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말라순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라순타는 5세기 말 동고트 왕국의 왕 테오도리크의 딸로, 섭정 및 여왕으로 동고트 왕국을 통치했다. 그녀는 아말리 왕조 출신으로, 아말리 왕자 에우타리크와 결혼하여 아탈라리크와 마타순타를 낳았다. 아탈라리크가 사망한 후 섭정으로 통치하며, 아들의 교육에 로마 문화를 도입하려 했으나 고트족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이후 사촌 테오다하드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지만, 테오다하드에게 감금되어 535년에 살해당했다. 그녀의 죽음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는 명분이 되었으며, 이후 여러 예술 작품과 소행성, 식물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말라순타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동고트 여왕 |
출생일 | 기원후 495년경 |
사망일 | 535년 4월 30일 (39~40세) |
아버지 | 테오도리크 대왕 |
어머니 | 아우도플레다 |
배우자 | 트라구일라 |
배우자2 | 에우타리크 |
자녀 | 아탈라리크 |
자녀2 | 마타순타 |
왕조 | 아말리 가문 |
종교 | 아리우스파 |
통치 | |
섭정 | 526년 8월 30일 ~ 534년 10월 2일 |
섭정 유형 | 섭정 |
선임자 | 아탈라리크 |
선임자 유형 | 군주 |
여왕 재위 | 534년 10월 2일 ~ 535년 4월 30일 |
공동 통치자 | 테오다하드 |
공동 통치자 유형 | 공동 군주 |
선임자2 | 아탈라리크 |
후임자 | 테오다하드(단독 군주) |
2. 가족 및 배경
아말라순타는 495년 라벤나에서 테오도리크와 아우도플레다(클로비스 1세의 여동생)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4] 아탈라리크가 테오도리크 사망 당시 10세에 불과했기에, 아말라순타는 섭정으로서 아들과 함께 왕국을 통치했다. 카시오도루스와 프로코피우스의 기록에서 아탈라리크가 왕으로 언급되기는 하지만, 실제로 아말라순타가 그의 명의로 통치했다.
2. 1. 아말 왕조
아말라순타는 게르만 혈통의 고트족으로 구성된 아말리 왕조 출신이다.[5] 아말라순타는 정당한 왕위 계승자를 확보하기 위해 아버지처럼 정치적인 이유로 아말리 왕자 에우타리크와 결혼했다.[6]2. 2. 정략결혼
아말라순타의 부모의 결혼은 당시 많은 왕족 결혼처럼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테오도리크는 다양한 고트 왕국을 정복한 후 프랑크족과의 동맹을 모색하며 493년경 아우도플레다와 결혼했다.[4] 아말라순타는 아버지 쪽으로 아말리 왕조에서 태어났으며, 이 왕조는 게르만 혈통의 고트족으로 구성되었다.[5] 아버지처럼 아말라순타는 정당한 왕위 계승자를 확보하기 위해 정치적인 이유로 아말리 왕자 에우타리크와 결혼했다.[6] 그들은 아탈라리크와 마타순타 두 자녀를 두었다. 에우타리크는 522년에 사망했고, 테오도리크는 그의 왕국에 왕위를 물려받을 성인 남성 상속자가 없다는 사실에 불안감을 느꼈다.[6]2. 3. 자녀
아말라순타는 에우타리크와 결혼하여 아들 아탈라리크와 딸 마타순타를 두었다.[6]3. 섭정 통치 (526년-534년)
아말라순타는 526년부터 아들 아탈라리크가 사망한 534년까지 섭정 통치를 했다.[7] 530년에는 아들 아탈라리크와 함께 이중 패널 루피우스 겐나디우스 프로부스 오레스테스에 등장할 정도로 섭정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9]
아말라순타는 아말리 가문의 권력을 확보하고자 공동 통치 체제를 구상했다. 사촌인 테오다하드를 공동 섭정으로 임명하여, 자신은 남성 역할을, 테오다하드는 여성 역할을 맡는 방식으로 남녀 군주가 권력을 공유하는 형태를 취했다.[8] 프로코피우스와 카시오도루스는 아말라순타의 강한 결단력과 기질을 언급하며, 그녀의 남성성을 주요 특징으로 묘사했다.[8]
3. 1. 로마-고트 문화 갈등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고트족 귀족들은 아탈라리크를 고트족 방식대로 키우고 싶어했지만, 아말라순타는 그가 로마 황족을 닮기를 바랐다.[3] 아말라순타는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이는 로마식 학습과 관습에 대한 그녀의 고수 행위가 동족인 고트족에게 특히 반감을 사게 만들었을 것이다.[3]고대 로마 문화에 깊이 빠져 있던 아말라순타는 아들의 교육에 고트족 백성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더 세련되고 문학적인 면모를 부여했다. 그녀는 자신의 인기가 없음을 인지하고, 통치에 반대할 음모를 꾸민 것으로 의심되는 세 명의 고트족 귀족을 추방하고 사형에 처했다. 동시에 그녀는 유스티니아누스와 협상하여 자신과 고트족의 보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려 했다.
