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레와레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카레와레와는 뉴질랜드 로토루아에 위치한 지열 지대로, 500여 개의 풀과 65개 이상의 분출구를 포함하며, 특히 포후투 간헐천이 유명하다. 이 지역은 마오리족의 전통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으며, 테 파키라 마라에와 와히아오 회의소와 같은 마오리 문화 유적지가 있다. 와카레와레와는 관광 명소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주요 간헐천과 온천, 마오리 예술과 공예, 지속 가능한 관광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2023년 기준 추정 인구는 명이며, 2018년 인구 조사에서 771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와카레와레와 초등학교가 있으며, 유럽인/파케하, 마오리족, 아시아계 뉴질랜드인 등 다양한 민족 구성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토루아의 관광지 - 로토루아 호수
로토루아 호수는 뉴질랜드 북섬 타우포 화산 지대의 로토루아 칼데라에 있는 호수로, 지열 활동으로 인한 유황 함량과 황록색, 모코이아 섬, 마오리족 전설, 송어 낚시, 다양한 레저 활동으로 유명하다. - 로토루아의 관광지 - 모코이아섬
모코이아섬은 마오리족 전설 속 히네모아와 투타네카이의 사랑 이야기와 관련 깊은 섬으로, 특히 두 사람의 사랑을 노래한 "포카레카레 아나" 민요로 유명하다. - 뉴질랜드의 온천 - 핫 워터 비치
뉴질랜드 코로만델 반도에 있는 핫 워터 비치는 썰물 때 모래를 파서 64도의 온천수를 즐길 수 있는 해변으로, 방문객들은 간조 전후에 직접 온천 풀을 만들어 휴식을 취할 수 있지만 이안류의 위험으로 안전 구역 내에서 수영해야 한다. - 뉴질랜드의 온천 - 오라케이 코라코
오라케이 코라코는 뉴질랜드 와이카토 계곡의 지열 지대로, 마오리족 역사와 다양한 온천, 간헐천 활동을 볼 수 있는 관광 명소이며, 한때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테라스였던 옥빛 에메랄드 테라스와 뉴질랜드 최대 간헐천 지대, 그리고 루아타푸 동굴을 포함한다. - 뉴질랜드의 간헐천 - 와이망구 화산계곡
- 뉴질랜드의 간헐천 - 포후투 간헐천
제공된 텍스트가 없어 포후투 간헐천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와카레와레와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로토루아 |
워드 | Te Ipu Wai Auraki General Ward |
의회 | 로토루아 레이크스 카운슬 |
면적 | 328 헥타르 |
인구 | 명 (2023년) |
지리 | |
인접 지역 | 북쪽: Glenholme 북동쪽: Ngāpuna 서북쪽: Springfield |
2. 역사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풀이 있고, 그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그리고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이다.[10]
로투루아 거주민들은 와카레와레와의 지열천을 이용하여 온천수를 추출해왔다. 1987년 포후투 간헐천 근처 우물 폐쇄 프로그램이 시작된 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2. 1. 마오리 정착과 전통
이 지역에는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가 만나는 장소인 테 파키라 마라에와 와히아오 회의소가 있다.2. 2. 20세기: 지열 개발과 위협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풀이 있고, 그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그리고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와카레와레와에 있는 많은 지열천들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시 아래의 지열 온천수를 추출하기 위해 20m~200m 깊이의 낮은 우물을 끌어올려 주민들이 사용하거나 상업적 보온열로 사용해 왔다. 1987년부터 시작된 구멍폐쇄 프로그램으로 포후투 간헐천 1.5km 이내의 106개의 우물들이 시멘트로 폐쇄되었다. 그 외부의 120개 우물들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그 후에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를 선언해 왔다.
2. 3. 보존 노력과 회복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풀이 있고, 그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이곳에는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와카레와레와의 많은 지열천들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시 아래의 지열 온천수를 추출하기 위해 20m~200m 깊이의 낮은 우물을 파서 주민들이 사용하거나 상업적 보온열로 사용해 왔다. 1987년에 시작된 구멍 폐쇄 프로그램으로 포후투 간헐천 1.5km 이내의 106개 우물이 시멘트로 폐쇄되었고, 그 외부의 120개 우물들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그 후에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를 선언해 왔다.
