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잔 마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잔 마네는 피아니스트이자, 화가 에두아르 마네의 아내이다. 1851년 에두아르의 피아노 교사로 처음 만나 연인 관계를 거쳐 1863년에 결혼했다. 쉬잔은 에두아르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특히 아들 레옹과 함께 묘사된 작품이 많다. 에드가 드가가 그린 쉬잔과 에두아르의 초상화가 훼손된 사건은 예술계의 논란을 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마뤼스카 데트머르스
마뤼스카 데트머르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배우로, 1983년 영화 《카르멘이라는 여자》로 데뷔하여 유럽 영화와 할리우드 영화에 출연했으며, 2004년부터 텔레비전 영화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 델프트 출신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섬세한 묘사와 빛의 표현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적은 작품 수에도 불구하고 《우유를 따르는 여인》,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와 같은 걸작을 남겨 세계적인 화가로 인정받고, 사후 재발견되어 회화 기법이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델프트 출신 - 후고 그로티우스
후고 그로티우스는 국제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자연법에 기초한 국제법을 주창하고 《전쟁과 평화의 법》 등의 저서를 통해 전쟁의 정당한 이유와 바다의 자유로운 이용을 주장했다.
쉬잔 마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Suzanne Manet |
출생일 | 1829년 10월 30일 |
출생지 | 네덜란드 헤이렌베인 |
사망일 | 1906년 3월 8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직업 | 피아니스트 |
2. 에두아르 마네와의 만남과 결혼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던 쉬잔 린호프는 1851년에 에두아르 마네의 아버지 오귀스트에 의해 에두아르와 그의 형제들의 피아노 교사로 처음 고용되었다.[1] 에두아르 마네에게 엄격했던 아버지 오귀스트는, 자신의 아들에게 예술 대신 법학을 공부하도록 했다. 쉬잔과 에두아르는 20대 초반에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약 10년 동안 연애를 이어갔다. 에두아르는 부모님의 집을 떠난 후, 아버지에게 쉬잔과의 관계를 비밀로 유지한 체 그녀와 같이 살았다. (린호프는 오귀스트의 애인이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린호프는 1852년 1월 29일에 혼외정사로 아들 레온에두아르 코엘라(Léon-Édouard Koëlla, 후에 Léon Koëlla-Leenhoff)를 낳았다.[1] 출생증명서에는 린호프가 어머니로, 코엘라가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인물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아마 사실이 아닐 확률이 높다. 아들 레온은 1855년에 세례를 받았고 쉬잔의 남동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결국 쉬잔과 에두아르는 에두아르의 아버지가 죽은 지 1년 후인 1863년 10월에 결혼했다.[2] 에두아르는 레온을 그의 아들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1] 일부에서는 레온의 아버지가 에두아르 마네의 아버지인 오귀스트였을 수도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3][4]
레온은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에 자주 등장한다.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1861년작 《칼을 들고 있는 소년》과 《비누방울을 불고 있는 소년》이 있다. 그는 또한 마네의 그림 《발코니》에서 뒤에서 쟁반을 들고 있는 소년으로 등장한다.[5]
2. 1. 아들 레온
쉬잔은 1852년 1월 29일 혼외 아들 레온에두아르 코엘라(Léon-Édouard Koëlla, 후에 Léon Koëlla-Leenhoff)를 낳았다.[1] 출생증명서에는 린호프가 어머니로, 코엘라가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 인물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아마 사실이 아닐 확률이 높다. 아들 레온은 1855년에 세례를 받았고 쉬잔의 남동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쉬잔과 에두아르 마네는 에두아르의 아버지가 죽은 지 1년 후인 1863년 10월에 결혼했다.[2] 에두아르는 레온을 그의 아들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1]레온은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모델이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861년작 《칼을 들고 있는 소년》과 《비누방울을 불고 있는 소년》이 있다. 그는 또한 마네의 그림 《발코니》에서 뒤에서 쟁반을 들고 있는 소년으로 등장한다.[5]
일부에서는 레온의 아버지가 에두아르 마네의 아버지인 오귀스트였을 수도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3][4]
2. 2. 결혼
