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주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여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63년 양평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주군·양평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원용한, 김의준, 박주운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주시의 정치 - 여주시·양평군
    경기도 여주시와 양평군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인 여주시·양평군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여주군·양평군·가평군 선거구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며, 20대 총선부터 김선교 (국민의힘)이 당선되었다.
  • 여주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여주시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된 경기도 여주시의회는 가선거구와 나선거구에서 지역구 의원 6명과 비례대표 의원 1명을 선출하여 총 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5석, 자유한국당이 2석을 차지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 경기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양시 덕양구 갑
    고양시 덕양구 갑은 제16대 총선을 위해 고양시 덕양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덕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다가 일산동구 식사동 편입 후 고양시 갑 선거구로 재편되어 폐지되었으며, 곽치영, 유시민, 손범규, 심상정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여주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여주군
의회국회
큰 지도경기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여주군·양평군
의원 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주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평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여주군·양평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당선인정당득표수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원용한대동청년단21,96766.65
제2대 국회의원 선거김의준무소속15,97849.05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김의준무소속15,97047.15
제4대 국회의원 선거김의준자유당27,68664.47
제5대 국회의원 선거박주운민주당20,96954.66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기도 여주군에서 실시된 선거에서는 대동청년단 소속 원용한 후보가 66.6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원용한 후보는 21,967표를 획득하였으며, 무소속 조용택 후보는 10,991표(33.34%)를 얻었다. 대한독립청년단 구종일 후보는 표를 얻지 못했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의준 후보가 49.0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의준무소속15,97849.05
오덕섭무소속4,17612.82
원용한일민구락부4,09412.56
원도희무소속4,08612.54
이종택무소속1,7935.50
강신상대한여자국민당1,3624.18
임용상무소속1,0833.32
합계32,572100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의준 후보가 47.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의준무소속15,97047.15
이봉구자유당14,41542.56
신철회무소속3,48310.28
신용진무소속00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의준 후보가 64.4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의준자유당27,68664.47%
오덕섭민주당12,31428.67%
신철회무소속2,9446.85%
합계42,944100%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주운 후보가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주운민주당20,96954.66%
이봉구무소속9,93425.89%
김창한무소속4,98212.98%
신충현무소속2,4756.45%
김의준무소속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