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은은 원자 번호 80번의 화학 원소로, 질량수가 171부터 210까지 다양한 동위 원소를 갖는다. 이 중 196Hg, 198Hg, 199Hg, 200Hg, 201Hg, 202Hg, 204Hg는 안정 동위 원소이며, 나머지 동위 원소는 방사성 붕괴를 한다. 각 동위 원소는 양성자 수, 중성자 수, 반감기, 붕괴 방식, 붕괴 생성물, 핵 스핀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은 - 아말감
아말감은 수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합금으로, 과거 금속 채굴, 도금, 치과 치료 등에 사용되었으나, 수은 독성 문제로 사용이 감소하고 있으며, 은, 주석, 구리, 아연 등의 성분이 아말감의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 수은 - 수은등
수은등은 수은 증기를 이용해 빛을 내는 방전 램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환경 및 안전 문제와 LED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점차 대체되고 있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수은 동위 원소 | |
---|---|
일반 정보 | |
원소 기호 | Hg |
원자 번호 | 80 |
동위 원소 정보 | |
194Hg | na: 합성 hl: 444년 dm1: ε perc1: link1: 금-194 pn1: 194 ps1: Au |
195Hg | na: 합성 hl: 9.9시간 dm1: b+ perc1: link1: 금-195 pn1: 195 ps1: Au |
196Hg | na: 0.15% hl: 안정 |
197Hg | na: 합성 hl: 64.14시간 dm1: ε perc1: link1: 금-197 pn1: 197 ps1: Au |
198Hg | na: 10.04% hl: 안정 |
199Hg | na: 16.94% hl: 안정 |
200Hg | na: 23.14% hl: 안정 |
201Hg | na: 13.17% hl: 안정 |
202Hg | na: 29.74% hl: 안정 |
203Hg | na: 합성 hl: 46.612일 dm1: b- perc1: link1: 탈륨-203 pn1: 203 ps1: Tl |
204Hg | na: 6.82% hl: 안정 |
2. 동위 원소
wikitext
핵종 | 양성자 | 중성자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핵 스핀 | 전형적 동위 원소 구성비 (몰 분율) | |
---|---|---|---|---|---|---|---|---|---|
171Hg | 80 | 91 | 171.00376(32)# | 80(30) µs [59(+36-16) µs] | 3/2-# | ||||
172Hg | 80 | 92 | 171.99883(22) | 420(240) µs [0.25(+35-9) ms] | 0 | ||||
173Hg | 80 | 93 | 172.99724(22)# | 1.1(4) ms [0.6(+5-2) ms] | 3/2-# | ||||
174Hg | 80 | 94 | 173.992864(21) | 2.0(4) ms [2.1(+18-7) ms] | 0+ | ||||
175Hg | 80 | 95 | 174.99142(11) | 10.8(4) ms | α | 171Pt | 5/2-# | ||
176Hg | 80 | 96 | 175.987355(15) | 20.4(15) ms | α (98.6%) | 172Pt | 0+ | rowspan=2| | rowspan=2| |
β+ (1.4%) | 176Au | ||||||||
177Hg | 80 | 97 | 176.98628(8) | 127.3(18) ms | α (85%) | 173Pt | 5/2-# | rowspan=2| | rowspan=2| |
β+ (15%) | 177Au | ||||||||
178Hg | 80 | 98 | 177.982483(14) | 0.269(3) s | α (70%) | 174Pt | 0+ | rowspan=2| | rowspan=2| |
β+ (30%) | 178Au | ||||||||
179Hg | 80 | 99 | 178.981834(29) | 1.09(4) s | α (53%) | 175Pt | 5/2-# | rowspan=3| | rowspan=3| |
