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더 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웬트는 국제 관계 이론, 특히 구성주의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정치학자이다. 1958년 독일에서 태어나, 맥칼레스터 칼리지에서 정치학 및 철학을 전공하고,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예일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에서 가르쳤으며, 현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랄프 D. 머숀 국제 안보학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신현실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담은 『국제정치의 사회 이론』(1999)과 양자 물리학과 사회 과학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양자 마음과 사회 과학』(2015) 등이 있으며, 학술지 International Theory의 공동 편집인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 - 피에르 아고스티니
    피에르 아고스티니는 아토초 과학 분야의 선구적인 프랑스 실험 물리학자로, 다광자 이온화 연구를 통해 임계이상 이온화를 최초로 관측하고 250아토초 펄스 열을 생성하는 데 성공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 - 존 글렌
    존 글렌은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정치인으로, 1962년 최초로 지구 궤도 비행을 한 미국인이며, 해병대 조종사, 시험 조종사, NASA 우주비행사로서 활약했고, 이후 오하이오주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77세에 두 번째 우주 비행을 한 인물이다.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로버트 길핀
    로버트 길핀은 고전적 현실주의에 기반하여 국제 관계와 국제 정치 경제를 연구하고 국가 안보 이익을 강조한 미국의 정치학자로, 그의 연구는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저서로는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 등이 있다.
  • 서독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피터 틸
    독일 태생 미국 기업가 피터 틸은 페이팔 공동 창업자이자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회장, 페이스북 초기 투자자로서, 다양한 벤처 투자 및 헤지펀드 설립, 보수 자유지상주의 정치 활동, 틸 재단을 통한 자선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서독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한스헤르만 호페
    한스-헤르만 호페는 독일 출신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와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비판과 사유 재산 중심의 이념 제시, 극단적인 이민 제한 주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알렉산더 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산더 벤트
알렉산더 벤트
인물 정보
이름알렉산더 벤트
출생일1958년 6월 12일
출생지서독 마인츠
국적미국
학력
출신 대학미네소타 대학교, 맥컬레스터 칼리지
박사 지도교수레이먼드 듀발
주요 지도 학생에리크 링마르
경력
직장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
예일 대학교
연구 분야국제 관계
사상
주요 관심사구성주의 (국제 관계)
주요 저서무정부란 국가가 만드는 것이다
기타
웹사이트알렉산더 벤트 웹사이트

2. 생애

알렉산더 웬트는 1958년 서독 마인츠에서 태어나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맥칼레스터 칼리지에서 정치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1989년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레이먼드 "버드" 듀발 밑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예일 대학교,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다트머스 대학교,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랄프 D. 머숀 국제 안보학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다.[1]

3. 학문적 기여

알렉산더 웬트는 구성주의 이론을 국제정치학에 도입하여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론은 기존의 신현실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공하며, 국제 관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1]

웬트의 주요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 구성주의 이론 정립: 웬트는 국가 간의 관계가 물질적인 힘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상호 주관적인 인식과 믿음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 무정부 상태의 사회적 구성: 웬트는 국제 체제의 무정부 상태가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 국가들이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보았다. 그는 무정부 상태를 홉스적(적대), 로크적(경쟁), 칸트적(우호)의 세 가지 문화로 유형화했다.[1]
  • 행위자와 구조의 상호 구성: 웬트는 국가(행위자)와 국제 체제(구조)가 서로를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상호 구성적인 관계에 있다고 주장했다.
  • 국가 정체성과 이익의 가변성: 웬트는 국가의 정체성과 이익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3. 1. 국제정치의 사회 이론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웬트의 대표적인 저서는 1992년 논문 "무정부 상태는 국가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를 기반으로 한 ''국제정치의 사회 이론(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9)이다. 이 책은 케네스 월츠의 1979년 저서 ''국제정치 이론''에 대한 응답으로, 신현실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웬트는 국가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국제 관계와 외교 정책 사이의 월츠의 구분을 따랐다. 웬트는 월츠와 마찬가지로 개별 국가를 형성하는 실제 과정은 국제 관계와는 별개의 이론을 필요로 하는 국내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구성의 많은 부분은 자유주의자들이 강조했듯이 국내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국가 정체성에 대한 완전한 이론은 국내적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1]

웬트의 저서는 비판적 현실주의의 주장과 구성주의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주장을 제시한다. 로이 바스카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비판적 현실주의는 세계 내에서 관찰할 수 없는 것들과 세계의 구성적 문제들을 설명하고자 한다.[1]

