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이도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엄이도령(掩耳盜鈴)은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얕은꾀로 남을 속이려 하지만, 결국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알고 있어 아무런 효과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엄이도령은 원래 엄이도종(掩耳盜鐘)이었으나, 나중에 종이 방울로 바뀌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여씨춘추(呂氏春秋)의 불구론(不苟論)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옛날 진(晉)나라의 범씨 가문에는 대대로 내려오는 큰 종이 있었습니다. 가문이 몰락하자, 어떤 도둑이 이 종을 훔치려 했습니다. 하지만 종이 너무 무거워 옮길 수 없자, 도둑은 종을 깨뜨려 조각내 가져가기로 했습니다. 망치로 종을 내리치니 큰 소리가 났고, 도둑은 자신의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귀를 막았습니다. 하지만 종소리는 여전히 울려 퍼졌고, 결국 다른 사람들에게 들켜 도둑은 실패했습니다.
의미:
- 자신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을 나타냅니다.
- 얕은꾀로 남을 속이려 해도 결국 모든 것이 드러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모든 사람이 잘못을 알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자신만 모르거나 인정하지 않는 상황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참고:엄이도령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심리학 용어로는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가 있습니다. 시끄러운 파티장에서도 자신의 이름이나 관심 있는 이야기는 잘 들리는 현상을 말하는데, 엄이도령은 이와 반대로 자신에게 불리한 소리를 듣지 않으려는 심리를 나타냅니다.
엄이도령 | |
---|---|
엄이도령 | |
내용 | 조선 숙종 때, 조정의 부정부패를 풍자한 전우치전의 주인공인 전우치가 변신한 가짜 관리이다. 탐관오리들을 골탕먹이는 역할로 나온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