β+ (47%) | 179Au | ||||||||
β+, p (0.15%) | 178Pt | ||||||||
180Hg | 80 | 100 | 179.978266(15) | 2.58(1) s | β+ (52%) | 180Au | 0+ | rowspan=3| | rowspan=3| |
α (48%) | 176Pt | ||||||||
SF | 100Ru, 80Kr | ||||||||
181Hg | 80 | 101 | 180.977819(17) | 3.6(1) s | β+ (64%) | 181Au | 1/2(-) | rowspan=4| | rowspan=4| |
α (36%) | 177Pt | ||||||||
β+, p (0.014%) | 180Pt | ||||||||
β+, α (9×10−6%) | 177Ir | ||||||||
181mHg | 210(40)# keV | 13/2+ | |||||||
182Hg | 80 | 102 | 181.97469(1) | 10.83(6) s | β+ (84.8%) | 182Au | 0+ | rowspan=3| | rowspan=3| |
α (15.2%) | 178Pt | ||||||||
β+, p (10−5%) | 181Pt | ||||||||
183Hg | 80 | 103 | 182.974450(9) | 9.4(7) s | β+ (74.5%) | 183Au | 1/2- | rowspan=3| | rowspan=3| |
α (25.5%) | 179Pt | ||||||||
β+, p (5.6×10−4%) | 182Pt | ||||||||
183m1Hg | 198(14) keV | 13/2+# | |||||||
183m2Hg | 240(40)# keV | 5# s | β+ | 183Au | 13/2+# | ||||
184Hg | 80 | 104 | 183.971713(11) | 30.6(3) s | β+ (98.89%) | 184Au | 0+ | rowspan=2| | rowspan=2| |
α (1.11%) | 180Pt | ||||||||
185Hg | 80 | 105 | 184.971899(17) | 49.1(10) s | β+ (94%) | 185Au | 1/2- | rowspan=2| | rowspan=2| |
α (6%) | 181Pt | ||||||||
185mHg | 99.3(5) keV | 21.6(15) s | IT (54%) | 185Hg | 13/2+ | rowspan=3| | rowspan=3| | ||
β+ (46%) | 185Au | ||||||||
α (0.03%) | 181Pt | ||||||||
186Hg | 80 | 106 | 185.969362(12) | 1.38(6) 분 | β+ (99.92%) | 186Au | 0+ | rowspan=2| | rowspan=2| |
α (0.016%) | 182Pt | ||||||||
186mHg | 2217.3(4) keV | 82(5) µs | (8-) | ||||||
187Hg | 80 | 107 | 186.969814(15) | 1.9(3) 분 | β+ | 187Au | 3/2- | rowspan=2| | rowspan=2| |
α (1.2×10−4%) | 183Pt | ||||||||
187mHg | 59(16) keV | 2.4(3) 분 | β+ | 187Au | 13/2+ | ||||
188Hg | 80 | 108 | 187.967577(12) | 3.25(15) 분 | β+ | 188Au | 0+ | rowspan=2| | rowspan=2| |
α (3.7×10−5%) | 184Pt | ||||||||
188mHg | 2724.3(4) keV | 134(15) ns | (12+) | ||||||
189Hg | 80 | 109 | 188.96819(4) | 7.6(1) 분 | β+ | 189Au | 3/2- | rowspan=2| | rowspan=2| |
α (3×10−5%) | 185Pt | ||||||||
189mHg | 80(30) keV | 8.6(1) 분 | β+ | 189Au | 13/2+ | ||||
190Hg | 80 | 110 | 189.966322(17) | 20.0(5) 분 | β+ | 190Au | 0+ | rowspan=2| | rowspan=2| |
α (5×10−5%) | 186Pt | ||||||||
191Hg | 80 | 111 | 190.967157(24) | 49(10) 분 | β+ | 191Au | 3/2(-) | ||