웬트가 제시하는 구성주의는 니콜라스 오누프와 앤서니 기든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행위자와 구조의 상호 구성, 무정부 상태 문화의 역사적 우연성, 국가 행동에서 구성적 규범과 규제적 규범의 역할, 정체성에서 주관적 사회 구조의 역할, 그리고 아이디어의 힘을 주장한다. 웬트에 따르면, 무정부 상태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논리가 없으며 상호작용은 거시적 수준에서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구조화된다."[1] 국제 관계에는 호베스적(적대감이 지배하는), 로크적(경쟁이 지배하는), 칸트적(우호가 지배하는)의 세 가지 경험적 무정부 상태 문화가 존재한다.[1]

  •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9). (제1장 번역: 미카미 타카노리 역 "국제 정치의 네 가지 사회학 - 알렉산더 웬트 저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 제1장" '수도 법학' 25권 1호, 2002년)

3. 2. 양자 마음과 사회 과학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웬트의 2015년 저서 《양자 마음과 사회 과학》(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은 양자 물리학과 사회 과학 사이의 교차점을 상정한다. 그는 비전문가적 관점에서 범심론과 양자 의식을 옹호한다. 이 책은 도발적인 성격을 띠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3]

마티아스 알버트는 《국제 문제》에서 이 책이 양자 물리학을 사회 과학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가장 약하며 행위자-구조 문제를 다루는 데 뒤떨어져 있고, 국제 관계와는 거의 관련이 없다고 설명한다.[4] 책 내의 서평으로는 콜린 와이트의 "나는 그것에 동의하는가? 아니다."와 제롬 부세마이어의 "이러한 아이디어 중 일부는 궁극적으로 지지받지 못할 수도 있다"가 있다.[5]

4. 주요 저작

알렉산더 웬트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단행본'''


  •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소셜 시어리 오브 인터내셔널 폴리틱스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9년)
  •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Unifying Physical and Social Ontology|퀀텀 마인드 앤드 소셜 사이언스 유니파잉 피지컬 앤드 소셜 온톨로지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5년)


'''편저'''

  • New Systems Theories of World Politics|뉴 시스템 시어리즈 오브 월드 폴리틱스영어 (마티아스 알버트, 라르스-에릭 세더만, 알렉산더 웬트 편저, 팔그레이브 맥밀란, 2010년)


'''주요 논문'''

연도제목수록 도서 및 저널비고
1987국제 관계 이론에서의 행위자-구조 문제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41권, 3호
1989제도와 국제 질서E. 쳄피엘과 J. 로젠나우 편집, 글로벌 변화와 이론적 도전, 렉싱턴, 매사추세츠: 렉싱턴 북스레이몬드 듀발 공저
1992무정부는 국가가 만들어가는 것이다: 권력 정치의 사회적 구성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46권, 2호
1992국제 시스템과 종속적 군사화브라이언 잡 편집, 불안 딜레마: 제3세계 국가의 국가 안보, 볼더: 린 리에너, 97–119쪽마이클 바넷 공저
1994집단 정체성 형성 및 국제 국가미국 정치학 리뷰(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제88권, 2호
1995국제 정치 구성하기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 제20권, 1호
1996국가 안보에서의 규범, 정체성, 그리고 문화피터 카젠스타인 편집, 국가 안보의 문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33–75쪽로널드 제퍼슨, 피터 카젠스타인 공저
2000IR은 무엇을 위한가?: 비판 이후의 관점을 향한 노트리처드 윈 존스 편집, 비판 이론과 세계 정치, 볼더: 린 리에너, 205–224쪽
2001백미러를 보며 운전하기: 제도 설계의 합리적 과학에 관하여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55권, 4호
2002합리주의 대 구성주의: 회의적인 시각W. 칼스네스, T. 리세, B. 시몬스 편집, 국제 관계 핸드북, 런던: 세이지제임스 페어론 공저
2003왜 세계 국가는 불가피한가유럽 국제 관계 저널(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제9권, 4호
2004국제 이론에서 개인으로서의 국가국제 연구 리뷰(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제30권, 2호
2006사회 이론은 데카르트 과학으로: 양자론적 관점에서의 자기 비판스테파노 구찌니와 안나 르안데르 편집, 구성주의와 국제 관계, 런던: 루틀리지
2008주권과 UFO정치 이론(Political Theory), 제36권, 4호레이먼드 듀발과 공동 저술
2010플랫랜드: 양자 마음과 국제 홀로그램마티아스 알버트, 라르스-에릭 세더만과 알렉산더 웬트 편집, 세계 정치의 새로운 시스템 이론, 뉴욕: 팔그레이브 맥밀란