3. 지형 및 지질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온천이 있으며,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
와카레와레와에 있는 많은 지열천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온천수를 얻기 위해 도시 아래 20m에서 200m 깊이의 얕은 우물을 파서 사용하거나 상업적 난방열로 이용했다. 1987년 시작된 구멍 폐쇄 프로그램으로 포후투 간헐천 1.5km 이내의 우물 106개가 시멘트로 폐쇄되었고, 그 바깥쪽 120개 우물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이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가 선언되었다.
1972년까지 테 호루 간헐천은 매일 10~15번, 2m에서 7m 높이로 분출했지만, 이후 분출은 물론 끓어오름조차 멈췄다. 1998년 테 호루의 분출구에 물이 다시 넘치기 시작했다. 테 호루와 포후투 사이에는 매우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데, 포후투에서 분출된 공랭식 물이 대부분 테 호루의 분출구로 떨어진다. 이는 포후투가 남풍이 불 때 더 활동적이라는 일반적인 믿음을 설명해준다. 대부분의 분출된 물이 북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북풍이 불 때는 많은 물이 다시 돌아와 시스템을 냉각시키고 다음 분출을 늦추기 때문이다.
마항가 간헐천(Mahanga Geyser)은 권투 글러브(Boxing Glove)라고도 불리며, 1961년까지 분출한 기록이 없는 오래된 간헐천이다. 3m에서 4.5m 높이의 분출은 근처 와이코로히히와 매우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와이로아 간헐천(Wairoa Geyser)은 60m 높이로 분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1940년 12월 마지막으로 자연 분출한 후 수위가 넘침 수위보다 4.5m 낮아졌고 물은 산성이 되었다. 그러나 1996년 초 수위가 넘침 수위보다 3.2m 낮아졌고, 지속적으로 강하게 끓어오르며 현재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간헐천 평지 너머, 포후투에서 남쪽으로 260m 떨어진 곳에는 눈에 띄는 응회암 언덕 꼭대기를 이루는 와이키테 간헐천(Waikite Geyser)이 있다. 이곳은 1967년 3월 마지막으로 분출했으며, 이후 분출구는 건조하고 약하게 김이 나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1996년 6월, 이전에 8.5m 깊이였던 건조한 분출구가 갑자기 끓는 물로 채워졌고, 수위는 넘침 수위 2.3m 이내까지 상승했다. 과거 와이키테는 장기간 많은 비가 내린 후에 분출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분출구 수위가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와이키테가 언젠가 다시 분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한편, 와이키테 바로 너머에 있는 파레이아 간헐천(Pareia Geyser)은 최근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파파쿠라 간헐천(Papakura Geyser)은 와카레와레와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휴면 간헐천으로, 1981년 로토루아 모니터링 프로그램 시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3. 1. 간헐천 평원 (Geyser Flat)
현재 와카레와레와에서 활동하는 대부분의 간헐천은 간헐천 평원(Geyser Flat)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열구와 같은 동선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매우 복잡한 체계이며, 한 간헐천의 활동이 다른 간헐천에 영향을 미친다.
푸아렝가 시내에서 약 2m 위에 있는 케레루 간헐천은 거무스름한 탕화의 작은 호안 머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몇 시간 또는 몇 주를 주기로 부채살 모양에 15m 높이로 분출하고 있다. 1972년~1988년 사이에는 큰 분출이 없었으며, 1987년에 시행된 갑작스런 우물 폐쇄의 감소와 직결되어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케레루 간헐천은 아마도 열구의 다른 온천과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인다.
프린스 오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 포후투 간헐천, 테 호루 간헐천(Te Horu Geyser, 콜드론),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푸아렝가 시내 위 6m 지점에 있는 응회암 고원에 위치해 있다.