3. 2.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
아말라순타는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고트족 귀족들은 아탈라리크를 고트족 방식대로 키우고 싶어했지만, 아말라순타는 그가 로마 황족을 닮기를 바랐다.[3] 아말라순타가 로마식 학습과 관습을 고수하는 것은 동족인 고트족에게 반감을 샀다.[3] 아탈라리크가 과도한 음주와 질병의 조합으로 사망한 534년까지 섭정은 지속되었다.[7]아말라순타는 자신의 인기가 없음을 인지하고, 통치에 반대하는 음모를 꾸민 것으로 의심되는 세 명의 고트족 귀족을 추방하고 사형에 처했다. 동시에 그녀는 유스티니아누스와 협상하여 자신과 고트족의 보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려 했다.
3. 3. 권력 유지 노력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고트족 귀족들은 아탈라리크를 고트족 방식대로 키우고 싶어했지만, 아말라순타는 그가 로마 황족을 닮기를 바랐다.[3] 아말라순타는 비잔틴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이는 로마식 학습과 관습에 대한 그녀의 고수 행위가 동족인 고트족에게 특히 반감을 사게 만들었을 것이다. 섭정은 아탈라리크가 과도한 음주(고트족 문화의 일부)와 질병(아마도 당뇨병)의 조합으로 사망한 534년까지 지속되었다.[7] 아말리 가문의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아말라순타는 보수적인 고트족 전통을 존중하는 공개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여왕으로서 계속 통치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통치 체제를 만들었다. 그 후 그녀는 사촌인 테오다하드를 공동 섭정으로 임명했는데, 아말라순타는 남성 역할을, 테오다하드는 여성 역할을 맡아 남녀 군주가 권력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8] 프로코피우스와 카시오도루스는 아말라순타에게 강한 결단력과 기질을 부여하면서 남성성을 주요 특징으로 묘사했다.[8]섭정으로서 그녀의 막대한 영향력은 530년에 아들 아탈라리크와 함께 등장하는 이중 패널 루피우스 겐나디우스 프로부스 오레스테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9] 고대 로마 문화에 깊이 빠져 있던 그녀는 아들의 교육에 고트족 백성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더 세련되고 문학적인 면모를 부여했다. 그녀는 자신의 인기가 없음을 인지하고, 통치에 반대할 음모를 꾸민 것으로 의심되는 세 명의 고트족 귀족을 추방하고 사형에 처했다. 동시에 그녀는 유스티니아누스와 협상하여 자신과 고트족의 보물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려 했다.