쉬잔 린호프는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1] 1851년, 쉬잔은 마네의 아버지 오귀스트에 의해 에두아르 마네와 그의 형제들의 피아노 교사로 고용되었다.[1] 에두아르 마네에게 엄격했던 아버지 오귀스트는, 자신의 아들에게 예술 대신 법학을 공부하도록 했다.[1] 쉬잔과 에두아르는 20대 초반에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약 10년 동안 연애를 이어갔다.[1] 에두아르는 부모님의 집을 떠난 후, 아버지에게 쉬잔과의 관계를 비밀로 유지한 체 그녀와 같이 살았다.[1] 1852년 1월 29일, 쉬잔은 혼외정사로 아들 레온에두아르 코엘라를 낳았다.[1] 아들 레온은 1855년에 세례를 받았고 쉬잔의 남동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쉬잔과 에두아르는 에두아르의 아버지가 죽은 지 1년 후인 1863년 10월에 결혼했다.[2] 에두아르는 레온을 그의 아들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1] 일부에서는 레온의 아버지가 에두아르 마네의 아버지인 오귀스트였을 수도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3][4] 레온은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에 자주 등장한다.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1861년작 《칼을 들고 있는 소년》과 《비누방울을 불고 있는 소년》이 있다.[5] 그는 또한 마네의 그림 《발코니》에서 뒤에서 쟁반을 들고 있는 소년으로 등장한다.[5]
3. 에드가 드가의 초상화와 논란
에두아르 마네와 에드가 드가는 1862년 루브르 박물관에서 우연히 만나 친구가 되었다. 1868년, 드가는 마네와 그의 아내의 초상화를 그렸다. 그림 속 마네는 소파에 기대어 앉아 있으며 쉬잔은 피아노에 앉아 연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그림은 작품 속 쉬잔의 몸을 가르며 세로로 찢겨 나갔다. 확실하진 않지만 마네가 의도적으로 찢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유는 확실하진 않지만 드가가 쉬잔을 그린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아니면 당시 드가와 불화가 있어서, 아니면 아내에게 화가 나서 그림을 찢었을 것이라는 추측들이 있다. 결국 마네는 《피아노를 치는 마네 부인》을 그려 피아노를 치는 쉬잔을 자신의 그림으로 다시 묘사했다. 드가는 자신의 그림이 찢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에두아르에게 그림을 돌려달라고 요구한 후 그림을 다시 가져갔다. 드가는 피아노 앞에 앉아 있는 쉬잔의 모습을 다시 그리려고 했으며, 세기가 바뀔 무렵 미술상인 앙브루아즈 볼라르와 대화하면서 그 의도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러나 드가는 그림을 고칠 방법이 없었고 이 그림은 일본 기타큐슈 시립 미술관에 찢어진 상태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6][7][8]
3. 1. 그림 훼손 사건
에드가 드가가 1868년에서 1869년 사이에 그린 《마네 부부》는 에두아르 마네와 그의 아내 쉬잔이 함께 있는 모습을 묘사한 작품이다. 그림 속 마네는 소파에 기대앉아 있고, 쉬잔은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으로 그려졌다.[6][7][8] 그러나 이 그림은 쉬잔의 몸 부분을 가로지르며 세로로 찢겨진 상태이다.[6][7][8]마네가 그림을 훼손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6][7][8] 드가가 쉬잔을 그린 방식에 불만을 품었거나, 당시 드가와의 불화, 또는 아내에 대한 분노 등이 원인으로 추측된다.[6][7][8] 마네는 이후 《피아노를 치는 마네 부인》을 그려 쉬잔의 모습을 다시 묘사했다.[6][7][8]
드가는 그림이 훼손된 것을 알고 마네에게 그림을 돌려받아 쉬잔의 모습을 다시 그리려 했으나, 결국 완성하지 못했다.[6][7][8] 훼손된 그림은 현재 일본 기타큐슈 시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6][7][8]
3. 2. 드가의 복원 시도와 실패
에드가 드가가 1868년에서 1869년 사이에 그린 《마네 부부》는 에두아르 마네가 소파에 기대어 앉아 있고 쉬잔이 피아노를 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6][7][8] 그러나 이 그림은 쉬잔의 몸을 가르며 세로로 찢겨진 상태이다.[6][7][8] 마네가 드가가 쉬잔을 그린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혹은 당시 드가와의 불화나 아내에 대한 분노 때문에 의도적으로 훼손했을 것으로 추측된다.[6][7][8] 마네는 이후 《피아노를 치는 마네 부인》을 그려 쉬잔의 모습을 다시 묘사했다.그림이 훼손된 것에 분노한 드가는 마네에게 그림을 돌려받아 쉬잔의 모습을 다시 그리려 했다.[6][7][8] 드가는 세기가 바뀔 무렵 미술상인 앙브루아즈 볼라르에게 복원 의도를 밝히기도 했지만, 결국 복원에 실패했다.[6][7][8] 현재 이 그림은 훼손된 상태 그대로 일본 기타큐슈 시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6][7][8]
4. 에두아르 마네의 작품 속 쉬잔
4. 1. 주요 작품
참조
[1]
저널
The Man with the Sword: Edouard Manet's Double-Edged Works
1994
[2]
서적
Manet 1832-1883
[3]
웹인용
Manet, Vermeer, Valesquez and the boy in "The Luncheon"
https://www.lesliepa[...]
leslieparke.com
2023-03-02
[4]
웹인용
The Mystery of Leon, Édouard Manet’s Son
https://bonjourparis[...]
bonjourparis.com
2018-09-04
[5]
서적
Manet: the still-life paintings
H.N. Abrams in association with the American Federation of Arts
2000
[6]
서적
Manet 1832-1883
[7]
웹인용
ART; Degas and Mrs. Mane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3-22
[8]
웹인용
Degas and Manet’s ‘mix of friendship and rivalry’ chronicled in major new show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202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