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세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세남은 당나라의 서예가로, 해서에 능했으며 "군자의 서"로 칭송받았다. 그는 고야왕에게 서예를 배우고 당 태종을 섬기며 홍문관 학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가 있으며, 문집으로 『우비감집』이 있다. 『공자묘당비』는 정관 3년(629년) 전후에 건립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는 탁본과 복각된 비석이 전해진다. 다른 작품으로는 『소인사비』가 있으며, 저서로는 『북당서초』, 『제왕략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38년 사망 - 교황 호노리오 1세
교황 호노리오 1세는 앵글로색슨 선교 지원과 기독교 건축물 재건에 힘썼으나, 단의론 논쟁에 휘말려 사후 파문되었고, 이슬람의 부상을 인지했다. - 회계 우씨 - 우번
우번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역경》에 능통하고 손책과 손권을 섬기며 회계 업무를 담당했으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아 손권의 미움을 사 교주로 유배되어 사망했다. - 회계 우씨 - 우충
우충은 오나라 손책 휘하 유번의 아들이며, 육기, 위천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의도태수를 지내다 서진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용맹하고 절개있는 관리였다.
우세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우세남 (虞世南) |
자 | 박시 (伯施) |
시호 | 문懿 (文懿) |
작위 | 영흥현 개국자 (永興縣開國子) → 영흥군 개국공 (永興郡開國公) |
존칭 | 우공 (虞恭公) |
출생 | 558년 |
출생지 | 중국 저장성 여요시 |
사망 | 638년 7월 11일 |
가문 | |
아버지 | 우려 (虞荔) |
친척 | 우기 (虞寄, 삼촌) 우세기 (虞世基, 형) |
자녀 | 우숙 (虞勖) 우수요 (虞修യോ) 딸 1명 |
경력 | |
직업 | 서예가, 정치가 |
주요 활동 | 수나라 관료 당나라 관료 |
관직 | 비서랑 (秘書郎) 기거사인 (起居舍人) 홍문관 직학사 (弘文館直學士) 비서감 (秘書監) 태자우서자 (太子右庶子) |
서예 | |
서풍 | 왕희지 서풍 계승 골격이 굳세고 웅건함 |
평가 | |
특징 | 성품이 고결하고 말이 적음 학문이 깊고 변론에 능함 당 태종의 존경을 받음 |
기타 | |
관련 작품 | 《북당서초》(北堂書鈔) 편찬 참여 《수서》(隋書) 편찬 참여 |
2. 생애
우세남의 아들로 태어났다. 형 우세기와 함께 고야왕에게서 배웠다. 당 태종을 섬기며 홍문관 학사, 비서감 등을 역임했다.
우세남은 지영에게 서예를 배웠고, 해서에 능했다. 그의 서풍은 '''군자의 서'''로 칭송받았다.[1] 대표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가 있다.
서예를 지영에게 배우고, 해서에 능했으며, 그 서풍은 "'''군자의 서'''"로 칭송받았다. 서예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가 유명하다. 문집으로는 『우비감집』이 있다.
3. 서예
3. 1. 대표 작품
우세남의 대표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와 소인사비가 있다. 공자묘당비는 당 태종의 명으로 국자감의 공자묘 재건을 기념하여 쓴 비문으로, 정관 연간에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탁본과 복각본이 전해진다. 소인사비는 전몰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절에 있는 비석으로, 우세남이 썼다고 전해지나 확실하지 않다.
3. 1. 1. 공자묘당비
정관 3년(629년) 전후 건립되었으며 서체는 해서이다. 비문에 따르면, 당 태종이 문교 부흥의 첫걸음으로 무덕 9년(626년) 장안의 국자감에 공자묘 재건을 명했고, 우세남은 그 명에 따라 기념 비문을 짓고 썼다. 그러나 이 비는 건립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정관 연간에 화재로 파괴되었고, 측천무후의 장안 3년(703년)에 다시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 또한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당나라 시대 탁본을 주로 하는 탁본(미쓰이 문고 소장)과 다른 당나라 시대 탁본에서 복각된 2기의 비(산시 본과 성무 본)가 있다.
: 송나라 초기에 원본(당나라의 원석 탁본)에서 왕언초가 복각한 것이다. 시안 비림에 있지만, 돌은 3개로 갈라져 있다.
: 원나라 지정 연간(1341년 - 1367년)에 산둥성 딩타오 현에서 황하가 붕괴되었을 때 출토된 비이다. 산시 본과는 행수와 공백(공란)이 다르다.
대체로 두 본을 비교하면, 성무 본이 원본의 취지를 더 잘 전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원본은 전체 2017자이지만, 미쓰이 문고 소장의 탁본은 당각의 글자가 1446자이며, 나머지는 산시 본으로 보충하고 있다.
3. 1. 2. 소인사비
주자사가 비문을 짓고, 필자는 우세남이라고 전해지지만 확증은 없다.[1] 등자사비와 마찬가지로, 이 절은 당 태종의 조칙에 따라 전몰자의 명복을 위해 630년에 세워졌으며, 산시성 창우현 성내에 있다.[1] 비석은 높이 2.58m, 폭 1.05m의 큰 것이며, 40행, 각 행 84자의 해서체로 쓰여있다.[1]
4. 저작
우세기와 함께 고야왕에게서 배웠다. 당 태종을 섬기며 홍문관 학사, 비서감 등을 역임했다.
서예가로서 지영에게 서예를 배우고, 해서에 능했으며, 그 서풍은 "'''군자의 서'''"로 칭송받았다. 서예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가 유명하다. 문집으로는 『우비감집』이 있다.
저작은 다음과 같다.
- 북당서초
- 제왕략론
- 필수론
- 서지술
5. 평가
지영에게 서예를 배우고, 해서에 능했으며, 그 서풍은 "'''군자의 서'''"로 칭송받았다.[1] 대표적인 서예 작품으로는 공자묘당비가 있으며, 문집으로는 『우비감집』이 있다.[1]
참조
[1]
서적
Jiu Tang Shu, vol.03
[2]
서적
Jiu Tang Shu, vol.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