4. 여왕 통치 (534년-535년)
아탈라릭이 죽자, 아말라순타는 여왕이 되어 잠시 단독으로 통치했다. 이후 자신의 사촌 테오다하드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다.[10] 테오다하드는 친 로마 정책에 반대하는 고트족 군사 귀족의 지도자였고, 아말라순타는 이러한 공동 통치가 자신의 가장 큰 비판 세력으로부터 지지자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9] 그러나 테오다하드는 고트족의 불만을 조장했고, 결국 아말라순타는 볼세나 호의 마르타나 섬에 감금되었다.[10]
4. 1. 공동 통치자 테오다하드
아탈라릭이 사망한 후, 아말라순타는 여왕이 되어 잠시 단독으로 통치하였다. 이후 자신의 사촌 테오다하드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10] 테오다하드는 친(親) 로마 정책에 반대하는 고트족 군사 귀족의 지도자였으며, 아말라순타는 이러한 공동 통치가 가장 비판적인 세력으로부터 지지자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9] 그러나 테오다하드는 고트족의 불만을 조장했고, 아말라순타를 볼세나 호의 마르타나 섬에 감금하였다.[10]4. 2. 감금과 죽음
아말라순타는 공동 섭정이었던 테오다하드에게 투옥되었고, 535년 4월 30일 목욕을 하던 중 살해당했다.[10] 아말라순타의 죽음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동고트족과 전쟁을 벌여 로마 제국을 위해 이탈리아를 되찾는 명분으로 사용되었다.[11]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아말라순타는 죽기 직전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이탈리아를 넘겨주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12]비잔틴 제국 황후 테오도라가 유스티니아누스의 대사인 일리리아의 페테르를 통해 테오다하드와 공모하여 아말라순타를 살해하도록 했다는 증거도 있다.[13] 프로코피우스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를 잠재적인 연애 라이벌이자 황후의 지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의 살해를 주선하는 데 있어 유스티니아누스를 대리했으며, 이는 그에게 테오다하드를 공격할 수 있는 명확한 명분을 제공했다고 주장한다.[15]
5. 죽음 이후
아말라순타는 535년 4월 30일 공동 섭정이었던 테오다하드에게 투옥된 상태에서 목욕을 하던 중 살해당했다.[10] 이 사건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동고트족과 전쟁을 벌여 로마 제국을 위해 이탈리아를 되찾는 명분으로 사용되었다.[11]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아말라순타가 죽기 직전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이탈리아를 넘겨주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2]
536년, 테오다하드는 아말라순타의 딸 마타순타와 강제로 결혼한 비티게스에 의해 폐위되었다.[16] 비티기스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테오다하드를 처형했다.[17]
5. 1. 유스티니아누스의 이탈리아 침공
아말라순타는 공동 섭정이었던 테오다하드에게 투옥되어 535년 4월 30일 목욕을 하던 중 살해당했다.[10] 아말라순타가 살해당하자,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를 구실로 동고트족과 전쟁을 벌여 이탈리아를 되찾으려 했다.[11]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아말라순타가 죽기 직전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이탈리아를 넘기는 것을 고려했다고 기록했다.[12]비잔틴 제국 황후 테오도라는 유스티니아누스의 대사인 일리리아의 페테르를 통해 테오다하드와 공모하여 아말라순타를 살해하도록 했다는 증거도 있다.[13] 프로코피우스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를 잠재적인 연애 라이벌이자 황후 지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의 살해를 주선하는 데 있어 유스티니아누스를 대리했으며, 이는 그가 테오다하드를 공격할 수 있는 명확한 명분을 제공했다고 주장한다.[15]
536년, 테오다하드는 아말라순타의 딸인 마타순타와 강제로 결혼한 비티기스에 의해 폐위되었다.[16] 비티기스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테오다하드를 처형했다.[17]
5. 2. 테오도라 황후의 개입 의혹
아말라순타는 공동 섭정이었던 테오다하드에게 투옥되어 있다가 535년 4월 30일 목욕을 하던 중 살해당했다.[10] 아말라순타가 죽자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이 사건을 동고트족과의 전쟁 명분으로 삼아 로마 제국을 위해 이탈리아를 되찾으려 했다.[11]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아말라순타가 죽기 직전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이탈리아를 넘겨주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고 기록했다.[12] 테오도라 황후가 유스티니아누스의 대사인 일리리아의 페테르를 통해 테오다하드와 공모하여 아말라순타를 살해하도록 했다는 증거도 있다.[13] 프로코피우스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를 잠재적인 연애 라이벌이자 황후의 지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의 살해를 주선하는 데 있어 유스티니아누스를 대리했으며, 이는 그에게 테오다하드를 공격할 수 있는 명확한 정당성을 제공했다고 주장한다.[15]5. 3. 비티게스의 등장
