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독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요 독점은 1933년 조안 로빈슨에 의해 처음 제시된 경제학 이론으로, 노동 시장에서 고용주가 유일한 구매자로서 시장 지배력을 갖는 상황을 의미한다. 노동 시장에서 수요 독점은 고용량과 임금을 낮추고 사회적 후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는 노동자의 소득 감소, 소비 위축, 사중 손실 발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최저임금 설정, 반독점 개입 등 다양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한국의 경우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 플랫폼 노동 시장 성장 등으로 수요 독점 문제가 심화될 수 있으며, 최저임금 인상과 같은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장 구조 -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고 개별 참여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제품의 동질성,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완전한 정보 공유 등의 특징을 갖는 시장 형태이다. - 시장 구조 - 경제적 균형
경제적 균형은 경제 주체들이 전략을 변경할 유인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수요와 공급의 일치로 나타나고, 시간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며, 시장의 불균형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수요 독점 | |
---|---|
수요 독점 | |
![]() | |
일반 정보 | |
유형 | 시장 구조 |
성격 | 구매자 독점 |
특징 | |
특징 | 단일 구매자 다수의 판매자 구매자가 시장 가격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
원인 | |
원인 | 높은 진입 장벽 정부 규제 특허 독점적 자원 통제 |
영향 | |
영향 | 낮은 가격 생산량 감소 노동 시장 왜곡 (예: 낮은 임금) 공급자 이윤 감소 |
예시 | |
예시 | 특정 지역의 유일한 대규모 고용주 (예: 탄광 회사) 특정 부품에 대한 정부의 유일한 구매자 (예: 국방) 특정 작물에 대한 유일한 가공 공장 |
경제학적 분석 | |
분석 | 후생 손실 발생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 초래 시장 실패의 한 형태 |
정책적 고려 사항 | |
정책 | 반독점 규제 최저 임금제 노동 조합 강화 공급자 협상력 강화 |
2. 역사
수요 독점 이론은 1933년 영국의 경제학자 조안 로빈슨의 저서 ''불완전 경쟁의 경제학''에서 처음 제시되었다.[3] 로빈슨은 이 용어를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고전학자 버트란드 홀워드에게서 차용했다고 밝혔다.[4]
노동시장에서 수요 독점 기업은 우상향하는 노동 공급 곡선에 직면한다. 따라서 기업은 고용량을 늘릴 때 한계지출(marginal expenditure)을 고려해야 한다. 한계지출은 추가 고용에 따른 임금 상승분뿐만 아니라, 기존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분까지 포함하므로 한계지출곡선은 노동 공급 곡선보다 위에 위치한다.[1]
초기에는 광산 마을과 같이 특정 지역이나 산업에서 고용주가 유일한 구매자인 경우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해당 회사가 마을의 유일한 고용주이기 때문에, 지리적 고립이나 장애물 등으로 인해 근로자가 다른 지역에서 고용을 찾기 어려워 임금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에는 교사 채용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 독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지역 간 이동성이 거의 없는 교육구에서는 교육구가 교사 채용에 있어 다른 학교로부터 경쟁을 거의 받지 않아 고용 조건을 협상할 때 더 큰 권한을 갖게 된다.[2]
3. 노동 시장에서의 수요 독점 모형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계수입생산(MRP)과 한계지출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고용량을 결정한다. 이때 임금은 노동 공급 곡선에서 해당 고용량에 대응하는 점(M)에서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수요 독점 시장에서는 완전 경쟁 시장에 비해 낮은 고용량과 낮은 임금이 설정된다.[55]
수요 독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은 삼각형 AMC의 면적만큼이다. 이는 수요 독점 시장에서 노동량이 경쟁시장 균형보다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55]
수요 독점 시장에서 기업의 시장력()은 다음 공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55]
:
여기서 은 노동 공급 곡선의 탄력성이다.
