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잔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숫잔대아과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다양한 속을 포함한다. 브리검속, 벌마이스테라속, 칼카라토로벨리아속, 센트로포곤속, 클레르몬티아속, 키아네아속, 델리세아속, 다이알리페탈룸속, 디아스타테아속, 디엘산타속, 다우닝기아속, 그라마토테카속, 헤테로토마속, 히포브로마속, 하우엘리아속, 힙셀라속, 아이소토마속, 레게네레속, 로벨리아속, 리시포미아속, 모놉시스속, 팔멜라속, 포르테렐라속, 프라티아속, 루티엘라속, 스클레로테카속, 시포캄필루스속, 솔레놉시스속, 트레마토로벨리아속, 유니게네스속 등이 이 아과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숫잔대아과 - 로벨리아
로벨리아 에리누스는 아프리카 남부 원산의 초본 다년생 덩굴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며 주로 행잉 바스켓에 재배되고 온대 기후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취급된다. - 숫잔대아과 - 숫잔대속
숫잔대속은 도라지과에 속하며 좌우 대칭 꽃을 피우는 특징을 가진 식물 속으로, 전 세계에 300~400종이 분포하고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이나 전통 의학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로벨린 등의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뽕나무과
뽕나무과는 벵골보리수와 같은 거대한 나무부터 다육식물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뽕나무, 무화과 등을 포함하고 식용, 약용, 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식물 과이다. - 1835년 기재된 식물 - 아욱아과
아욱아과는 아욱과에 속하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하는 78개 속과 1,670여 종을 포함하는 아과로, 아욱족, 목화족, 무궁화족, 키디아족의 4개 족으로 분류되며 아욱속, 무궁화속, 목화속 등이 주요 속으로 포함되고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라 계통 분류가 수정되고 있다.
| 숫잔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학적 정보 | |
| 학명 | Lobelioideae |
| 명명자 | Burnett, 1835 |
| 상위 분류 | 초롱꽃과 |
| 속 | 본문 참조 |
| 특징 | |
![]() | |
| 추가 정보 요청 | 추가 인용 필요 (2011년 3월) |
2. 하위 속
숫잔대아과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다음과 같은 속들을 포함한다.
| ㄱ | ㄴ | ㄷ | ㄹ | ㅁ |
|---|---|---|---|---|
| | | | | | | | |
| ㅂ | ㅅ | ㅇ | ㅈ | ㅊ |
|---|---|---|---|---|
| | | | | | | | |
| ㅋ | ㅌ | ㅍ | ㅎ |
|---|---|---|---|
| | | | | | |
2. 1. ㄱ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2. 2. ㄷ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2]
2. 3. ㄹ
2. 4. ㅁ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2. 5. ㅂ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2. 6. ㅅ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2. 7. ㅇ
2. 8. ㅈ
- 브리검속(Brighamia)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 키아네아속(Cyanea)
- 델리세아속(Delissea)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 디엘산타속(Dielsantha)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 하우엘리아속(Howellia)
- 힙셀라속(Hypsela)
- 아이소토마속(Isotoma)
- 레게네레속(Legenere)
- 로벨리아속(Lobelia)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 모놉시스속(Monopsis)
- 팔멜라속(Palmerella)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 프라티아속(Pratia)
- 루티엘라속(Ruthiella)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 유니게네스속(Unigenes)[2]
2. 9. ㅋ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2. 10. ㅌ
2. 11. ㅍ
브리검속(Brighamia),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키아네아속(Cyanea), 델리세아속(Delissea),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디엘산타속(Dielsantha), 다우닝기아속(Downingia),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하우엘리아속(Howellia), 힙셀라속(Hypsela), 아이소토마속(Isotoma), 레게네레속(Legenere), 로벨리아속(Lobelia), 리시포미아속(Lysipomia), 모놉시스속(Monopsis), 팔멜라속(Palmerella),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프라티아속(Pratia), 루티엘라속(Ruthiella),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유니게네스속(Unigenes) 등이 이 분류군에 속한다.[2]2. 12. ㅎ
- 브리검속(Brighamia) A.Gray
- 벌마이스테라속(Burmeistera) H.Karst. & Triana
- 칼카라토로벨리아속(Calcaratolobelia) Wilbur
- 센트로포곤속(Centropogon) C.Presl
-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Gaudich.
- 키아네아속(Cyanea) Gaudich.
- 델리세아속(Delissea) Gaudich.
- 다이알리페탈룸속(Dialypetalum) Benth.
- 디아스타테아속(Diastatea) Scheidw.
- 디엘산타속(Dielsantha) E.Wimm.
- 다우닝기아속(Downingia) Torr.
- 그라마토테카속(Grammatotheca) C.Presl
- 헤테로토마속(Heterotoma) Zucc.
- 히포브로마속(Hippobroma) G.Don
- 하우엘리아속(Howellia) A.Gray
- 힙셀라속(Hypsela) C.Presl
- 아이소토마속(Isotoma) (R.Br.) Lindl.
- 레게네레속(Legenere) McVaugh
- 로벨리아속(Lobelia) L.
- 리시포미아속(Lysipomia) Kunth
- 모놉시스속(Monopsis) Salisb.
- 팔멜라속(Palmerella) A.Gray
- 포르테렐라속(Porterella) Torr.
- 프라티아속(Pratia) Gaudich.
- 루티엘라속(Ruthiella) Steenis
- 스클레로테카속(Sclerotheca) A.DC.
- 시포캄필루스속(Siphocampylus) Pohl
- 솔레놉시스속(Solenopsis) C.Presl
- 트레마토로벨리아속(Trematolobelia) Zahlbr. ex Rock
- 유니게네스속(Unigenes) E.Wimm.[2]
3. 보전
4.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Campanulaceae'' Juss., nom. cons. subfam. ''Lobelioid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7-04-12
[2]
웹사이트
GRIN Genera of ''Campanulaceae'' subfam. ''Lobelioid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3-02
[3]
서적
Outlines of Botany
183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