아말라순타는 공동 섭정이었던 테오다하드에게 투옥되어 있다가 535년 4월 30일 목욕을 하던 중 살해당했다.[10] 이 사건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동고트족과 전쟁을 벌여 로마 제국을 위해 이탈리아를 되찾는 명분으로 사용되었다.[11] 동로마 제국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아말라순타가 죽기 직전 유스티니아누스에게 이탈리아를 넘겨주는 것을 고려했다고 기록했다.[12] 비잔틴 제국 황후 테오도라가 유스티니아누스의 대사인 일리리아의 페테르를 통해 테오다하드와 공모하여 아말라순타를 살해하도록 했다는 증거도 있다.[13] 프로코피우스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를 잠재적인 연애 라이벌이자 황후 지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고 주장했다.[14]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테오도라가 아말라순타 살해를 주선하는 데 있어 유스티니아누스를 대리했으며, 이는 그에게 테오다하드를 공격할 수 있는 명확한 명분을 제공했다고 주장한다.[15]536년, 테오다하드는 아말라순타의 딸인 마타순타와 강제로 결혼한 비티기스에 의해 폐위되었다.[16] 비티기스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아 테오다하드를 처형했다.[17]
6. 유산
6. 1. 예술 작품
카를로 골도니는 1733년 밀라노에서 상연된 그의 첫 희극에서 아말라순타의 삶을 주제로 다루었다.[19]루마니아 시인 게오르게 코슈부크는 "오스트고트족의 여왕(Regina Ostrogotilor)"이라는 시를 썼는데, 이 시에서 아말라순타(아말라순다로 언급)는 그녀를 죽이기 직전의 테오다하드(시에서는 테오다트로 언급)에게 말한다.[20]
1968년 영화 ''로마를 위한 투쟁(Kampf um Rom)''에서 호너 블랙먼이 아말라순타를 연기했다. 영화에서 그녀의 캐릭터는 잠긴 목욕탕에서 질식사한다.[21]
6. 2. 소행성
소행성 650 아말라순타는 아말라순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Ranunculus amalasuinthae''는 포메라니아에서 알려진 ''Ranunculus auricomus''의 미세 종으로, 그지브니차 근처 고트족 묘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23][24]6. 3. 식물
소행성 650 아말라순타는 아말라순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라눈쿨루스 아말라수인타에(''Ranunculus amalasuinthae'')''는 포메라니아에서 알려진 ''Ranunculus auricomus''의 미세 종으로, 그지브니차 근처 고트족 묘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곳을 포함한다.[23][24]참조
[1]
문서
The name is also spelled '''Amalasuentha''', '''Amalaswintha''', '''Amalasuntha''', '''Amalswinthe''', '''Amalasontha''', '''Amalasiuntha''', and '''Amalsenta'''.
[2]
Britannica
Amalasuntha
https://www.britanni[...]
[3]
간행물
"Nourished at the Breast of Rome": The Queens of Ostrogothic Italy and the Education of the Roman Elite
https://www.jstor.or[...]
2006
[4]
웹사이트
Amalasuintha of Italy, "An Ill-Fated Gothic Queen"
https://www.monstrou[...]
2022-12-18
[5]
웹사이트
FamilyTreeDNA - Genetic Testing for Ancestry, Family History & Genealogy
https://www.familytr[...]
2022-12-18
[6]
서적
Theohadad: A Platonic King at the Collapse of Ostrogothic Ital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7]
간행물
Athalaric's Health and the Ostrogothic Character
https://www.jstor.or[...]
1995
[8]
서적
Amalasuinth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
서적
Amalasuntha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
[10]
EB1911
[11]
서적
Theodora: actress, empress, sai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2]
간행물
War and Diplomacy in Pannonia and the Northwest Balkans during the Reign of Justinian: The Gepid Threat and Imperial Responses
2009
[13]
간행물
The Empress Theodora
https://www.jstor.or[...]
2002
[14]
서적
Theodora: actress, empress, sain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5]
간행물
The Empress Theodora
https://www.jstor.or[...]
2002
[16]
서적
Theodora: actress, empress, sai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7]
간행물
Election and Inheritance in Early Germanic Kingship
1941
[18]
간행물
Reviewed Work: Il principe, il filosofo, il guerriero: Lineamenti di pensiero politico nell'Italia ostrogota by Massimiliano Vitiell
2009
[19]
서적
Amalasuintha The Transformation of Queenship in the Post-Roman World
https://www.upenn.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0-09-07
[20]
웹사이트
Poezii Romanesti
http://www.romanianv[...]
2022-04-28
[21]
웹사이트
The Last Roman (1968) - IMDb
http://www.imdb.com/[...]
2020-03-08
[2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3]
간행물
Contribution à l’étude des renoncules tête d’or (Ranunculus auricomus aggr.) de la Poméranie polonaise. Trois espèces nouvelles des environs de Darłowo et Sławno
2024
[24]
웹사이트
Ranunculus amalasuinthae
https://beta.ipni.or[...]
2024-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