조안 로빈슨은 ''불완전 경쟁의 경제학''(1933년)에서 독점 매입 이론을 제시했다.[3] 경제학자들은 "독점 매입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매 관계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세력이 존재하여 경쟁 제약 없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상황을 간략하게 나타낸다.[1]
3. 1. 수요 독점의 원천
노동 시장에서 수요 독점력은 주로 근로자의 직업 선호와 이직 비용 때문에 발생한다.[53] 근로자가 특정 직업을 선호하고 그 선호를 만족하는 직장이 적으면 기업은 독점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직 비용이 크면 다른 기업이 근로자를 유인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제시해야 하므로, 이는 노동 시장에 관성 효과를 유발한다.[54]
조안 로빈슨은 ''불완전 경쟁의 경제학''(1933년)에서 독점 매입 이론을 제시했다.[3] 경제학자들은 "독점 매입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매 관계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세력이 가격을 설정하고 경쟁을 제한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이는 구매자가 다른 구매자와의 경쟁이 거의 없어 임금이나 가격을 낮게 설정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고전적인 예시는 광산 마을인데, 광산 회사가 유일한 고용주이므로 임금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최근 예로는 교사 이동성이 낮은 교육구가 있으며, 이 경우 교육구는 교사 채용 경쟁이 적어 협상에서 더 큰 권한을 갖는다.[2]
최근 모델들은 경쟁 시장에서도 탐색 마찰로 인한 불완전 정보 때문에 어느 정도 수요 독점력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 앨런 매닝이 제안한 동태적 수요 독점[9]은 우상향하는 노동 공급 곡선을 초래하며, 경쟁 시장에서 여러 고용주를 통합하고 탐색 마찰을 허용하여 더욱 실용적이다.[16]
노동 시장에서 수요 독점력의 한 원인으로 수요 측 진입 장벽을 들 수 있다. 이는 노동력 경쟁 기업의 수를 제한한다.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임금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통계 연구는 기업 규모와 임금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20] 이는 산업 간 경쟁으로 설명된다.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 생산자는 소매점, 건설 등 다른 산업과 경쟁하므로 임금을 낮추기 어렵다. 미국의 노동 시장 연구에 따르면 수요 독점 효과는 전문 스포츠, 교육, 간호 등 특정 분야에 국한된다.[14]
수요 독점력은 산업 인증, 면허 수수료, 규제 제약, 교육 요구 사항, 고용 보호 법규 등 노동자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직업 특성에 대한 노동자의 선호도 역시 수요 독점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21][22] 직장과의 거리, 직업 유형, 위치, 사회 환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실증적 증거는 제한적이지만, 미국의 저숙련 노동 시장에서는 수요 독점력이 관찰되지 않는다.[14] 인도네시아에서는 진입 장벽으로 인한 수요 독점력이 발견되기도 했다.[23] 전문 스포츠[14]와 간호[26][27] 분야를 제외하면, 미국의 경제 및 노동 이동성은 수요 독점 효과를 배제한다.[24] 2020년 검토에 따르면, 계약상 제약으로 인해 고소득 산업에서 수요 독점력의 증거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노동 시장에 주목할 만한 수요 독점 효과를 인정하지 않는다.[28]
3. 2. 최저임금의 효과
노동시장에서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갖고 있는 수요 독점 상황에서는 최저임금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임금과 고용량이 모두 증가할 수 있다.[56][54] 최저임금은 일정 수준까지 한계지출곡선을 수평으로 만드는 효과를 낸다.
수요 독점에서는 한계수입생산과 한계지출이 일치하는 노동량에 해당하는 공급곡선상의 임금()에서 임금이 결정된다. 그러나 최저임금제가 도입되면 한계지출이 최저임금 수준의 수평선으로 변경된다. 만약 경쟁시장에서의 임금을 최저임금으로 설정하면, 임금은 , 노동량은 에서 결정된다.
