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공간은 글자 형태에 따라 닫힌속공간과 열린속공간으로 구분되며, 글꼴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닫힌속공간은 글자의 획이 완전히 닫혀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O', 'B', 'P'와 같은 글자에서 볼 수 있으며, 획 끝을 가깝게 하여 독특한 외관을 주는 글꼴 디자인에 활용된다. 열린속공간은 획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C', 'U', 'S'와 같은 글자에 나타나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글꼴 스타일과 디자인 목적에 따라 닫힌속공간과 열린속공간의 활용 방식이 다르며, 특히 산세리프 글꼴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공간 | |
|---|---|
| Counter (타이포그래피) | |
![]() | |
| 개요 | |
| 정의 | 타이포그래피에서 카운터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닫힌 글리프의 획으로 둘러싸인 글자의 부분이다. 카운터는 글자의 시각적 인식을 돕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예시 | A, B, D, O, P, Q, R, a, b, d, e, g, o, p, q |
| 종류 | |
| 열린 카운터 | 획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예: 'c', 'S' 또는 'U'와 같은 글자) 글리프는 열린 카운터를 갖는다고 한다. |
| 겹카운터 | 두 개의 카운터가 서로 안에 있는 경우 글리프는 겹카운터를 갖는다고 한다. |
| 절반 카운터 | 대문자 'H', 'K' 등과 같이 획으로 연결된 카운터는 절반 카운터라고 한다. |
| 속공간 | |
![]() | |
| 정의 | |
| 수학적 정의 | 수학에서, 특히 위상수학에서 속공간(Quotient space)은 주어진 동치 관계에 따라 특정 요소들을 '식별'하여 얻어진 위상 공간이다. 이는 주어진 집합의 요소들을 동치류로 그룹화하는 것과 같다. |
| 동치 관계 | 집합 X와 그 위의 동치 관계 ~가 주어졌을 때, 속공간은 X/~로 쓰여지며, 그 요소들은 X의 동치류들이다. |
| 속사상 | X에서 X/~로의 사영 π는 속사상이라고 불린다. X/~에는 π에 의해 X의 위상을 상속받는 속위상이 부여된다. |
| 속위상 | 다시 말해서, X/~의 부분집합 U는 π⁻¹(U)가 X에서 열려 있을 때, 그리고 그 때만 열려 있다. |
| 예시 | |
| 원뿔 | 단위원판에서 원뿔을 얻으려면 모든 경계점을 하나의 점으로 식별한다. |
| 원환면 | 단위원판에서 원환면을 얻으려면 (0, y) ~ (1, y) 및 (x, 0) ~ (x, 1)과 같이 모든 x와 y에 대해 식별한다. |
| 사영 공간 | n차원 사영 공간은 Rⁿ⁺¹에서 원점을 제외한 모든 점들의 집합을, 점과 원점을 통과하는 모든 직선을 식별하여 얻어진 속공간이다. |
2. 속공간의 종류
속공간은 글자 형태에 따라 닫힌속공간과 열린속공간으로 구분된다.
글꼴마다 닫힌속공간과 열린속공간을 사용하는 경향이 다르다. 특히 글자 줄기가 일정한 산세리프 계열 글꼴은 줄기를 굵게 쓰면 속공간이 좁아지므로, 디자인 결정이 중요하다.
판독성을 위해 디자인된 글꼴은 속공간이 개방되어 있고, 획을 널찍하게 떼어놓아 모호성을 줄인다. 이는 멀리서 보는 표지판,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 질 낮은 종이에 인쇄된 작은 글씨 등에 유용하다.[13] 루시다 그란데, 트레뷰셋 MS, 코르벨, 드로이드 산스, 프루티거, FF 메타 등이 이러한 글꼴에 해당한다.[14] 1980~90년대부터 휴머니스트 산세리프체가 널리 퍼지고, 컴퓨터 보급으로 저화질 화면에 맞는 또렷한 글꼴이 필요해지면서 이러한 디자인 경향이 보편화되었다.