191mHg | 128(22) keV | 50.8(15) 분 | β+ | 191Au | 13/2+ | ||||
192Hg | 80 | 112 | 191.965634(17) | 4.85(20) 시 | ε | 192Au | 0+ | rowspan=2| | rowspan=2| |
α (4×10−6%) | 188Pt | ||||||||
193Hg | 80 | 113 | 192.966665(17) | 3.80(15) 시 | β+ | 193Au | 3/2- | ||
193mHg | 140.76(5) keV | 11.8(2) 시 | β+ (92.9%) | 193Au | 13/2+ | rowspan=2| | rowspan=2| | ||
IT (7.1%) | 193Hg | ||||||||
194Hg | 80 | 114 | 193.965439(13) | 444(77) 년 | ε | 194Au | 0+ | ||
195Hg | 80 | 115 | 194.966720(25) | 10.53(3) 시 | β+ | 195Au | 1/2- | ||
195mHg | 176.07(4) keV | 41.6(8) 시 | IT (54.2%) | 195Hg | 13/2+ | rowspan=2| | rowspan=2| | ||
β+ (45.8%) | 195Au | ||||||||
196Hg | 80 | 116 | 195.965833(3) | 관측상 안정[13] | 0+ | 0.0015(1) | |||
197Hg | 80 | 117 | 196.967213(3) | 64.14(5) 시 | ε | 197Au | 1/2- | ||
197mHg | 298.93(8) keV | 23.8(1) 시 | IT (91.4%) | 197Hg | 13/2+ | rowspan=2| | rowspan=2| | ||
ε (8.6%) | 197Au | ||||||||
198Hg | 80 | 118 | 197.9667690(4) | 관측상 안정[14] | 0+ | 0.0997(20) | |||
199Hg | 80 | 119 | 198.9682799(4) | 관측상 안정[15] | 1/2- | 0.1687(22) | |||
199mHg | 532.48(10) keV | 42.66(8) 분 | IT | 199Hg | 13/2+ | ||||
200Hg | 80 | 120 | 199.9683260(4) | 관측상 안정[16] | 0+ | 0.2310(19) | |||
201Hg | 80 | 121 | 200.9703023(6) | 관측상 안정[17] | 3/2- | 0.1318(9) | |||
201mHg | 766.22(15) keV | 94(3) µs | 13/2+ | ||||||
202Hg | 80 | 122 | 201.9706430(6) | 관측상 안정[18] | 0+ | 0.2986(26) | |||
203Hg | 80 | 123 | 202.9728725(18) | 46.595(6) 일 | β- | 203Tl | 5/2- | ||
203mHg | 933.14(23) keV | 24(4) µs | (13/2+) | ||||||
204Hg | 80 | 124 | 203.9734939(4) | 관측상 안정[19] | 0+ | 0.0687(15) | |||
205Hg | 80 | 125 | 204.976073(4) | 5.14(9) 분 | β- | 205Tl | 1/2- | ||
205mHg | 1556.40(17) keV | 1.09(4) ms | IT | 205Hg | 13/2+ | ||||
206Hg | 80 | 126 | 205.977514(22) | 8.15(10) 분 | β- | 206Tl | 0+ | ||
207Hg | 80 | 127 | 206.98259(16) | 2.9(2) 분 | β- | 207Tl | (9/2+) | ||
208Hg | 80 | 128 | 207.98594(32)# | 42(5) 분 [41(+5-4) 분] | β- | 208Tl | 0+ | ||
209Hg | 80 | 129 | 208.99104(21)# | 37(8) 초 | 9/2+# | ||||
210Hg | 80 | 130 | 209.99451(32)# | 10# 분 [>300 ns] | 0+ |
수은은 원자 번호 80번의 화학 원소로, 다양한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다. 질량수는 171부터 210까지 존재하며, 이 중 196Hg, 198Hg, 199Hg, 200Hg, 201Hg, 202Hg, 204Hg는 안정 동위 원소이다.
