇴하려 했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아 궤장을 하사받고 계속 관직에 머물렀다. 문하시중으로 치사한 후 체협공신에 책록되고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2][3]

2. 1. 관직 경력

고려 문종 때 호부시랑을 거쳐 선종 때 형부상서, 서북면병마사, 이부상서, 좌복야가 되었다.[1] 1094년에 헌종이 즉위하자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이 되었다.[1]

2. 2. 이자의의 난 진압

1095년 이자의가 반란을 꾀하자 소태보는 왕국모를 시켜 군사를 거느리고 대궐로 들어가 왕을 호위하게 하고, 장사(壯士) 고의화를 시켜 이자의 일당을 제거하였다.[1] 그 공으로 권판이부사(權判吏部事)가 되었다가 수사도(守司徒)·판이부사(判吏部事)로 특진되었다.

2. 3. 은퇴와 사망

1103년(숙종 8) 고령으로 은퇴하려 했으나, 숙종이 궤장(几杖)을 하사하고 수태부 판호부 서경(西京)유수사(守太傅判戶部西京留守事)로 임명하였다.[2] 이후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치사하였으며, 수태사(守太師)에 오르고 체협공신(禘祫功臣)으로 책록되었다. 시호는 충겸(忠謙)이며, 숙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3]

참조

[1] 역사서 『高麗史』 卷十 世家 卷第十 獻宗 卽位年 http://db.history.go[...]
[2] 역사서 『高麗史』 卷十二 世家 卷第十二 肅宗 8年 http://db.history.go[...]
[3] 역사서 『高麗史』 卷 九十五, 列傳 八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