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숫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숫자는 문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표현하는 문자 집합을 의미한다. 6비트를 사용하여 영숫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8비트 ASCII 문자보다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영숫자를 6비트로 나타내는 표준 규격은 없으며,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을 경우 36자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사람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I, O, Q와 같은 문자를 1, 0과 혼동될 수 있어 부분 집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항공기 좌석 배치도, 차량 식별 번호, 전기 커넥터 등에서 이러한 부분 집합이 사용되며, 특히 DEC 알파벳이 대표적이다.
영숫자는 6비트로 한 문자를 나타낼 수 있어, 8비트 ASCII 문자로 저장하는 것보다 용량이 작다. 그러나 6비트 표현 표준 규격은 없으며, 대소문자 구분 없이 영숫자 36자와 기호를 포함하면 웹사이트 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사람이 영숫자 문자열을 읽을 때, 특히 '''I''', '''O''', '''Q'''가 숫자 '''1''', '''0'''과 매우 흡사하여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3] 이러한 이유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영숫자 문자열의 다양한 부분 집합이 사용된다.
2. 정보 처리
2. 1. 데이터 표현
영숫자만으로 한 문자를 6비트로 나타낼 수 있어, 일반적인 8비트 ASCII 문자로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작아진다. 영숫자 가나의 경우 8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영숫자를 6비트로 표현하는 표준 규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면 영숫자는 36자이며, 6비트라도 28자 분의 여유가 있다. 거기에 각종 기호를 넣으면 웹사이트 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2. 2. 표준 규격 부재
영숫자만으로 6비트로 한 문자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8비트의 ASCII 문자로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작아진다. 영숫자 가나의 경우 8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영숫자를 6비트로 나타내는 표준 규격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문자/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면 영숫자는 36자이며, 6비트라도 28자 분의 여유가 있다. 거기에 각종 기호를 넣으면 웹사이트 주소를 표현할 수 있다.
3.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영숫자 부분 집합
3. 1. 혼동 방지
사람이 영문자와 숫자가 섞인 문자열을 읽을 때, 몇몇 글자들은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I''', '''O''', '''Q'''는 숫자 '''1''', '''0'''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다.[3] 이러한 혼동을 막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영숫자 문자열의 부분 집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객기 좌석은 행 번호와 열 문자로 표시된다. 넓은 여객기는 한 행에 최대 10개의 좌석을 배치할 수 있으며, '''ABC-DEFG-HJK'''와 같이 문자를 할당한다. 이때 숫자 '''1'''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문자 '''I'''는 생략된다. 자동차 식별 번호에서도 '''I''', '''O''', '''Q'''가 숫자 '''1''' 또는 '''0'''과 비슷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V.35/M34 전기 커넥터 핀에는 작은 양각 문자가 사용된다. 이 문자들 중 '''I''', '''O''', '''Q''', '''S''', '''Z'''는 각각 '''1''', '''0''', '''5''', '''3''', '''2'''와의 혼동을 막고 눈의 피로를 덜기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 이 부분 집합은 처음 사용한 회사인 DEC의 이름을 따서 DEC 알파벳이라고 불린다.
손으로 쓴 영숫자의 경우, '''I'''와 '''O''' 뿐만 아니라 '''V'''는 '''U'''와, '''Z'''는 '''2'''와 비슷하게 보여 사용되지 않기도 한다.
3. 2. 부분 집합 사용 사례
영숫자로 된 문자열을 사람이 읽을 때, 혼동이 생길 수 있다. 특히 '''I'''와 '''O'''는 '''1'''과 '''0'''과 매우 비슷하다. 그래서 쓰임새에 따라 영숫자의 부분 집합을 사용하여 혼동을 없애는 경우가 있다.[3]
4. 기타 용법
애니메이션 《리부트》에서 "alphanumeric"은 엔조의 감탄사로, "cool!" 또는 "awesome!"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1] "Talent Night" 에피소드에서는 "everything is all right" (문제없음)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1]
참조
[1]
백과사전
Alphanumeric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20-05-09
[2]
웹사이트
man ASCII(7),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http://unixhelp.ed.a[...]
University of Edinburgh
2013-05-07
[3]
학술지
Avoiding Confusion With Alphanumeric Characters
2012-12
[4]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5]
웹인용
man ASCII(7),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https://web.archive.[...]
201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