최저임금이 적용될 때 기업이 직면하는 공급곡선은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이에 따라 기업의 한계지출곡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결론적으로, 노동시장이 수요 독점인 경우 최저임금을 적절히 설정하면 고용량 감소 없이 근로자 착취를 방지할 수 있다.[54]
최저임금은 법률이나 단체 교섭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저임금은 고용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이 있지만,[8] 수요 독점력이 존재할 경우 최저임금이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0]
최저임금이 설정되면, 기업의 노동 한계 비용은 일정해진다.[11] 기업은 새로운 한계 비용선과 한계 수입 생산선(추가 수입)의 교차점에서 이윤을 극대화한다.[12]
그러나 이 상황은 경쟁 시장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일자리를 원하지만 독점적 성격 때문에 구하지 못하는 노동자는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산업의 실업률을 의미한다. 즉, 최저임금 수준과 관계없이 수요 독점적 노동 환경에서는 사중 손실이 발생하지만, 최저임금법이 산업 내 총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구속력 있는 최저임금은 기업이 직면하는 공급 곡선을 다음과 같이 변화시킨다.
:
여기서 은 원래 공급 곡선, 은 최저 임금이다. 새로운 곡선은 수평적인 첫 번째 분기와 지점에서 꺾인다.
최저 임금 수준에 따른 균형은 다음 표와 같이 세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최저 임금 | 결과적인 균형 | |
---|---|---|
첫 번째 경우 | < 독점 임금 | 독점 임금이 공급 곡선 (S)과 교차하는 곳 |
두 번째 경우 | > 독점 임금 ≤ 경쟁 임금 (S와 MRP의 교차점) | 최저 임금과 공급 곡선 (S)의 교차점에서 |
세 번째 경우 | > 경쟁 임금 | 최저 임금이 MRP와 같은 교차점에서 |
최적 상태가 아니더라도, 독점 임금보다 높은 최저임금은 고용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경쟁 시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13] 경제학자들은 최저임금 규제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노동 시장의 독점력을 파악하기도 한다.[14][15]
최저임금은 법률이나 노동조합 가입을 요구하는 단체 교섭법으로 도입될 수 있다. 최저임금이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32] 수요 독점력이 있는 경우 최저임금이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저임금이 설정되면 기업의 한계 노동 비용은 일정해진다.[33] 기업은 새로운 한계 비용선과 한계 수입 생산성 선의 교차점에서 이익을 극대화한다.[34]
그러나 이 상태는 경쟁 시장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일자리를 원하지만 독점 때문에 취업할 수 없는 노동자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산업의 실업률을 의미하며, 최저임금과 관계없이 수요 독점적 노동 환경에서는 손실이 발생하지만, 최저임금법은 총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속력 있는 최저임금은 기업이 직면하는 공급 곡선을 다음과 같이 변화시킨다.
:
(은 원래 공급 곡선, 는 최저임금). 새 곡선은 수평적인 첫 번째 분기와 지점에서 꺾인다.
