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세나는 튀르크 신화에 등장하는 늑대 암컷의 이름이다. 튀르크 민족의 기원 설화와 연관되며, 1930년대 터키 민족주의 부흥과 함께 숭배 대상이 되었다. 터키 공군의 급유기 편대, 정치인 메랄 악셰네르의 별칭으로 사용되는 등 정치, 군사, 문화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늑대 - 카피톨리나 늑대상
카피톨리나 늑대상은 늑대가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를 젖 먹이는 모습을 묘사한 청동 조각상으로, 로마의 상징이며, 11~12세기에 제작되었고, 무솔리니에 의해 복제되어 여러 곳에서 사용되었다. - 신화의 늑대 - 늑대인간
늑대인간은 인간이 늑대로 변하거나 늑대 형상의 인간으로 변신하는 전설 속 존재로, 영어로는 "Werewolf", 고대 그리스어로는 "리칸트로피"라 불리며, 중세 유럽에서 마녀 재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공포 영화나 판타지 소설 등에서 공포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 돌궐 - 동돌궐
동돌궐은 583년 돌궐 제국에서 분열되어 건국된 튀르크 민족 국가로, 수나라와 당나라의 압박, 내부 분열로 멸망과 부흥을 반복하다가 745년 위구르 카간국에 의해 최종 멸망했으며, 돌궐 비문과 같은 문화를 남겼다. - 돌궐 - 서돌궐
서돌궐은 6세기 중반 중앙아시아에서 발흥한 투르크계 유목민족 국가로, 7세기 초 전성기를 누렸으나 당나라의 압력과 내분으로 멸망 후 분열되었다가 8세기 중반 독립을 쟁취하였다. - 기원신화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기원신화 - 로물루스와 레무스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로마 건국 신화 속 쌍둥이 형제로, 늑대의 젖을 먹고 자라 아물리우스를 죽이고 로마 건설 위치 다툼 중 로물루스가 레무스를 살해한 후 로마의 초대 왕이 되었으며, 이 신화는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 이야기로서 예술, 문학,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세나 | |
---|---|
신화 속 아세나 | |
성별 | 여성 |
종족 | 늑대 |
관련 문화 | 튀르크 |
역할 | 고대 튀르크족의 토템 |
주요 등장 문화권 | 돌궐 신화 |
상세 정보 | |
설명 | 돌궐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암늑대. |
기원 | 돌궐족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 속 존재로, 폐허가 된 부족의 마지막 생존자를 구출하여 튀르크족의 시조가 된 열 명의 아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
다른 이름 | 아시나 부족의 이름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
일본어 표기 | 아세나 (アセナ) |
영어 표기 | Asena |
2. 튀르크 신화 속 아세나
1930년대 터키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보즈쿠르트, 아세나, 에르게네콘과 같은 튀르크 신화 인물에 대한 숭배가 부활했다.
1930년대 터키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보즈쿠르트, 아세나, 에르게네콘과 같은 튀르크 신화 인물에 대한 숭배가 부활했다. 현대 터키 사회에서 아세나는 정치, 문화,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터키 공군의 보잉 KC-135 스트라토탱커 급유기 편대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터키 민족주의 정당 İYİ 파르티의 대표 메랄 악셰네르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3. 현대 터키에서의 아세나
3. 1. 터키 민족주의와 아세나
1930년대 터키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보즈쿠르트(회색 늑대), 아세나, 에르게네콘과 같은 튀르크 신화 인물에 대한 숭배가 부활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튀르크 민족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터키 공군의 보잉 KC-135 스트라토탱커 급유기 편대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터키 민족주의 정당 İYİ 파르티의 대표 메랄 악셰네르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3. 2. 정치, 문화, 군사 분야에서의 활용
터키 공군의 보잉 KC-135 스트라토탱커 급유기 편대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IYI 파르티의 대표 메랄 악셰네르는 아세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7]
4. 한국과 아세나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이전 결과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참조
[1]
간행물
Türk devletinin tekâmülü 12: Hakanlık Teşkilatı
https://books.google[...]
Küçük Mecmua -II-
[2]
논문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https://www.research[...]
2018-08
[3]
서적
Xin yi Yi Zhou shu
三民書局
2015
[4]
서적
The Turks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서적
Turks, A Journey of a Thousand Years
Royal Academy of Arts, London
2005
[6]
웹사이트
Börü: The Wolf in Turkic Mythology
https://ulukayin.org[...]
2023-07-21
[7]
뉴스
A challenge to Turkey's Erdogan
https://www.economis[...]
2017-11-16
[8]
문서
『주서』 권50, 「열전」41, 돌궐, “狼匿其中,遂生十男。十男長大,外託妻孕,其後各有一姓,阿史那卽一也。”
[9]
문서
『북사』 권99, 「열전」87, 돌궐, “狼匿其中,遂生十男。十男長,外托妻孕,其後各為一姓,阿史那即其一也,”
[10]
문서
『수서』 권84, 「열전」49, 돌궐, “其後狼生十男,其一姓阿史那氏。”
[11]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2
[12]
간행물
Türk devletinin tekâmülü 12: Hakanlık Teşkilatı
http://books.google.[...]
Küçük Mecmua -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