4. 1. 단행본


  •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9년
  •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Unifying Physical and Social Ontology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15년
  •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영어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9년). (미카미 타카노리 역, "국제 정치의 네 가지 사회학 - 알렉산더 웬트 저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 제1장", '수도 법학' 25권 1호, 2002년)

4. 2. 편저


  • New Systems Theories of World Politics영어, 마티아스 알버트, 라르스-에릭 세더만, 알렉산더 웬트 편저, 팔그레이브 맥밀란, 2010.

4. 3. 주요 논문

연도제목수록 도서 및 저널비고
1987국제 관계 이론에서의 행위자-구조 문제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41권, 3호
1989제도와 국제 질서E. 쳄피엘(E. Czempiel)과 J. 로젠나우(J. Rosenau) 편집, 글로벌 변화와 이론적 도전, 렉싱턴, 매사추세츠: 렉싱턴 북스레이몬드 듀발 공저
1992무정부는 국가가 만들어가는 것이다: 권력 정치의 사회적 구성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46권, 2호
1992국제 시스템과 종속적 군사화브라이언 잡(Brian Job) 편집, 불안 딜레마: 제3세계 국가의 국가 안보, 볼더: 린 리에너, 97–119쪽마이클 바넷 공저
1994집단 정체성 형성 및 국제 국가미국 정치학 리뷰(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제88권, 2호
1995국제 정치 구성하기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 제20권, 1호
1996국가 안보에서의 규범, 정체성, 그리고 문화피터 카젠스타인 편집, 국가 안보의 문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33–75쪽로널드 제퍼슨, 피터 카젠스타인 공저
2000IR은 무엇을 위한가?: 비판 이후의 관점을 향한 노트리처드 윈 존스(Richard Wyn Jones) 편집, 비판 이론과 세계 정치, 볼더: 린 리에너, 205–224쪽
2001백미러를 보며 운전하기: 제도 설계의 합리적 과학에 관하여국제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제55권, 4호
2002합리주의 대 구성주의: 회의적인 시각W. 칼스네스(W. Carlsnaes), T. 리세(T. Risse), B. 시몬스(B. Simmons) 편집, 국제 관계 핸드북, 런던: 세이지제임스 페어론 공저
2003왜 세계 국가는 불가피한가유럽 국제 관계 저널(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제9권, 4호
2004국제 이론에서 개인으로서의 국가국제 연구 리뷰(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제30권, 2호
2006사회 이론은 데카르트 과학으로: 양자론적 관점에서의 자기 비판스테파노 구찌니(Stefano Guzzini)와 안나 르안데르 편집, 구성주의와 국제 관계, 런던: 루틀리지
2008주권과 UFO정치 이론(Political Theory), 제36권, 4호레이먼드 듀발과 공동 저술
2010플랫랜드: 양자 마음과 국제 홀로그램마티아스 알버트(Mathias Albert), 라르스-에릭 세더만(Lars-Erik Cederman)과 알렉산더 웬트(Alexander Wendt) 편집, 세계 정치의 새로운 시스템 이론, 뉴욕: 팔그레이브 맥밀란


5. 학술지 편집

웬트는 학술지 ''국제 이론(International Theory)''의 공동 편집인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View from the Ivory Tower: TRIP Survey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web.wm.edu/ir[...] College of William and Mary, Williamsburg 2010-12-29
[2] 웹사이트 TRIP AROUND THE WORLD: Teaching, Research, and Policy Vie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20 Countries https://www.wm.edu/o[...]
[3] 저널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unifying physical and social ontology. By Alexander Wendt 2015-07-00
[4] 저널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unifying physical and social ontology. By Alexander Wendt 2015-07-00
[5] 서적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 웹인용 The View from the Ivory Tower: TRIP Survey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web.wm.edu/ir[...] College of William and Mary, Williamsburg 2010-12-29
[7] 웹인용 TRIP AROUND THE WORLD: Teaching, Research, and Policy Vie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20 Countries https://www.wm.edu/o[...]
[8] 저널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unifying physical and social ontology. By Alexander Wendt 2015-07
[9] 서적 Quantum Mind and Social Scien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