최저임금 값에 따른 균형은 다음 표와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최저 임금 | 결과적으로 생기는 평형 | |
---|---|---|
첫 번째 경우 | < 독점 임금 | 독점 임금이 공급 곡선과 교차하는 점(S) |
두 번째 경우 | > 독점 임금 ≤ 경쟁력 있는 임금(S와 MRP의 공통 부분) | 최저 임금과 공급 곡선의 교차점(S) |
세 번째 경우 | > 경쟁력 있는 임금 | 최저 임금이 MRP와 동일한 교차점 |
최저임금이 독점 임금보다 높으면 고용 수준이 상승한다. 이는 경쟁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32] 경제학자들은 최저임금 규제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독점력을 파악하기도 한다.[35][36]
3. 3. 임금 차별
수요 독점 기업은 가격 차별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업은 서로 다른 집단의 근로자에게 서로 다른 임금을 지불하는데, 이는 그들의 한계 생산 가치가 동일하더라도 기업에 대한 노동 공급 탄력성이 낮은 근로자(예: 여성, 비정규직)에게 더 낮은 임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6]연구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통해, 여성이 종종 남성보다 적은 임금을 받는 이유를 설명한다. 심지어 관찰된 생산성 차이를 통제한 후에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로빈슨(Robinson)은 동일하게 생산적인 여성과 남성 간의 임금 격차를 설명하기 위해 수요 독점을 처음 적용했다.[16] 램섬(Ransom)과 오아카(Oaxaca)(2004)는 미주리주의 식료품 체인점 직원들의 임금 탄력성이, 임금 결정과 관련된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17] 램섬(Ransom)과 램슨(Lambson)(2011)은 여성 교사가 남성 교사보다 적은 임금을 받는 것은 여성과 남성이 직면한 노동 시장 이동성 제약의 차이 때문임을 발견했다.[18]
이는 독점 구매자(수요 독점자)가 가격을 ''차별''하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동일한 한계수입생산(MRP)을 가진 노동자 그룹이라도, 기업에 대한 노동력 공급 탄력성이 낮은 노동자에게는 더 낮은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다.[37]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관찰된 임금 격차의 일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생산성 격차를 통제한 후에도 여성의 수입은 남성보다 적은 경우가 많다. 로빈슨(Robinson)은 생산성이 같은 여성과 남성 간의 임금 격차를 설명하기 위해 수요 독점 모델을 처음 적용했다.[37] 램섬(Ransom)과 오아카(Oaxaca)(2004)는 미주리 주 식료품점 체인 직원 중 여성의 임금 탄력성이 남성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38] 램섬(Ransom)과 램슨(Lambson)(2011)은 여성과 남성이 직면하는 노동 시장 유동성 제약의 차이 때문에 여성 교사는 남성 교사보다 급여가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39]
4. 수요 독점의 사회적 영향
수요 독점은 노동 시장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사회 전체의 후생을 감소시킨다. 수요 독점으로 인해 고용량과 임금이 낮아지면 노동자의 소득이 줄어들고, 이는 소비 위축과 경제 성장 저해로 이어질 수 있다.[1]
위 그림은 수요 독점으로 인한 경제적 후생 변화를 보여준다. 회색 직사각형은 노동자로부터 고용주에게 이전되는 경제적 잉여를 나타내며, 이는 노동자의 소득 감소를 의미한다. 노란색 삼각형은 수요 독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중손실(Deadweight Loss)을 나타내는데, 이는 사회 전체적인 후생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6]
수요 독점은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낮은 임금과 고용 불안정은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회적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
5. 한국의 수요 독점 문제
Monopsony영어는 구매자 측의 독점, 즉 수요 독점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우,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 경직된 노동 시장, 플랫폼 경제의 성장 등이 수요 독점 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청년층의 대기업 선호 현상과 높은 이직 비용은 대기업의 수요 독점력을 강화한다. 많은 청년들이 대기업 취업을 선호하지만, 대기업의 일자리는 제한적이다. 또한, 한번 직장을 얻으면 다른 직장으로 옮기기 어려워, 대기업은 노동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된다.[53][54]
플랫폼 노동 시장에서는 플랫폼 기업의 지배력이 커지면서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수요 독점 문제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플랫폼 기업은 다수의 노동자를 필요로 하지만, 플랫폼 노동자는 플랫폼 기업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특정 산업에서는 고도로 전문화된 인력에 대한 수요 독점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 스포츠나 간호 분야에서는 특수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이는 수요 독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14]
6. 정책적 대응
조안 로빈슨|조안 로빈슨영어이 제창한 독점 구매 이론에 따르면, 구매 관계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힘(구매자 독점)이 있으면 경쟁 제약으로 인해 이익 극대화가 어려워진다. 이는 구매자가 노동력 또는 물품의 임금과 가격을 경쟁 시장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요 독점의 고전적인 예시는 광산 마을이며, 최근 예시로는 학군 간 이동이 어려운 교사 고용 시장이 있다.[29]
최저임금제는 법률 또는 단체 교섭을 통해 도입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최저임금은 고용을 감소시키지만, 노동 시장에 수요 독점력이 존재하면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32]
최저임금이 더 높게 설정되면 기업의 한계 노동 비용은 일정해진다.[33] 이는 회사가 한계 비용선(MC')과 한계 수입 생산성 선의 교차점에서 이익을 최대화하기 때문이다.[34] 그러나 이는 여전히 비효율적이며,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노동자(AB)로 인한 실업이 발생한다. 최저임금법은 업계 내 총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손실은 여전히 존재한다.