- '''수은-199'''(199Hg)는 핵 스핀이 1/2-이며,[15] 199mHg는 532.48 keV의 들뜬 에너지를 가지는 준안정한 핵 이성질체로, 42.66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199Hg로 붕괴한다.[15]
- '''수은-201'''(201Hg)은 핵 스핀이 3/2-이며,[17] 201mHg는 766.22 keV의 들뜬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이성질핵으로, 94(3) µs의 반감기를 갖는다.[17]
- '''수은-204'''(204Hg)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수은 동위 원소 7가지 중 하나로, 존재 비율은 6.87%이다.[19] 이론적으로는 금-204(204Au)로 붕괴할 것으로 예상된다.[19]
- '''수은-206'''(206Hg)은 8.15(10)분의 반감기를 가지며,[19] β- 붕괴를 통해 탈륨-206(206Tl)으로 붕괴한다.[19]
2. 1. 수은-196
수은-196(196Hg)은 원자 번호가 80번인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 중 하나이다.[1] 196Hg는 80개의 양성자와 116개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으며, 핵 스핀은 0+이다. 196Hg의 존재 비율은 전체 수은의 0.15(1)%이다.2. 2. 수은-198
수은-198(198Hg)은 원자 번호 80번, 중성자 118개로 구성된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 중 하나이다.[14] 198Hg는 자연에 존재하는 수은 동위 원소 중 약 10%를 차지한다. 196Hg, 199Hg, 200Hg, 201Hg, 202Hg, 204Hg 역시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이다.[13][15][16][17][18][19]2. 3. 수은-199
수은-199(199Hg)는 원자핵에 80개의 양성자와 119개의 중성자를 가지는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이다.[15] 수은-199의 핵 스핀은 1/2-이며, 바닥 상태에서 이성질핵 상태로 전이될 때 532.48 keV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수은-199m의 반감기는 42.66분이며,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수은-199로 붕괴한다.[15]2. 4. 수은-199m
수은-199m(199mHg)는 바닥 상태의 199Hg에서 532.48 keV 들뜬 에너지를 가지는 준안정한 핵 이성질체이다.[15] 42.66(8)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199Hg로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붕괴한다.[3]2. 5. 수은-200
수은-200(200Hg)은 원자 번호 80번, 중성자 120개로 구성된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 중 하나이다.[16] 몰 분율 0.2310(19)로, 수은 동위 원소 중 4번째로 많이 존재한다.[16]2. 6. 수은-201
수은-201(201Hg)은 원자 번호 80, 중성자 121개를 갖는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이다.[17] 수은-201의 핵 스핀은 3/2-이다. 질량은 200.9703023 u이다. 201mHg는 들뜬 에너지 준위가 766.22 keV이며, 94(3) µs의 반감기를 갖는 이성질핵이다.2. 7. 수은-202
수은-202(202Hg)는 수은의 안정 동위 원소 중 하나로, 자연에 존재하는 수은의 약 29.86%를 차지한다.[18] 수은-202는 양성자 80개와 중성자 122개로 구성되며, 핵 스핀은 0+이다.2. 8. 수은-203
수은-203(203Hg)은 반감기가 46.595일인 수은의 방사성 동위 원소이다.[18] 203Hg은 β- 붕괴를 통해 안정한 탈륨-203(203Tl)으로 붕괴한다.[18]2. 9. 수은-204
수은-204(204Hg)는 원자 번호가 80번인 수은의 동위 원소 중 하나로, 자연에서 발견되는 수은 동위 원소 7가지 중 하나이다.[19] 204Hg는 양성자 80개와 중성자 124개로 구성되며, 질량수는 203.9734939 u이다. 204Hg는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로, 붕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론적으로는 금-204(204Au)로 붕괴할 것으로 예상된다.[7] 자연에 존재하는 수은 동위 원소 중 204Hg의 존재 비율은 6.87%이다.[7]핵종 | 양성자 | 중성자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핵 스핀 | 전형적 동위 원소 구성비 (몰 분율) |
---|---|---|---|---|---|---|---|---|
204Hg | 80 | 124 | 203.9734939(4) | 관측상 안정[19] | 이론적: ε | 204Au | 0+ | 0.0687(15) |
2. 10. 수은-206