포후투 간헐천과 가장 가까운 이웃인 프린스 오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은 항상 포후투 간헐천에 앞서 처음에는 약한 분출을 내뿜으며, 점점 더 세져서 9m 높이의 기둥이 될 때까지 극적인 각도로 내뿜는다. 그때 포후투 간헐천이 보통 분출하기 시작한다. 때때로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불연속적인 5m 높이의 기둥을 뿜어내고, 그 다음에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이 시작되며, 그 이후 포후투 간헐천이 잇따른다.
3. 2. 푸아렝가 강 (Puarenga Stream)

현재 와카레와레와에서 활동하는 대부분의 간헐천은 가이저 플랫(Geyser Flat)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열구와 같은 동선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매우 복잡한 체계이며, 서로 영향을 미치는 활동 중 하나이다.
푸아렝가 시내에서 약 2m 위에 있는 케레루 가이저는 거무스름한 탕화의 작은 호안 머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몇 시간 또는 몇 주를 주기로 부채살 모양의 15m 높이로 분출하고 있다. 1972년부터 1988년 사이에는 큰 분출이 없었으며, 그 복구는 1987년에 시행된 갑작스런 우물 폐쇄의 감소와 직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다. 케레루 간헐천은 아마도 열구의 다른 온천과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인다.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 포후투 간헐천, 테 호루 간헐천(콜드론),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푸아렝가 스트림의 6m 위 탕천 고원에 존재하고 있다.
포후투 간헐천의 가장 가까운 이웃인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은 항상 포후투 간헐천에 앞서 처음에는 약한 분출을 내뿜으며, 점점 더 세져서 9m 높이의 기둥이 될 때까지 극적인 각도로 내뿜는다. 그 때 포후투가 보통 내뿜기 시작한다. 때때로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불연속적인 5m 높이의 기둥을 뿜어내고, 그 다음에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가 시작되며, 그 이후 포후투가 잇따른다.
4. 주요 간헐천 및 온천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온천이 있으며, 대부분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65개 이상의 분출구가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7개의 간헐천이 활동 중이다. 가장 유명한 간헐천은 포후투 간헐천으로, '큰 분출' 또는 '폭발'을 의미하며 매시간 최대 30m까지 솟아오른다.[10]
와카레와레와의 지열 지대는 로토루아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주민들은 온천수를 얻기 위해 20~200m 깊이의 얕은 우물을 파서 가정 난방 및 상업적 용도로 사용했다. 1987년, 포후투 간헐천 반경 1.5km 이내의 106개 우물이 폐쇄되었고, 그 외 지역의 120개 우물은 사용료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었다. 이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은 회복세를 보였다.
마항가 간헐천(Mahanga Geyser)은 '권투 글러브'(Boxing Glove)라고도 불리며, 1961년까지 분출 기록이 없다가 이후 3m에서 4.5m 높이로 분출한다. 이 간헐천은 와이코로히히 간헐천과는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와이로아 간헐천(Wairoa Geyser)은 60m 높이까지 분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40년 12월 마지막 분출 이후 수위가 낮아지고 산성화되었다. 1996년 초, 수위가 다시 높아져 현재까지 끓어오르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와이키테 간헐천(Waikite Geyser)은 1967년 3월 마지막 분출 이후 말라 있었으나, 1996년 6월 갑자기 끓는 물이 차올랐다. 과거 와이키테 간헐천은 강우량이 많을 때 분출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간헐천의 수위가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와이키테 간헐천 바로 너머에 있는 파레이아 간헐천(Pareia Geyser)은 최근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파파쿠라 간헐천(Papakura Geyser)은 110년 동안 세 번 잠시 멈췄다가 2015년 9월에 마지막으로 분출했다. 파파쿠라 간헐천의 분출 중단은 1981년 로토루아 모니터링 프로그램 시작의 계기가 되었다.
