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전도는 눈의 전위차 변화를 측정하는 안과 진단 방법이다. 눈은 쌍극자 역할을 하며, 시선 방향에 따라 각막의 위치 변화로 전위차가 발생한다. 안내전위도(EOG)는 색소 상피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암순응과 광순응에 따른 전위 변화를 측정하여 아덴 비율을 계산한다. 환자는 두 지점을 번갈아 주시하며, 기록된 전위 변화를 통해 망막색소상피 기능 이상 및 안과 질환을 진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생리학 - 바이오피드백
바이오피드백은 정밀 기기로 생리적 활동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 사고, 감정, 행동 변화를 유도하여 생리적 변화를 지원하며, 치료 및 성적 향상에 활용되는 과정이다. - 전기생리학 - 근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신경의 기능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로, 신경근 질환 진단, 운동 연구, 보툴리눔 독소 주입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터페이스 제어 기술로도 연구된다. - 안과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안과 - 백내장
백내장은 노화, 외상, 방사선, 특정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 저하, 흐릿한 시야, 눈부심, 왜곡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시력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현재 유일한 치료법은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다.
안전도 | |
---|---|
개요 | |
명칭 | 안전도 (Electrooculography, EOG) |
설명 | 눈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기술 |
관련 항목 | 뇌파, 안구 운동 |
의학적 정보 | |
ICD-9-CM | 95.22 |
MeSH ID | D004585 |
역사 | |
개발자 | 엘윈 마그 |
개발 연도 | 1951년 |
2. 원리
눈은 전방이 양극이고 후방이 음극인 쌍극자 역할을 한다.
2. 1. 좌우 주시
눈은 앞쪽이 양극(+), 뒤쪽이 음극(-)인 쌍극자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눈의 좌우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왼쪽 주시: 눈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각막(눈의 앞쪽, 양극)이 왼쪽 눈 바깥쪽 눈구석 근처에 놓인 전극에 가까워진다. 이때 전극에서는 음(-)의 전위차 변화가 기록된다.
- 오른쪽 주시: 눈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각막이 왼쪽 눈 안쪽 눈구석 근처에 놓인 전극에 가까워진다. 이때 전극에서는 양(+)의 전위차 변화가 기록된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눈의 움직임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여 안구의 위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3. 안과 진단
안전도 검사(Electrooculography영어, EOG)는 눈의 색소 상피 기능을 평가하는 진단 방법이다. 이 검사는 눈의 안정 전위 변화를 측정하여 색소 상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1. 암순응과 광순응
EOG(안전도 검사)는 눈의 색소 상피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1] 암순응 상태, 즉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는 동안에는 안정 전위가 약간 감소하여 몇 분 후에 가장 낮은 값인 '암구'(dark trough)에 도달한다.[1] 반대로 밝은 빛을 켜면 안정 전위가 상당히 증가하여 '광피크'(light peak)를 형성하고, 망막이 빛에 적응하면서 몇 분 후에 다시 떨어진다.[1] 이때 광피크 전압을 암구 전압으로 나눈 비율을 아덴 비율(Arden ratio)이라고 하며, 이는 색소 상피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1]실제 측정 과정은 안구 운동 기록과 유사하다.[1] 환자는 정면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두 지점 사이를 반복적으로 번갈아 보도록 요청받는다.[1] 눈이 움직이는 위치는 일정하기 때문에, 기록되는 전위의 변화는 안정 전위 자체의 변화를 반영하게 된다.[1]
3. 2. 측정 방법
EOG는 색소 상피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측정을 위해 환자는 두 지점 사이에서 눈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전환하도록 요청받는다. 예를 들어, 중앙에서 왼쪽으로, 다시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번갈아 보는 방식이다. 이처럼 눈의 위치 변화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기록되는 전위의 변화는 안정 전위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암순응 동안에는 안정 전위가 약간 감소하여 몇 분 후 최솟값인 ''암구''(dark trough영어)에 도달한다. 반대로 빛을 켜면 안정 전위가 상당히 증가하여 ''광피크''(light peak영어)를 형성하고, 망막이 빛에 적응하면서 몇 분 후 다시 떨어진다. 이때 ''광피크''의 전압을 ''암구''의 전압으로 나눈 값을 ''아덴 비율''(Arden ratio영어)이라고 한다.
참조
[1]
논문
Development of electro-oculography; standing potential of the eye in registration of eye movement
[2]
저널
Modified ocular artifact removal technique from EEG by adaptive filtering
https://ieeexplore.i[...]
20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