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시무나무는 장미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학명은 *Hemiptelea davidii*입니다.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의 저지대 계곡이나 하천변에서 자랍니다.
주요 특징:
- 크기: 15~30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입니다.
- 나무껍질: 회갈색 또는 흑회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집니다.
- 가지: 어린 가지가 변한 길쭉한 가시가 많이 나 있습니다.
- 잎: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잎 길이는 1~6cm이며, 잎 뒷면 잎맥 위에 털이 있습니다.
- 꽃: 5월에 연노란색 꽃이 1~4개씩 모여 핍니다. 암수한그루 또는 잡성주입니다.
- 열매: 9월에 익는 시과 열매는 납작한 반달 모양이며, 한쪽에만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름의 유래:시무나무는 옛 방언으로 '스믜나무', '스무나무', '스미나무'라고도 불렸습니다. '시무'는 옛말로서 '스무', 즉 20(二十)을 뜻합니다. 그래서 시무나무를 '20리목(二十里木)'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20리마다 심어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한자로는 가시가 있는 느릅나무라는 뜻의 '자유(刺楡)'라고 부릅니다.
쓰임새:
- 길라잡이 나무: 과거에는 20리마다 시무나무를 심어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로 사용했습니다.
- 목재: 재질이 단단하고 치밀하여 수레바퀴를 만드는 목재로 사용되었습니다. 박달나무 다음으로 좋은 재료로 여겨졌습니다.
- 식용: 새싹을 쌀가루나 콩가루 같은 곡식 가루를 묻혀 떡을 만들어 먹기도 했습니다.
- 조경수, 농기구재 등으로 사용
기타:
- 시무나무는 느티나무, 느릅나무와 유연관계가 깊습니다.
- 속명인 *Hemiptelea*는 절반을 뜻하는 'hemi'와 날개를 뜻하는 'ptelea'의 합성어로, 열매의 한쪽에만 날개가 있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 김삿갓의 시에도 등장합니다. '二十樹下三十客 四十村中五十食 人間豈有七十事 不如歸家三十食' (시무나무 아래 서러운 손님이 망할 놈의 마을에서 쉰 밥을 얻어먹었다)
| 시무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목 | 장미군 |
| 목 | 장미목 |
| 과 | 느릅나무과 |
| 속 | 시무나무속 (Hemiptelea) |
| 종 | 시무나무 |
| 학명 | Hemiptelea davidii |
| 학명 명명자 | (Hance) Planch. (187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