4. 1. 포후투 간헐천 (Pōhutu Geyser)
포후투 간헐천과 가장 가까운 이웃인 프린스 오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은 항상 포후투 간헐천에 앞서 분출한다. 처음에는 약하게 분출하지만, 점점 더 강해져서 9m 높이의 기둥을 극적인 각도로 뿜어낸다. 그 때 포후투 간헐천이 분출하기 시작한다. 때때로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불연속적인 5m 높이의 기둥을 뿜어내고, 그 다음에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이 분출하며, 이어서 포후투 간헐천이 분출한다.
1972년까지 테 호루 간헐천은 매일 10~15번이나 2m에서 7m 높이로 분출했지만, 그 이후로는 분출은 물론 끓어오르는 현상조차 멈췄다.[1] 테 호루 간헐천의 통풍구에 있는 물은 1998년에 다시 넘치기 시작했다.[1] 테 호루 간헐천과 포후투 간헐천 사이에는 매우 직접적인 연결이 존재하며, 포후투 간헐천에서 분출된 공기 냉각된 물이 대부분 테 호루 간헐천의 통풍구로 떨어진다.[1] 이는 포후투 간헐천이 남풍이 불 때 더 활동적이라는 대중적인 믿음을 설명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분출된 물이 북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이다. 반대로 북풍이 불 때는 많은 물이 다시 돌아와 시스템을 식히고 다음 분출을 늦추기 때문이다.[1]
4. 2.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 (Prince of Wales Feathers Geyser)
포후투 간헐천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은 항상 포후투 간헐천보다 먼저 분출하며, 처음에는 약하게 시작하지만 점차 강해져서 9m 높이의 기둥을 비스듬한 각도로 뿜어낸다. 그 후 보통 포후투 간헐천이 분출을 시작한다. 때때로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이 5m 높이의 간헐적인 분출을 하고, 이어서 프린스 오브 웨일즈 페더즈 간헐천이 분출을 시작하며, 그 후에 포후투 간헐천이 뒤따른다.4. 3. 케레루 간헐천 (Kereru Geyser)
푸아렝가 시내 위 2m 지점에 있는 케레루 가이저는 검은색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작은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간헐천은 부채꼴 모양으로 분출하며, 며칠 또는 몇 주 간격으로 15m 높이까지 물을 뿜어낸다. 1972년부터 1988년 사이에는 큰 분출이 없었으나, 1987년 지하수 사용량이 갑자기 줄면서 다시 활동하기 시작했다. 케레루 간헐천은 아마도 주변의 다른 온천들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4. 4. 와이코로히히 간헐천 (Waikorohihi Geyser)
와이코로히히 간헐천(Waikorohihi Geyser)은 푸아렝가 시내 위 6m 지점에 있는 응회암 고원에 위치해 있으며, 웨일스 왕자 깃털 간헐천, 포후투 간헐천, 테 호루 간헐천(The Cauldron)과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때때로 5m 높이의 간헐적인 분출을 하는데, 이어서 웨일스 왕자 깃털 간헐천이 분출을 시작하고, 나중에 포후투 간헐천이 뒤따라 분출한다.
4. 5. 테 호루 간헐천 (Te Horu Geyser)
1972년까지 테 호루 간헐천은 매일 10~15번이나 2m에서 7m 높이로 분출했지만, 그 이후로는 분출은 물론 물이 끓는 현상조차 멈췄다. 테 호루의 통풍구에 있는 물은 1998년에 다시 넘치기 시작했다. 테 호루와 포후투 간헐천 사이에는 매우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는데, 포후투에서 분출된 공기 냉각된 물이 대부분 테 호루의 통풍구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포후투가 남풍이 불 때 더 활동적이라는 대중적인 믿음을 설명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분출된 물이 북쪽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북풍이 불 때는 많은 물이 다시 돌아와 시스템을 식히고 다음 분출을 늦추기 때문이다.4. 6. 기타 간헐천 및 온천
현재 와카레와레와에서 활동하는 대부분의 간헐천은 가이저 플랫(Geyser Flat)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복잡한 체계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케레루 간헐천은 푸아렝가 시내 위 2m 지점에 있으며, 부채꼴 모양으로 15m 높이로 분출한다. 1972년~1988년에는 분출이 없었으나, 1987년 우물 사용 감소와 함께 다시 활동하기 시작했다. 케레루 간헐천은 다른 간헐천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푸아렝가 시내 위 6m 지점에는 웨일스 왕자 깃털 간헐천, 포후투 간헐천, 테 호루 간헐천(The Cauldron),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이 있다. 웨일스 왕자 깃털 간헐천은 포후투 간헐천에 앞서 9m 높이로 분출하며, 와이코로히히 간헐천은 5m 높이로 분출한 후 웨일스 왕자 깃털 간헐천과 포후투 간헐천이 차례로 분출한다.
