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증유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신증유합(新增類合)은 1576년(선조 9년) 유희춘이 기존의 『유합(類合)』을 증보·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입니다. 2권 1책으로 구성된 목활자본이며, 『천자문』, 『훈몽자회』 등과 함께 조선시대에 널리 사용된 한자 학습 교재입니다.
편찬 배경 및 목적:


  • 기존의 『유합』은 저자가 명확하지 않고, 중요한 한자가 빠져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불교를 숭상하고 유교를 배척하는 내용(숭불억유)이 있어 유학자인 유희춘이 이를 바로잡고자 했습니다.
  • 30여 년에 걸쳐 완성된 신증유합은 임금에게 진상된 후 널리 인쇄되어 배포되었습니다.

내용 구성:신증유합은 총 3,000자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 유합(1,512자)의 두 배에 달하는 분량입니다. 상권과 하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습니다.

  • 상권 (1,000자): 수목(數目), 천문(天文), 중색(衆色), 지리(地理), 초훼(草卉), 수목(樹木), 과실(果實), 화곡(禾穀), 채소(菜蔬), 금조(禽鳥), 수축(獸畜), 인개(鱗介), 충치(蟲豸), 인륜(人倫), 도읍(都邑), 권속(眷屬), 신체(身體), 실옥(室屋), 포진(鋪陳), 금백(金帛), 자용(資用), 기계(器械), 식찬(食饌), 의복(衣服) 등 24개 항목.
  • 하권 (2,000자): 심술(心術), 동지(動止), 사물(事物) 3개 항목.

특징:

  • 4언 절구(四言絶句) 형식으로, 4글자씩 한 구절을 이루고 두 구절이 서로 대구를 이루는 형태입니다.
  • 각 한자마다 한글로 음과 뜻(새김)을 달아 놓았습니다.
  • 단순히 한자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에 따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배열하여 학습 효과를 높였습니다.
  • 16세기 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ㅿ'(반치음)이 많이 남아 있어, 당시의 한국어 상황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 문맥에 맞는 새김을 위에 표기하여 혼동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본 및 소장처:다양한 이본이 존재하며, 서울대학교 일사문고, 고려대학교 도서관, 일본 동양문고, 계명대학교 도서관, 해인사 등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