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DJ 페스티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드 DJ 페스티벌은 2007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음악 페스티벌이다. 2007년 하이서울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일렉트로니카, 록앤롤 등 다양한 장르의 DJ와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공연, 댄스 파티, 부대 행사 등을 진행한다. 2007년 9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한국에서 큰 규모의 페스티벌로 자리 잡았으며, 해외 DJ와 국내 DJ 모두 참여하여 국제적인 행사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시작된 음악제 - 라이브 어스
라이브 어스는 케빈 월과 앨 고어가 주도하여 2007년 7월 7일 7개 대륙에서 열린 대규모 콘서트를 통해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전 세계적인 행동 변화를 촉구한 프로젝트로, "S.O.S." 캠페인을 통해 개인의 소비 습관 변화와 기업 및 정치 지도자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했다. - 대한민국의 음악제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영화, 음악, 특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매년 개최되는 대한민국의 음악 영화제이다. - 대한민국의 음악제 -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은 1999년 마이애미에서 시작되어 유명 DJ들의 참여와 성장을 통해 세계적인 EDM 페스티벌로 발전, '울트라 월드와이드'라는 이름으로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과 폭우로 인한 어려움도 겪었다. - 2007년 설립 - BMO 필드
BMO 필드는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다목적 경기장으로, FIFA U-20 월드컵 유치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축구, 캐나디안 풋볼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개최하고 2026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할 예정이다. - 2007년 설립 - 양산시외버스터미널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인천국제공항행 고속버스 및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2017년 이후 터미널 내에서 시내버스 이용은 불가능하다.
월드 DJ 페스티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축제 이름 |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 |
로마자 표기 | Woldeu Dijeei Peseutibeol |
영문 이름 | World DJ Festival |
축제 위치 | 한강 (서울) |
개최 기간 | 2007년–현재 |
장르 | 전자 음악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상세 정보 | |
개최 시기 | 5월경 |
2020년 개최일 | 2020년 10월 26일 ~ 2020년 11월 1일 |
2020년 개최 장소 | 과천 서울랜드 |
설명 | 전세계 유명 프로듀서가 디제잉을 하며 음향 영상 특수효과를 통해 환상적인 프로듀싱을 하는 EDM뮤직페스티벌이다. |
![]() |
2. 연혁
월드 DJ 페스티벌은 2007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음악 축제이다.
2007년 첫 행사는 하이서울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2008년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유료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초기에는 DJ씬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점차 규모가 커져 한국을 대표하는 음악 축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개최 시기는 초기에는 5월에 주로 개최되었으나, 2014년에는 8월, 2020년에는 10월에 개최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2]
2. 1. 제1회 ~ 제10회 (2007년 ~ 2016년)
회차 | 개최 기간 |
---|---|
제1회 | 2007년 5월 4일 ~ 5월 6일 |
제2회 | 2008년 5월 3일 ~ 5월 5일 |
제3회 | 2009년 5월 9일 ~ 5월 10일 |
제4회 | 2010년 5월 8일 ~ 5월 9일 |
제5회 | 2011년 5월 6일 ~ 5월 8일 |
제6회 | 2012년 5월 26일 ~ 5월 28일 |
제7회 | 2013년 5월 17일 ~ 5월 19일 |
제8회 | 2014년 8월 29일 ~ 8월 31일 |
제9회 | 2015년 5월 15일 ~ 5월 17일 |
제10회 | 2016년 5월 6일 ~ 5월 8일 |
2007년 5월 3일부터 5일까지 열린 첫 번째 페스티벌은 하이서울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서울시 관광청이 주관하였다. DJ씬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거주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이듬해 이벤트 기획사 '아이디어 마스터스'는 더욱 큰 규모의 유료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2007년, 월드 DJ 페스티벌은 사흘 동안 9만 명 이상을 유치하며 한국에서 가장 큰 페스티벌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라이브 콘서트, 댄스 파티, 월드 리듬 페스티벌 등이 진행되었으며, 전 세계 DJ들이 참여했다. 특히, 서울의 다른 페스티벌과는 달리 밤새도록 춤을 출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일렉트로니카, 록앤롤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와 팬들이 참여하여 열정을 보여주었다.