최저임금은 기업의 공급 곡선을 변경하며, 새로운 곡선은 수평적인 첫 번째 분기점과 꺾임을 가진다.
최저 임금 | 결과적으로 생기는 평형 | |
---|---|---|
첫 번째 경우 | 독점 임금 미만 | 독점 임금이 공급 곡선과 교차하는 점(S) |
두 번째 경우 | 독점 임금 초과 하지만 경쟁 임금 이하 (S와 MRP의 공통 부분) | 최저 임금과 공급 곡선의 교차점(S) |
세 번째 경우 | 경쟁 임금 초과 | 최저 임금이 MRP와 동일한 교차점 |
최저임금이 독점 임금보다 높으면 고용 수준이 상승하는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타난다. 경쟁 상황에서는 최저임금이 고용을 감소시키지만,[32] 수요 독점 상황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경제학자들은 최저임금 규제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노동 시장의 독점력을 파악한다.[35][36]
독점적인 고용주는 가격 차별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그룹의 노동자에게 서로 다른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의미하며, 노동력 공급 탄력성이 낮은 노동자에게는 더 낮은 임금이 지급된다. 이는 여성의 수입이 남성보다 적은 임금 격차의 일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37] 여성의 임금 탄력성이 남성보다 낮거나, 노동 시장 유동성 제약의 차이로 인해 여성 교사의 급여가 낮은 경우가 있다.[38][39]
일부에서는 시장 공급에는 해당되지만 개별 기업에는 반대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국 동일 임금법|영국 동일 임금법|영국 동일 임금법영어 시행으로 여성 고용이 증가한 것은 수요 독점적 차별의 증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학술지
Labor Market Monopsony
https://www.jstor.or[...]
2010
[2]
학술지
Estimating the Firm's Labor Supply Curve in a 'New Monopsony' Framework: Schoolteachers in Missouri
https://www.jstor.or[...]
2010
[3]
서적
The Economics of Imperfect Competition
https://link.springe[...]
1969
[4]
학술지
Retrospectives: How Joan Robinson and B. L. Hallward Named Monopsony
[5]
학술지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rôle of the blood fluids in connection with phagocytosis. 1903
https://royalsociety[...]
2024-12-13
[6]
서적
Monopsony in Law and Econom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Some Reflections on the 'Pigou-Robinson' Theory of Exploitation
https://doi.org/10.1[...]
2001-01-01
[8]
웹사이트
Minimum Wage Effects in the Post-welfare Reform Era
https://www.epionlin[...]
[9]
서적
Monopsony in Motion: Imperfect Competition in Labor Markets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The Economics of Minimum Wage Legislation
https://www.jstor.or[...]
1946
[11]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 and Monopsony
http://econlog.econl[...]
[12]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 and Monopsony
http://econlog.econl[...]
[13]
웹사이트
Minimum Wage Effects in the Post-welfare Reform Era
https://www.epionlin[...]
[14]
웹사이트
Monopsony in American Labor Markets
http://eh.net/encycl[...]
[15]
웹사이트
Is There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http://www.dartmouth[...]
[16]
웹사이트
Notes on Monopsony Model of Gender Wage Gaps
http://www.u.arizona[...]
University of Arizona
2014-02-01
[17]
PDF
http://dataspace.pri[...]
2022-03
[18]
학술지
Monopsony, mobility, and sex differences in pay : Missouri school teachers
http://www.econbiz.d[...]