반면 헬베티카와 같이 20세기 초부터 부상한 그로테스크나 네오그로테스크 산세리프 글꼴들은 글자줄기 끝을 가깝게 포개어 속공간이 폐쇄적이다. 이는 촘촘한 외형을 만들지만, 비슷한 글자를 구별하기 어렵게 한다. 임팩트나 해튼슈바일러처럼 압축된 그로테스크 계열 글꼴은 작은 크기에서 숫자 '8'과 '9'를 구별하기 어렵다. 이는 19세기 디도네 세리프 글꼴처럼 인쇄 시 압력을 고르게 분배하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의도로 추정된다.[15][16]
2. 1. 열린속공간
글자의 획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외부와 연결되는 공간이다. 'C', 'U', 'S' 등이 그 예이다. 숫자 '4'와 같이, 글꼴에 따라 열린속공간과 닫힌속공간 두 가지 형태를 모두 가질 수 있는 경우도 있다.2. 2. 스토어리 (Storey)
스토어리(Storey)는 특히 소문자 'a'와 'g'의 형태와 관련하여 열리거나 닫힌 스택 카운터의 수를 의미한다. 소문자 'g'는 두 가지 활자 형태를 가진다. 싱글 스토어리 형태(고리 꼬리)는 닫힌 카운터 1개와 열린 카운터 1개(따라서 구멍 1개)를 가지고 있다. 더블 스토어리 형태(루프 꼬리)는 닫힌 카운터 2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문자는 세리프 서체에서는 루프 꼬리를 가지지만 산세리프 서체에서는 갈고리 꼬리를 가진다(예: 타임스 뉴 로만: g, 헬베티카: g).3. 속공간과 글꼴 디자인
글꼴 디자이너는 속공간의 형태와 크기를 조절하여 글꼴의 가독성과 심미성을 조절한다. 닫힌속공간과 열린속공간의 쓰임새는 글꼴마다 다르다. 특히 글자줄기가 일정한 산세리프 계열 글꼴에서는 줄기를 굵게 쓰기만 해도 속공간이 협소해지기 마련이므로, 이를 어떻게 정리할지에 대한 디자인 결정력이 중요하다.[13]
토비아스 프레레-존스는 헬베티카가 작은 크기에서는 약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C', 'S'와 같이 안으로 말려 들어가는 형태와 좁은 속공간은 가독성을 해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소문자 'e'는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 중 하나이므로, 속공간 디자인이 매우 중요하다.[6]
3. 1. 열린속공간의 활용
가독성을 중시하는 글꼴은 주로 열린속공간을 사용하여, 각 획을 넓게 분리하여 모호성을 줄인다. 이는 멀리서 보는 표지판, 시각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 저품질 종이에 인쇄된 작은 글씨 등에 유용하다.[13] 이러한 디자인은 1980~90년대 휴머니스트 산세리프체가 널리 퍼지고, 컴퓨터 보급으로 저화질 화면에서도 또렷한 글꼴이 필요해지면서 보편화되었다.[14]대표적인 열린속공간 글꼴은 다음과 같다.
3. 2. 닫힌속공간의 활용
20세기 초부터 부상한 그로테스크나 네오그로테스크 산세리프 글꼴들은 헬베티카처럼 글자줄기의 끝을 서로 가깝게 포개어 속공간이 다소 폐쇄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탁월하고 촘촘한 외형을 띄게 하지만, 비슷한 자체(字體)를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임팩트나 해튼슈바일러 같이 매우 압축된 형태의 그로테스크 계열 글꼴은 작은 크기에서 숫자 '8'과 '9' 같은 글자를 거의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15][16]이러한 디자인 트렌드의 원인에 대해, 19세기 디도네 세리프 글꼴처럼 인쇄기가 찍어 누를 때의 압력을 글자에 고루 분배하여 마모를 줄이기 위한 의도로 보기도 한다.[15][16]
참조
[1]
서적
Using desktop publishing to create newsletters, handouts, and Web pages
https://books.google[...]
Neal-Schuman
2009-07-19
[2]
서적
Designing Websites: According to the Ancient Science of Directions
https://books.google[...]
Smita Jain Narang
2009-07-19
[3]
웹사이트
Anatomy of a Character
https://www.fonts.co[...]
[4]
웹사이트
Mercury Text: Features
http://www.typograph[...]
Hoefler & Frere-Jones
2014-11-28
[5]
웹사이트
Three Exemplary Typefaces for User Interfaces
http://blog.typekit.[...]
Adobe
2014-11-28
[6]
웹사이트
Why Apple's New Font Won't Work On Your Desktop
http://www.fastcodes[...]
2014-11-28
[7]
웹사이트
Modern Suite
http://shinntype.com[...]
Shinntype
2015-08-11
[8]
문서
My Type Design Philosophy by Martin Majoor
http://www.typothequ[...]
[9]
서적
Using desktop publishing to create newsletters, handouts, and Web pages
https://books.google[...]
Neal-Schuman
2009-07-19
[10]
서적
한글 디자인 교과서
https://archive.org/[...]
[11]
서적
Designing Websites: According to the Ancient Science of Directions
https://books.google[...]
Smita Jain Narang
2009-07-19
[12]
웹인용
Anatomy July 2020 of a Character
https://www.fonts.co[...]
[13]
웹인용
Mercury Text: Features
http://www.typograph[...]
Hoefler & Frere-Jones
2014-11-28
[14]
웹인용
Three Exemplary Typefaces for User Interfaces
http://blog.typekit.[...]
Adobe
2014-11-28
[15]
웹인용
Modern Suite
http://shinntype.com[...]
Shinntype
2015-08-11
[16]
문서
My Type Design Philosophy by Martin Majoor
http://www.typotheq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