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방강역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는 조선 순조 때 실학자 정약용이 저술한 한국의 역대 강역에 대한 연구서이다. 고조선에서 발해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대 왕조들의 강역 변천을 문헌 중심으로 살피고 그 내용에 대하여 고증하였다.

정약용이 1811년(순조 11)에 편찬하고 1823~1836년에 증보한 한국의 강역과 지리에 관한 역사지리서이며, 한국의 과거 역사지리에 대한 문헌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대하여 고증을 한 책이다. 기자조선(箕子朝鮮)에서부터 조선 팔도의 연혁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변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약용은 이 책의 집필을 통해 옛 강역과 수도의 위치, 그리고 조선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의하면 《아방강역고》는 1811년(순조 11) 봄에 집필하여 초고본을 완성하였으며, 1822년 작성한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 따르면 10권으로 구성되었다. 현존하는 초고본 《아방강역고》는 목차 상으로 전체 10권으로 되어 있으나 제7권(<여진고>, <거란고>, <몽고고>)은 빠진 채 총 9권이 남아 있다. 1818년 귀양에서 풀려 고향으로 돌아온 뒤 초고본을 바탕으로 1833년 <북로연혁속(北路沿革續)>‚ <서북로연혁속(西北路沿革續)>을 증보하였고‚ 또한 홍석주(洪奭周, 1774~1842)의 《동사세가(東史世家)》를 본 후 <발해속고(渤海續考)>를 증보하여 총 12권의 수정본을 만들었다.

정약용은 당시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문헌을 정밀하게 고증하지 않고 또한 강역을 근거 없이 확장시켜 이해하였던 것을 비판하고, 엄밀한 고증에 입각하여 역사지리 비정을 진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