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육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육섭은/는 문서에 어떠한 내용도 존재하지 않아, 어떠한 정보도 제공할 수 없는 빈 페이지입니다. (필요하다면,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러한 빈 페이지는 정보 부족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십육섭
십육섭
개요
정의십육섭(十六攝)은 운도(韻圖)에서 상고음(上古音) 시기의 성모(聲母)와 운모(韻母)의 결합 양상을 나타내는 16개의 주요 운모 범주이다.
특징섭(攝)은 운모를 묶는 가장 큰 단위이며, 십육섭은 당운(唐韻)의 206개의 운목(韻目)을 16개로 묶어 놓은 것이다.
각 섭은 특정한 주모음과 운미를 공유하며, 운모의 개방 정도나 성모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된다.
십육섭 목록
통섭(通攝)주모음: 옹(ong)
운미: -ng
해당 운목: 동(東), 겨울(冬), 종(鍾)
강섭(江攝)주모음: 앙(ang)
운미: -ng
해당 운목: 강(江)
지섭(止攝)주모음: ㅣ(i)
운미: -i, - 없음
해당 운목: 지(止), 비(比), 미(尾)
우섭(遇攝)주모음: ㅜ(u)
운미: -u, - 없음
해당 운목: 우(虞), 모(模)
해섭(蟹攝)주모음: ㅐ(ai)
운미: -i
해당 운목: 해(咍), 개(皆), 제(齊), 폐(廢)
효섭(效攝)주모음: ㅓㅜ(au)
운미: -u
해당 운목: 호(豪), 효(肴), 소(蕭)
과섭(果攝)주모음: ㅓ(a)
운미: - 없음
해당 운목: 가(歌)
가섭(假攝)주모음: ㅏ(a)
운미: - 없음
해당 운목: 마(麻)
유섭(流攝)주모음: ㅣㅜ(iu)
운미: -u
해당 운목: 후(侯), 유(尤)
심섭(深攝)주모음: ㅓㅁ(em)
운미: -m
해당 운목: 심(深)
짐섭(咸攝)주모음: ㅏㅁ(am)
운미: -m
해당 운목: 담(覃), 함(咸), 엄(銜), 범(凡)
산섭(山攝)주모음: ㅏㄴ(an)
운미: -n, -t
해당 운목: 한(寒), 산(山), 선(仙), 원(元)
간섭(梗攝)주모음: ㅐㅇ(eang)
운미: -ng, -k
해당 운목: 경(庚), 청(清), 정(靜)
증섭(曾攝)주모음: ㅓㅇ(eong)
운미: -ng, -k
해당 운목: 증(曾)
근섭(臻攝)주모음: ㅣㄴ(in)
운미: -n, -t
해당 운목: 진(臻), 인(欣), 문(文)
합섭(洽攝)주모음: ㅏㅂ(ap)
운미: -p
해당 운목: 합(洽), 갑(狎), 엽(業), 범(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