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은 조선 선조 때의 무신 신경행(1559∼1623)과 관련된 문서들입니다. 1596년(선조 29년)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신경행에게 1604년(선조 37년) 내려진 청난공신교서(淸難功臣敎書)를 비롯하여, 유서(諭書), 시호서경(諡號署經, 2점), 증시교지(贈諡敎旨), 조은신공시장(釣隱辛公諡狀), 청난원종공신록권(淸難原從功臣錄券),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이십일공신회맹록(二十一功臣會盟錄) 등 총 8종 9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신경행에게 내린 교서로,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선무공신 및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한 호성공신과 함께 1604년(선조 37년)에 발급되었습니다. 녹훈 사실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청난공신 포상 규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입니다.
유서(諭書): 1608년(선조 41년) 6월 16일에 신경행을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내린 문서입니다. 제1부의 밀부(密符)를 내린 것은 매우 희귀한 예로 가치가 높습니다.
시호서경(諡號署經) 2점, 증시교지(贈諡敎旨), 조은신공시장(釣隱辛公諡狀): 신경행이 '충익(忠翼)'이라는 시호를 받는 과정을 보여주는 문서들입니다. 시호서경은 사헌부 시호서경과 사간원 시호서경이 있으며, 1811년(순조 11년) 6월에 증예조판서 신경행의 시호를 충익으로 정하는 것에 대해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동의한 문서입니다. 증시교지는 1812년(순조 12년) 1월에 신경행에게 충익의 시호를 내리는 교지입니다. 조은신공시장은 신경행이 시호를 받기 위해 그가 살았을 때의 행적을 기록한 글입니다.
청난원종공신록권(淸難原從功臣錄券): 1605년(선조 38년) 4월 16일에 공신도감에서 신경행의 아들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문서입니다.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이십일공신회맹록(二十一功臣會盟錄): 신경행과 관련된 자료들입니다.
이 문서들은 충청북도 괴산군의 영산 신씨 충익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2003년 8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380호로 지정되었으며, 서지학, 역사학, 조선 시대 공신 관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文籍)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1380 |
| 지정일 | 2003년 8월 21일 |
|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명암동) |
| 소유자 | 영산신씨충익공파종중 |
| 수량 | 8종 9점 |
| 시대 | 조선시대 |
| 지도 | 대한민국 |
| 꼬리표 | 국립청주박물관 |
| 문화재청 ID | 12,13800000,33 |
| 유형 문화재 정보 (해제) | |
| 문화재 명칭 | 충익공청난공신녹권 (忠翼公淸難功臣錄券) |
| 유형 | 유형문화재 |
| 지정 번호 | 52 |
| 지정일 | 1979년 9월 29일 |
| 해제일 | 2003년 8월 21일 |
| 문화재청 ID (유형문화재) | 21,00520000,3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