American Economic Assoc.
[19]
보고서
Worker Beliefs About Outside Options
https://doi.org/10.1[...]
2024
[20]
학술지
The Employer Size–Wage Effect: Can Dynamic Monopsony Provide an Explanation?
https://www.jstor.or[...]
1996
[21]
학술지
Minimum Wages for Ronald McDonald Monopsonies: a Theory of Monopsonistic Competition
[22]
학술지
Oligopsony and Monopsonistic Competition in Labor Markets
http://discovery.ucl[...]
[23]
학술지
Evidence of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of a Developing Country
http://conference.iz[...]
[24]
학술지
Monopsony Power, Pay Structure and Training
https://www.research[...]
[25]
학술지
Is There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http://www.dartmouth[...]
[26]
학술지
Monopsony Power and Relative Wages in the Labor Market for Nurses
https://www.angelfir[...]
[27]
학술지
Classic or New Monopsony? Searching for Evidence in Nursing Labor Markets
https://digitalcommo[...]
[28]
학술지
Monopsony in Labor Markets: A Review
http://eprints.lse.a[...]
2020-06-01
[29]
학술지
Estimating the Firm’s Labor Supply Curve in a “New Monopsony” Framework: Schoolteachers in Missouri
http://www.journals.[...]
2020-06-18
[30]
서적
Joan Robinson: Critical Assessments of Leading Economists
Taylor & Francis
[31]
학술지
Retrospectives: How Joan Robinson and B. L. Hallward Named Monopsony
[32]
웹사이트
Minimum Wage Effects in the Post-welfare Reform Era
https://www.epionlin[...]
2020-06-18
[33]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 and Monopsony
http://econlog.econl[...]
2020-06-18
[34]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 and Monopsony
http://econlog.econl[...]
2020-06-18
[35]
웹사이트
Monopsony in American Labor Markets
http://eh.net/encycl[...]
2020-06-18
[36]
웹사이트
Is There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http://www.dartmouth[...]
2020-06-18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arizona[...]
2014-02-01
[38]
문서
http://dataspace.pri[...]
[39]
저널
Monopsony, mobility, and sex differences in pay : Missouri school teachers
http://www.econbiz.d[...]
[40]
저널
Minimum Wages for Ronald McDonald Monopsonies: a Theory of Monopsonistic Competition
[41]
저널
Oligopsony and Monopsonistic Competition in Labor Markets
http://discovery.ucl[...]
[42]
저널
Evidence of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of a Developing Country
http://conference.iz[...]
[43]
저널
Monopsony Power, Pay Structure and Training
https://www.research[...]
[44]
저널
Is There Monopsony in the Labor Market? Evidence from a Natural Experiment
http://www.dartmouth[...]
[45]
저널
Monopsony Power and Relative Wages in the Labor Market for Nurses
http://www.angelfire[...]
[46]
저널
Classic or New Monopsony? Searching for Evidence in Nursing Labor Markets
https://digitalcommo[...]
[47]
웹사이트
The Effects on Employment and Family Income of Increasing the Federal Minimum Wage
https://www.cbo.gov/[...]
Congressional Budget Office
2021-11-15
[48]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 in Competitive Markets and Markets With Monopsony Power—Supplemental Material for The Effects on Employment and Family Income of Increasing the Federal Minimum Wage
https://www.cbo.gov/[...]
Congressional Budget Office
2021-11-15
[49]
웹사이트
Minimum Wage Employment Effects and Labor Market Concentration
https://www.nber.org[...]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1-11-15
[50]
웹사이트
グローバル流通 ~モノプソニー~
https://www.fujitsu.[...]
富士通総研
2009-05-13
[51]
웹사이트
日本人の「給料安すぎ問題」の意外すぎる悪影響―「monopsony」が日本経済の歪みの根本にあ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
2020-06-18
[52]
서적
https://link.springe[...]
[53]
서적
[54]
서적
[55]
저널
[56]
저널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