수은-206(206Hg)은 수은의 방사성 동위 원소로, 원자핵 안에 양성자 80개와 중성자 126개를 포함하고 있다. 질량수는 205.977514(22) u이며, 8.15(10)분의 반감기를 가진다.[19][9][10] 206Hg는 β- 붕괴를 통해 탈륨-206(206Tl)으로 붕괴한다.[11]2. 11. 상세 정보
수은은 원자 번호 80번의 화학 원소이며, 다양한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다. 이들 동위 원소는 질량수가 170에서 214까지 존재하며, 각각 다른 반감기와 붕괴 방식을 보인다.170Hg는 310(250) μs의 반감기를 가지며, 알파 붕괴(α)를 통해 166Pt으로 붕괴한다. 171Hg는 70(30) μs의 반감기를 가지며, 알파 붕괴하여 167Pt이 된다. 172Hg는 231(9) μs의 반감기로 알파 붕괴하여 168Pt을 생성한다. 173Hg는 800(80) μs의 반감기를 가지며, 알파 붕괴를 통해 169Pt으로 붕괴한다. 174Hg는 2.0(4) ms의 반감기로 알파 붕괴하여 170Pt이 된다.175Hg는 10.2(3) ms의 반감기를 가지며, 알파 붕괴를 통해 171Pt으로 붕괴한다. 175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340(30) ns의 반감기로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175Hg로 붕괴한다. 176Hg는 20.3(14) ms의 반감기를 가지며, 90%는 알파 붕괴하여 172Pt, 10%는 베타 붕괴(β+)하여 176Au로 붕괴한다.177Hg는 117(7) ms의 반감기로 알파 붕괴하여 173Pt이 된다. 177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1.50(15) μs의 반감기로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177Hg로 붕괴한다. 178Hg는 266.5(24) ms의 반감기를 가지며, 89%는 알파 붕괴하여 174Pt, 11%는 베타 붕괴하여 178Au로 붕괴한다.179Hg는 1.05(3) s의 반감기를 가지며, 75%는 알파 붕괴하여 175Pt, 25%는 베타 붕괴하여 179Au, 0.15%는 베타 붕괴와 양성자 방출(p)을 통해 178Pt으로 붕괴한다. 179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6.4(9) μs의 반감기로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179Hg로 붕괴한다. 180Hg는 2.59(1) s의 반감기를 가지며, 52%는 베타 붕괴하여 180Au, 48%는 알파 붕괴하여 176Pt으로 붕괴한다.181Hg는 3.6(1) s의 반감기를 가지며, 73%는 베타 붕괴하여 181Au, 27%는 알파 붕괴하여 177Pt, 0.014%는 베타 붕괴와 양성자 방출을 통해 180Pt, 9×10−6%는 베타 붕괴와 알파 붕괴를 통해 177Ir로 붕괴한다. 181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480(20) μs의 반감기로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181Hg로 붕괴한다.182Hg는 10.83(6) s의 반감기를 가지며, 86.2%는 베타 붕괴하여 182Au, 13.8%는 알파 붕괴하여 178Pt, 극히 일부(1×10−5% 미만)는 베타 붕괴와 양성자 방출을 통해 181Pt으로 붕괴한다. 183Hg는 9.4(7) s의 반감기를 가지며, 88.3%는 베타 붕괴하여 183Au, 11.7%는 알파 붕괴하여 179Pt, 2.6×10−4%는 베타 붕괴와 양성자 방출을 통해 182Pt으로 붕괴한다. 183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5 μs 이상의 반감기를 가진다.184Hg는 30.87(26) s의 반감기를 가지며, 98.89%는 베타 붕괴하여 184Au, 1.11%는 알파 붕괴하여 180Pt으로 붕괴한다. 185Hg는 49.1(10) s의 반감기를 가지며, 94%는 베타 붕괴하여 185Au, 6%는 알파 붕괴하여 181Pt으로 붕괴한다. 185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21.6(15) s의 반감기를 가지며, 54%는 이성질핵 전이, 46%는 베타 붕괴, 0.03%는 알파 붕괴를 통해 각각 185Hg, 185Au, 181Pt으로 붕괴한다.186Hg는 1.38(6)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99.98%는 베타 붕괴하여 186Au, 0.016%는 알파 붕괴하여 182Pt으로 붕괴한다. 186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82(5) μs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186Hg로 붕괴한다. 187Hg는 1.9(3)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87Au로 붕괴한다. 187mHg는 2.4(3)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87Au로 붕괴한다.188Hg는 3.25(15)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를 통해 188Au로 붕괴하며, 3.7×10−5%의 확률로 알파 붕괴하여 184Pt으로 붕괴한다. 188mHg는 들뜬 핵 