1972년까지 테 호루 간헐천은 매일 10~15번, 2m에서 7m 높이로 분출했으나 이후 멈췄다가 1998년 다시 물이 넘치기 시작했다. 테 호루 간헐천과 포후투 간헐천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포후투 간헐천에서 분출된 물이 테 호루 간헐천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마항가 간헐천(Mahanga Geyser)은 권투 글러브(Boxing Glove)라고도 불리며, 1961년까지 분출 기록이 없었으나, 이후 3m에서 4.5m 높이로 분출하며 와이코로히히와는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와이로아 간헐천(Wairoa Geyser)은 60m 높이로 분출했던 기록이 있으나, 1940년 12월 마지막 분출 이후 수위가 낮아졌다가 1996년 다시 끓어오르기 시작했다.
와이키테 간헐천(Waikite Geyser)은 1967년 3월 마지막 분출 이후 건조한 상태였으나, 1996년 6월 다시 끓는 물이 채워졌다. 와이키테 간헐천은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와이키테 간헐천 너머에는 파레이아 간헐천(Pareia Geyser)이 최근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파파쿠라 간헐천(Papakura Geyser)은 110년 동안 세 번 잠시 멈췄다가 2015년 9월에 마지막으로 분출했다. 파파쿠라 간헐천의 분출 중단은 1981년 로토루아 모니터링 프로그램 시작의 계기가 되었다.[1]
5. 마오리 문화와 와카레와레와
이곳은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 부족이 만나는 장소이다.[4]
5. 1. 테 파키라 마라에 (Te Pākira Marae)
테 파키라 마라에는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의 만남의 장소이며, 와히아오 회의소가 있다.5. 2. 와히아오 회의소 (Wāhi রঙ্গo Meeting House)
이 지역에는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의 만남의 장소인 테 파키라 마라에와 와히아오 회의소가 있다.5. 3. 마오리 전통 생활 방식
이 지역에는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의 만남의 장소인 테 파키라 마라에와 와히아오 회의소가 있다.5. 4. 마오리 예술과 공예
이 지역에는 투호우랑이 하푸인 응가티 푸타, 응가티 우루히나, 응가티 와히아오, 투호우랑이, 응가티 타오이의 만남의 장소인 테 파키라 마라에와 와히아오 회의소가 있다.6. 관광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샘과 65개의 분출 구멍이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현재 7개의 간헐천이 활동 중이며,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
와카레와레와의 지열천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쳐, 이들은 온천수를 추출하기 위해 깊이 20~200m의 얕은 우물을 파서 사용하거나 상업적 보온열로 이용해 왔다. 1987년부터 포후투 간헐천 반경 1.5km 이내의 106개 우물을 시멘트로 폐쇄하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 그 외부에 있는 120개의 우물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이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6. 1. 관광 산업과 지역 경제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샘이 있는데, 그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이곳에는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간헐천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와카레와레와의 많은 지열천들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도시 아래의 지열 온천수를 추출하기 위해 20~200m 깊이의 얕은 우물을 파서 주민들이 사용하거나 상업적 보온열로 사용해 왔다. 1987년에 시작된 구멍 폐쇄 프로그램으로 포후투 간헐천 1.5km 이내의 106개 우물이 시멘트로 폐쇄되었고, 그 외부의 120개 우물들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그 후에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를 선언해 왔다.