2008년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유료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현지인, 방문 외국인, 거주 외국인, 전문가와 아마추어, 해외 초청 DJ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진행되었다.
2008년 월드 DJ 페스티벌은 5월 3일부터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한국 유일의 DJ 페스티벌로 자리 잡았다. 2009년 월드 DJ 페스티벌(SWDF)은 5월 9일에 시작되었다.[2]
2. 2. 제11회 ~ 현재 (2017년 ~ )
2017년 5월 13일부터 5월 14일까지 제11회 월드 DJ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2018년 5월 26일부터 5월 27일까지는 제12회 월드 DJ 페스티벌이, 2019년 6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는 제13회 월드 DJ 페스티벌이 열렸다. 제14회 월드 DJ 페스티벌은 2020년 10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개최되었다.
월드 DJ 페스티벌에서는 DJ Festival, 樂 페스티벌, 축제마을, Camping Project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3. 프로그램
3. 1. 주요 공연
월드 DJ 페스티벌은 세계 여러 나라의 DJ들이 참여하는 공연이다. 2007년 5월 3일부터 5일까지 열린 첫 번째 페스티벌은 하이서울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서울시 관광청이 주관하였다.[1] 이 행사에는 9만 명 이상이 참여하여 한국에서 가장 큰 페스티벌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2]
2007년 첫 행사와 달리 2008년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유료 입장이었다. 서울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행사로서, 현지인, 방문 외국인, 거주 외국인, 전문가와 아마추어, 해외 초청 DJ들이 함께하는 다양성이 특징이었다. 2008년 페스티벌은 5월 3일부터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한국 유일의 DJ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다.
월드 DJ 페스티벌은 전 세계의 수많은 DJ들을 선보였으며, 사람들이 밤새도록 춤을 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일렉트로니카, 록앤롤 등 모든 장르의 아티스트, 공연자, 팬들이 참석하였다.
3. 2. 부대 행사
4. 참여 아티스트
2007년 제1회 월드 DJ 페스티벌에는 해외 및 국내 DJ들이 참여했다. 해외 DJ로는 테크 원(Tech'1)(싱가포르), 코르네리우스(Cornelius)(일본), DJ 댄(DJ Dan)(미국) 등이 참여했고, 국내 DJ로는 DJ KOO, 자이언(JAEIN) 등이 무대에 올랐다.
4. 1. 해외 DJ
DJ 이름 | 국가 |
---|---|
테크 원(Tech'1) | 싱가포르 |
코르네리우스(Cornelius) | 일본 |
DJ 댄(DJ Dan) | 미국 |
도널드 글로드(Donald Glaude) | 미국 |
리키 스톤(Ricky Stone) | 영국 |
래빗 인 더 문(Rabbit in the Moon) | 미국 |
아담 F(Adam F) | 영국 |
라파엘 세바그(Raphael Sebbag) | 프랑스 |
카와사키(Kawasaki) | 일본 |
슈퍼헤즈(Superheadz) | 일본 |
카이(Kai) | 미국 |
스콧 풀렌(Scott Pullen) | 호주 |
C-Deuce&Loco | 해당 없음 |
브레인쇼커(Brainshocker) | 이탈리아 |
4. 2. 국내 DJ
DJ KOO, 자이언(JAEIN), DJ 비제이(DJ BEEJAY), 오리엔탈 펑크 스튜(Oriental Funk Stew), 구루(Guru), 후지(Fugi), 디토(Ditto), 키드비(Kidb), 쿠마(Kuma), 울트라독(Ultradog), 트리플 하우스(Triple house), 성우(Sung woo), 유(Yoo)참조
[1]
뉴스
Korea Times
https://www.koreatim[...]
2007-00-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년도만 표기
[2]
웹사이트
The Seoul Times
http://theseoultimes[...]
2018-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