이성질체로 142(14) ns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188Hg로 붕괴한다. 189Hg는 7.6(2)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89Au로 붕괴한다. 189mHg는 8.6(2)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89Au로 붕괴한다.190Hg는 20.0(5)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90Au로 붕괴한다. 191Hg는 49(10)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91Au로 붕괴한다. 191mHg는 50.8(15)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91Au로 붕괴한다. 192Hg는 4.85(20)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전자 포획(EC)을 통해 192Au로 붕괴한다.193Hg는 3.80(15)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93Au로 붕괴한다. 193mHg는 11.8(2)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92.8%는 베타 붕괴, 7.2%는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각각 193Au, 193Hg로 붕괴한다. 194Hg는 447(28) 년의 반감기를 가지며 전자 포획을 통해 194Au로 붕괴한다. 195Hg는 10.69(16)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195Au로 붕괴한다.195mHg는 41.60(19)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54.2%는 이성질핵 전이, 45.8%는 베타 붕괴를 통해 각각 195Hg, 195Au로 붕괴한다. 196Hg는 안정 동위 원소로 관측된다. 197Hg는 64.93(7)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전자 포획을 통해 197Au로 붕괴한다. 197mHg는 23.82(4)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94.68%는 이성질핵 전이, 5.32%는 전자 포획을 통해 각각 197Hg, 197Au로 붕괴한다.198Hg, 199Hg, 200Hg, 201Hg, 202Hg, 204Hg는 모두 안정 동위 원소로 관측된다. 203Hg는 46.610(10) 일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203Tl으로 붕괴한다. 203m1Hg와 203m2Hg는 각각 22.1(10) μs, 146(30) ns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203Hg로 붕괴한다.205Hg는 5.14(9)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205Tl으로 붕괴한다. 205m1Hg와 205m2Hg는 각각 1.09(4) ms, 5.89(18) μs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205Hg로 붕괴한다. 206Hg는 8.32(7)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하여 206Tl으로 붕괴한다. 206m1Hg와 206m2Hg는 각각 2.088(17) μs, 106(3) ns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206Hg로 붕괴한다.207Hg는 2.9(2) 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를 통해 207Tl으로 붕괴한다. 208Hg는 135(10) 초의 반감기를 가지며, 베타 붕괴를 통해 208Tl으로 붕괴한다. 208mHg는 99(14) ns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208Hg로 붕괴한다. 209Hg는 6.3(11) 초의 반감기를 가지고 베타 붕괴를 통해 209Tl으로 붕괴한다.210Hg는 64(12) 초의 반감기를 가지며, 97.8%는 베타 붕괴, 2.2%는 베타 붕괴와 중성자 방출(n)을 통해 각각 210Tl, 209Tl으로 붕괴한다. 210m1Hg와 210m2Hg는 각각 2.1(7) μs, 2(1) μs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210Hg로 붕괴한다. 211Hg는 26.4(81) 초의 반감기를 가지며, 93.7%는 베타 붕괴, 6.3%는 베타 붕괴와 중성자 방출을 통해 각각 211Tl, 210Tl으로 붕괴한다. 212Hg와 213Hg는 300 ns 이상의 반감기를 가진다. 214Hg는 8초 이상의 반감기를 가진다.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정보
[5]
정보
[6]
정보
[7]
정보
[8]
정보
[9]
URL
http://www.nucleonic[...]
[10]
정보
[11]
정보
[12]
정보
[13]
정보
[14]
정보
[15]
정보
[16]
정보
[17]
정보
[18]
정보
[19]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