6. 2. 지속 가능한 관광
와카레와레와에는 500개의 풀이 있고, 그 중 대부분은 알칼리성 염화온천이다. 그리고 적어도 65개의 분출 구멍이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7개의 간헐천이 활동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큰 분출과 폭발을 의미하는 포후투 간헐천으로 매시간당 30m까지 솟아오른다.[10]와카레와레와에 있는 많은 지열천은 로투루아 거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도시 아래의 지열을 이용해 온천수를 추출하기 위해 깊이 20~200m의 낮은 우물을 파서 사용하거나 상업적 보온열로 사용해 왔다. 1987년부터 시작된 구멍 폐쇄 프로그램으로 포후투 간헐천 반경 1.5km 이내에 있는 106개의 우물이 시멘트로 폐쇄되었다. 그 외부에 있는 120개의 우물은 벌금 로열티 부과 정책으로 폐쇄되고 있다. 그 후에도 와카레와레와의 온천과 간헐천 복구를 선언해 왔다.
7. 인구 통계
년 기준 티히오통가-와카레와레와 통계 구역의 추정 인구는 명이며, 면적은 3.28km2이고, 인구 밀도는 km2당 명이다.[7]
2018년 뉴질랜드 인구 조사에서 티히오통가-와카레와레와의 인구는 771명으로, 2013년 뉴질랜드 인구 조사 이후 96명(14.2%) 증가, 2006년 뉴질랜드 인구 조사 이후 42명(–5.2%) 감소했다. 가구 수는 288가구였으며, 남성 390명, 여성 381명으로 여성 1명당 남성 1.02명이었다. 중앙 연령은 43.2세(전국 37.4세)였다.[7]
연령대 | 인구 | 비율(%) |
---|---|---|
15세 미만 | 117명 | 15.2% |
15~29세 | 144명 | 18.7% |
30~64세 | 378명 | 49.0% |
65세 이상 | 135명 | 17.5% |
민족 구성은 유럽인/파케하 59.1%, 마오리족 37.4%, 태평양계 뉴질랜드인 1.9%, 아시아계 뉴질랜드인 13.2%, 기타 민족 3.1%였다. (여러 민족으로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 출생 인구 비율은 24.1%로, 전국 27.1%에 비해 낮았다.[7]
종교는 44.4%가 무교, 37.7%는 기독교, 2.7%는 마오리 종교, 2.7%는 힌두교, 0.8%는 이슬람교, 0.8%는 불교를 믿고 있었으며, 4.7%는 기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7]
15세 이상 인구 중 학사 학위 이상을 가진 사람은 156명(23.9%), 정규 학력이 없는 사람은 96명(14.7%)이었다. 중앙 소득은 33800USD였으며, 전국 31,800달러에 비해 높았다. 126명(19.3%)은 7만 달러 이상을 벌었는데, 전국 비율은 17.2%였다. 15세 이상 인구의 고용 상태는 정규직 336명(51.4%), 파트타임 93명(14.2%), 실업 36명(5.5%)이었다.[7]
8. 교육
9. 갤러리
참조
[1]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2]
웹사이트
Whakarewarewa Thermal Valley
http://www.nzmaori.c[...]
2007-05-10
[3]
웹사이트
Chemistry of the Rotorua Geothermal Field Part 3: Hydrology
http://www.boprc.gov[...]
2013-10-14
[4]
웹사이트
Te Kāhui Māngai directory
http://www.tkm.govt.[...]
Te Puni Kōkiri
[5]
웹사이트
Māori Maps
https://maorimaps.co[...]
Te Potiki National Trust
[6]
웹사이트
ArcGIS Web Application
https://statsnz.maps[...]
2022-12-31
[7]
NZ census
Tihiotonga-Whakarewarewa (201300)
[8]
웹사이트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Profile
https://www.educatio[...]
Ministry of Education
[9]
웹사이트
Education Review Office Report
http://www.ero.govt.[...]
Education Review Office
[10]
웹사이트
Whakarewarewa Thermal Valley
https://web.archive.[...]
2007-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