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브리코소브 소용돌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으로, 제2종 초전도체에 자기장이 침투할 때 형성되는 자기장 소용돌이이다. 이 소용돌이 내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각 와동은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며, 고온 초전도체, 핵융합, 자기 부상 열차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한국은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 제어 기술을 연구하며, 특히 고온 초전도체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이 해는 프리츠 런던(Fritz London)의 플럭손 해와[5][6] 라르스 온사거(Lars Onsager)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3][4]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즉,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코어는 크기가 \sim\xi이며, 이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종종 플럭손이라고 불린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공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으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우연히, 결함 등,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처음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인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2. 1. 런던 방정식과 플럭손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아브리코소브 소용돌이는 플럭손이라고도 불린다.[5][6]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런던 침투 깊이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하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5][6]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공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으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으며,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하며,[5][6]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한다.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2. 2. 온사거의 양자 와동

이 해는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5][6]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3][4]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즉,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코어는 크기가 \sim\xi이며, 이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종종 플럭손이라고 불린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

[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공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으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우연히, 결함 등,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처음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인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2. 3. 긴즈버그-란다우 이론

긴즈버그-란다우 이론에서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xi와 런던 침투 깊이 \lambda의 관계를 통해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를 설명할 수 있다. 초전류는 소용돌이의 노멀(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3][4][5][6]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 (또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 ''κ'' = ''λ/ξ'' 를 사용하여, \kappa>1/\sqrt{2}) 조건을 만족한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종종 플럭손이라고 불린다.[5][6]

단일 소용돌이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결함 등에 의해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처음에 제2종 초전도체가 소용돌이를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소용돌이는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소용돌이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 자기장과 거의 같다.

3. 아브리코소프 와동의 구조

이 해는 프리츠 런던(Fritz London)[5][6]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Lars Onsager)[3][4]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즉,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코어는 크기가 \sim\xi이며, 이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종종 플럭손이라고 불린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공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으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우연히, 결함 등,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처음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인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3. 1. 와동 코어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코어의 크기는 \sim\xi이며, 이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3][4]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5][6]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7]

3. 2. 자기장 분포

프리츠 런던[5][6]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3][4]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하여 자기장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 크기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런던 침투 깊이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5][6]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는,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이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결함 등에 갇힐 수 있다.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고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하며,[5][6]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한다.

4. 아브리코소프 와동 격자

프리츠 런던(Fritz London)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Lars Onsager)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 아브리코소브 소용돌이 해이다.[5][6][3][4]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런던 침투 깊이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플럭손이라고도 불린다.[5][6]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 가능하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이며,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이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결함 등에 의해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초기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하며,[5][6]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한다.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4. 1. 격자 구조

프리츠 런던(Fritz London)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Lars Onsager)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 아브리코소브 소용돌이 해이다.[5][6][3][4]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런던 침투 깊이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플럭손이라고도 불린다.[5][6]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 가능하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이며,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이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결함 등에 의해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초기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하며,[5][6]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한다.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4. 2. 격자 결함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5][6][3][4]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5. 임계 자기장

이 해는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5][6][3][4]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노멀(즉,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한다. 코어는 크기가 \sim\xi이며, 이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따라서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종종 플럭손이라고 불린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위 공식에 따르면,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실제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로 알려져 있으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우연히, 결함 등, 제2종 초전도체에 갇힐 수 있다. 처음에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플럭스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인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다른 격자와 마찬가지로, 전위와 같은 결함이 형성될 수 있다.

5. 1. 하계 임계 자기장 (H_{c1})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5][6]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플럭스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초전류가 와동의 노멀(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sim\xi(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lambda (런던 침투 깊이)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하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

[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한다.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이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과 거의 같다.

5. 2. 상계 임계 자기장 (H_{c2})

프리츠 런던의 플럭손 해와 라르스 온사거의 양자 와동의 코어 개념을 결합하여 아브리코소브 소용돌이를 설명할 수 있다.[3][4][5][6] 양자 와동에서 초전류는 와동의 초전도성이 아닌 코어를 중심으로 순환하며, 코어의 크기는 초전도 응집 길이(긴즈버그-란다우 이론의 매개변수) \sim\xi이다. 초전류는 코어로부터 런던 침투 깊이 \lambda 정도의 거리에서 감소한다.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lambda>\xi/\sqrt{2}이다. 순환하는 초전류는 총 플럭스가 단일 플럭스 양자 \Phi_0와 같은 자기장을 유도한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r \to 0일 때 자기장 B(r)\propto\ln(\lambda/r), 즉 로그적으로 발산하지만, 실제 r\lesssim\xi일 때 자기장은 다음과 같다.

:

B(0)\approx \frac{\Phi_0}{2\pi\lambda^2}\ln\kappa,



여기서 ''κ'' = ''λ/ξ''는 긴즈버그-란다우 매개변수이며, 제2종 초전도체에서는 \kappa>1/\sqrt{2}여야 한다.

제2종 초전도체가 와동을 포함하지 않고,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 각 와동은 런던의 자기 선속 양자화를 따르고,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운반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하며, 평균 와동 밀도(플럭스 밀도)는 외부 자기장과 거의 같다.

6. 한국의 초전도체 연구와 응용

한국은 초전도체 연구 및 응용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5][6] 제어 기술은 핵심적인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3][4] 제2종 초전도체에서 \lambda>\xi/\sqrt{2}일때, 자기장이 하계 임계 자장 H_{c1}보다 크지만 상계 임계 자장 H_{c2}보다 작은 자기장 H을 가하면, 자기장이 아브리코소프 와동 형태로 초전도체에 침투한다.[5][6]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플럭손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하나의 자기 선속 양자 \Phi_0를 가진다. 아브리코소프 와동은 일반적으로 삼각형 격자를 형성한다.[5][6]

이러한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의 특성은 고온 초전도체, 핵융합, 자기 부상 열차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고온 초전도체에서 아브리코소프 소용돌이의 움직임은 초전도 현상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고온 초전도체의 성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단일 와동의 자기장 분포는 코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런던의 플럭소이드와 동일한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5][6]

:B(r) = \frac{\Phi_0}{2\pi\lambda^2}K_0\left(\frac{r}{\lambda}\right)

\approx \sqrt{\frac{\lambda}{r}} \exp\left(-\frac{r}{\lambda}\right),[7]

여기서 K_0(z)는 0차 베셀 함수이다.

참조

[1] 논문 Analysis of low-field isotropic vortex glass containing vortex groups in YBa2Cu3O7−x thin films visualized by scanning SQUID microscopy
[2] 논문 The magnetic properties of superconducting alloys
[3] 논문 Statistical hydrodynamics http://link.springer[...] 1949-03-01
[4] 간행물 Chapter II Application of Quantum Mechanics to Liquid Helium https://linkinghub.e[...] Elsevier 1955
[5] 논문 On the Problem of the Molecular Theory of Superconductivity 1948-09-01
[6] 서적 Superfluids Dover 1961
[7] 서적 Superconductivity of Metals and Alloys Addison 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